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이동재 기자 | 올해 상반기 자동차산업은 반도체 수급차질에 따른 일부 생산차질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시장 판매호조에 따라 전년 동기 대비 생산이 11.5%, 수출이 27.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내수는 2.1%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수출 대수는 2012년 상반기 이후 처음으로 두 자릿수 플러스를 기록, 수출금액은 236.1억달러로 2014년 상반기(252.3억달러) 이후 최고 실적을 달성했다.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수출액을 8.9% 상회하는 수출 실적이다. 자동차 생산 대수는 부품 수급차질에도 불구, 신차 출시 및 수출 호조 등으로 11.5% 증가한 181만4510대를 기록했다. 내수 대수는 전년 동기 내수 진작 정책에 따른 역기저효과, 부품 수급 곤란에 따른 생산차질 영향 등으로 2.1% 감소한 91만904대를 기록했다. 친환경차의 경우, 내수는 68.9% 증가한 15만7567대, 수출은 37.1% 증가한 17만2921대를 기록해, 내수‧수출 모두 반기 최다 판매를 달성했다. 수출액은 50억달러를 돌파했다. 특히 내수는 코로나 19 이전 2019년 상반기 대비 2배 이상 증가하며 전체 자동차 판매 중 친환경차 판매 비중이 17.3
[헬로티] ‘미래차-반도체 연대·협력 협의체’ 2차 회의 개최 (출처 : 산업통상자원부) 산업통상자원부가 지난 7일 ‘미래차-반도체 연대·협력 협의체’(이하 협의체) 2차 회의를 개최해 국내 차량용반도체 수급동향 및 정부의 단기지원 진행 상황을 점검하고, 자동차-반도체 기업간 구체적 연대·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정부는 협의체가 발족한 지난달 4일 이후 차량용반도체 대책 발표(3.10), 자동차-반도체산업협회간 협력MOU 체결(3.17) 과장급 실무회의(3회) 등을 통해 업계와 긴밀히 협의하며 대책을 모색해왔다. 이번 2차 회의는 그간의 진행 상황을 점검하고, 향후 협력방안을 구체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현재 전세계적인 반도체 수급차질로 폭스바겐·도요타 등 글로벌 완성차사 대부분에 생산차질이 발생하고 있으며, 차량용반도체 세계 3위인 르네사스 공장 화재(3.19) 등으로 수급 불안감이 심해진 상황이다. 국내 상황 역시 다르지 않다. 한국GM(2월 2주~)에 이어 현대차·기아에서 역시 일부 생산차질이 발생하고 있다. 정부는 차량용반도체의 차질없는 조달을 위해
[헬로티]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한국자동차산업협회(이하 KAMA)가 차량용반도체 수급차질이 장기화될 가능성을 제기했다. 최근 차량용 반도체 수급차질 문제와 관련해 대만 TSMC가 글로벌 공급의 70%를 점유하는 차량 전력제어용 마이크로 콘트롤 유닛(MCU)의 공급 지연이 확산되면서, 폭스바겐·도요타·GM 등 글로벌 주요 완성차업체들의 공장 가동 중단이나 생산량 하향 조정이 확대되고 있다. KAMA에 따르면, 폭스바겐은 올해 1분기에만 차량 총 10만대 감산이 예상되고, 아우디는 직원 1만여 명 이상이 휴직에 들어가며, 도요타는 중국(광저우), 미국(텍사스), 일본(아이치현) 공장에서 생산량을 일시 조절 중이다. GM도 미국, 캐나다, 멕시코, 한국의 일부 공장 가동을 중단하고 포드·르노·FCA·혼다·닛산도 생산을 중단하는 등 전 세계적인 생산 차질이 확대되는 양상이다. KAMA는 이러한 차량용반도체 수급차질이 장기화될 가능성을 제기했다. 차량용 반도체는 다른 시스템 반도체에 비해 수익성이 낮으며, 안전 확보 필요성으로 인해 긴 수명 동안 가혹한 온도·습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