헬로티 조상록 기자 | 부산항만공사는 지역 중소기업과 함께 기획한 '항만게이트용 스마트 압전발전 시스템 개발 실증' 사업이 중소벤처기업부의 구매 조건부 신제품 개발사업 과제에 선정됐다고 11월 19일 밝혔다. 이 사업은 물체의 무게를 이용해 전력을 생산하는 압전발전 시스템 기술을 개발하는 내용이다. 항만 게이트에 압전소자 모듈을 설치해 컨테이너 차량이 출입하면서 발생하는 압력과 진동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게 핵심 기술이다. 컨테이너 차량 무게는 화물을 적재하면 최대 40t, 화물을 싣지 않아도 20t에 달하는 데 이 시스템이 개발되면 반·출입 게이트를 통과하는 것만으로도 효율 높은 신재생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다. 압전 발전 시스템은 24시간 전기를 생산할 수 있어 신재생 에너지로 주목받는 태양과 발전보다 가동 기간이 길고, 날씨 영향도 받지 않는 장점이 있다. 별도 설치 장소를 확보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도 장점이다. 부산항만공사는 "항만 컨테이너 게이트에는 진동 변화가 크지 않은 컨테이너 차량만 통행하기 때문에 고속도로에 이 시스템을 설치한 해외 사례와 비교하더라도 압력발전 시스템의 가능성이 충분하다"고 말했다. 항만공사는 2년간 투입되는 예산 18억원
[헬로티] ◇ 국장급 전보: 정책보좌관 변재영 ◇ 과장급 전보: 항만정책과장 남재헌, 부산항북항통합개발추진단장 김명진, 인천지방해양수산청 계획조사과장 정성기, 인천지방해양수산청 선원해사안전과장 윤상린
[헬로티] 사진. 문성혁 해양수산부 장관 (출처: 해수부) 문성혁 해양수산부 장관은 28일 오후 부산항 신항 배후단지를 방문해 항만 안전관리와 수출입 물류 현황을 점검한다. 문 장관은 지난 23일 부산 신항 물류센터에서 발생한 근로자 사망사고와 관련해 재발 방지 및 현장 안전관리 강화 대책 마련을 주문할 예정이다. 문 장관은 이어 부산지방해양수산청을 찾아 부산항 컨테이너 터미널 운영사 대표들과 간담회를 진행한다.
[첨단 헬로티] 확대지정으로 50개사 기업 유치를 통해 1조원 투자, 22천명 일자리 창출 등 지역발전에 기여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는 오는 7일(화)부로 동북아 물류허브 선점을 위해 인천공항과 부산항 자유무역지역을 확대 지정하고 이를 고시했다. ▲사진 : 게티이미지뱅크 이번 확대 지정은 인천공항 자유무역지역과 부산항 자유무역지역을 관리하는 국토교통부, 해양수산부가 신청하고 관계부처 협의를 거쳐 산업통상자원부가 확정했다. 자유무역지역으로 확대 지정되는 곳은 전자상거래, 신선화물 등 신성장 항공화물 유치를 위해 조성중인 인천공항 3단계 물류단지 32만㎡와 환적화물 유치 등 부가가치 창출을 위해 개발중인 부산항 신항 서측·남측 컨테이너터미널과 인근 배후단지 283만㎡이다. 이번 확대 지정된 인천공항 3단계 물류단지에는 최근 급성장하는 新성장화물·환적화물 유치 기업, 글로벌 배송센터(GDC), 다국적 기업 등을 우선해 유치한다. 부산항은 항만 특성을 반영해 환적화물과 위·수탁 가공업체를 유치하는 등 고부가가치 물류활동 거점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첨단 헬로티] 과기정통부·해수부, 블록체인 기반 ‘컨테이너 반출입증 통합발급 서비스’구축 앞으로 부두 간 컨테이너 이동에도 블록체인 기술이 적용되어 데이터 오류․누락 없이 편리하고 신속한 물류 운송이 이뤄질 전망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해양수산부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인 블록체인 기술을 항만물류에 활용하기 위해 ‘블록체인 기반 컨테이너 부두 간 반출입증 통합 발급 서비스’를 구축했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지난 6월에 발표한 블록체인 기술 발전전략의 핵심 추진과제인 ‘6대 공공시범사업’ 중 하나로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해양수산부가 협업하여 올 초부터 진행해 왔다. 부산항은 환적 규모가 전 세계 2위에 해당하고, 환적 화물을 다른 부두로 옮겨 출항하는 타 부두 환적(ITT, Internal Terminal Transportation)은 전체 환적 물동량의 16%에 달해 선사, 운송사, 터미널 운영사 등 항만물류주체 간의 원활한 정보공유가 중요하다. 현행 타 부두 환적은 선사가 대상 컨테이너 목록을 작성해서 운송사에 제공하면, 운송사는 배차계획을 세워 터미널 운영사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