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삼성전자가 반도체 업계 최초로 전 사업장에 대해 영국 카본트러스트의 ‘탄소·물·폐기물 저감’ 인증을 받았다. 삼성전자는 국내 5개(기흥, 화성, 평택, 온양, 천안), 미국 오스틴, 중국 3개(시안, 쑤저우, 톈진) 등 총 9개 사업장에 대해 탄소·물·폐기물 저감 인증을 받고, ‘Triple Standard’ 라벨을 취득했다. 반도체 제품의 미세화, 고집적화 추세에 따라 제조 공정이 더욱 복잡해지면서 물의 사용과 탄소, 폐기물의 배출도 함께 늘어나 반도체 전 사업장에서 물 사용량과 탄소, 폐기물 배출량을 저감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Triple Standard는 3년간 사업장의 탄소 배출량 3.7%, 물 사용량 2.2%, 폐기물 배출량 2.1%를 저감하고, 각 분야의 경영 체제에 대한 종합 평가 기준을 만족한 기업에게 수여된다. 삼성전자는 2018년과 2019년 각 생산공정에서 사용 및 배출되는 평균량 대비 2020년 탄소, 물, 폐기물을 각각 9.6%, 7.8%, 4.1% 저감해 기준을 만족했다. (원단위 기준으로 환산) 삼성전자는 2019년 미국, 중국 등 해외 반도체 사업장에 재생에너지 인증서(REC)를 구매해 100% 재생에너지로 전환했으며
[헬로티] 다쏘시스템은 ‘오직 사람이 만들어나간다(The Only Progress is Human)’ 캠페인의 두 번째 활동인 ‘생명을 위한 물(Water for Life)’을 발표했다. ▲출처 : 다쏘시스템 이 캠페인은 사회적, 환경적 문제에 대한 인식 제고 및 지속가능한 혁신 추진을 위한 가상세계 활용을 장려한다. '생명을 위한 물' 활동은 물과 소비라는 주제를 결합해 더욱더 현명한 수자원 소비 방안 및 과소비로부터 보존 방안을 제시한다. 해당 캠페인은 유엔(UN)의 지속가능발전목표(SDG) 중 6번째 목표 ‘모두를 위한 물과 위생의 가용성과 지속 가능한 유지관리 보장’을 지원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 다쏘시스템은 ‘생명을 위한 물’ 활동을 통해 고객이 ▲측정 및 최적화 ▲혁신 및 창조 ▲교육이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첫 번째로, 다쏘시스템의 3D익스피리언스 플랫폼을 기업의 ‘물 발자국(Water footprint)’ 측정 및 최적화하고 가속하는 도구로 활용할 예정이다. 3D익스피리언스 플랫폼은 고객이 창출하는 경
[첨단 헬로티] 사우디아라비아 북서쪽 네옴에 최초의 ‘태양광 돔(Solar Dome)’ 담수화 공장이 건설될 예정이다. 네옴은 이 태양광 돔을 건설하고자 영국의 영국의 Solar Water Plc.와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 시범 프로젝트는 세계에서 가장 긴급한 문제 중 하나인 담수 접근성 문제를 해결하는 데 일조할 예정이다. 태양광 돔 공사는 2월에 시작해 2020년 말에 완공될 전망이다. 태양광 돔 기술을 이용한 물 생산 비용이 $0.34/㎥로 예상됨에 따라, 역삼투압 방식을 이용하는 담수화 공장보다 훨씬 더 적은 비용이 소요될 전망이다. 이 기술은 또한 응축 소금물을 더 많이 생산함으로써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크게 줄일 것으로 기대된다. 소금물은 물 추출 과정에서 나오는 잠재적으로 해로운 부산물이다. Abdulrahman Al-Fadli 사우디아라비아 환경·수자원·농업부 장관은 “네옴은 이 시범 프로젝트를 채택함으로써 사우디아라비아 국가 물 전략 2030에 언급된 사우디아라비아의 지속가능성 목표를 지원한다”며 “이 프로젝트는 유엔 지속가능한 개발 목표와도 완전하게 일치한
국내 연구진이 유기용매 대신 ‘물’을 이용해 친환경 반도체를 제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번 연구에 성공한 중앙대 정대성 교수팀은 미래창조과학부에서 지원하는 기초연구사업(신진연구자지원)과 원천기술개발사업(글로벌프론티어사업)으로 이 연구를 수행하여 이와 같은 성과를 이루었다. 유기반도체는 유기체(탄소와 탄소 화합물)로 만들어진 반도체로, 현재 주로 쓰이는 실리콘 반도체보다 가볍고 유연하며 적은 비용으로 제작이 가능해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 등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기 등에 활용되고 있다. 유기반도체로 다이오드와 같은 장치를 구현하려면 고체 형태로 제조된 유기반도체를 녹여서 필름(박막)으로 성형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유기반도체를 고르게 분산시켜 녹이기 위해 유기용매를 활용하는데, 이 용매는 근본적으로 내부 부식성과 인체 유해성이 있어 환경 규제와 비용을 고려할 때 이를 대신할 친환경 용매가 필요한 상황이었다. 이에 따라 물과 같은 친환경 용매를 활용하기 위한 연구가 이루어졌고, 계면활성제를 활용하면 반도체를 물에 녹일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지만, 이때 활용한 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반도체 박막 형성 후에도 활성제가 일부 내부에 남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