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슈나이더일렉트릭이(대표 김경록) 데이터센터의 안전한 전력 공급과 에너지 효율 극대화를 위한 에너지 관리 솔루션을 선보였다. 사물인터넷, 모바일 디바이스, 모빌리티, 비디오스트리밍, 인공지능, E-스포츠 등의 발전으로 클라우드 및 데이터센터에 대한 니즈는 점점 증가하고 있다. ▲ 슈나이더일렉트릭이 데이터센터의 에너지 효율을 위한 솔루션을 선보였다. (슈나이더일렉트릭 제공) 폭증하는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해 클라우드의 확장세가 가속화되면서 기업에서는 사내 데이터센터를 증설하고, 코로케이션(Colocation) 및 기타 아웃소싱 서비스 도입을 추진 중이다. 따라서 안전한 데이터센터 시설 운영이 중요해졌고, 이를 위해 전력 및 인프라 관리 시스템을 통한 가용성과 신뢰성 확보가 주요 과제가 됐다. 에코스트럭처, 데이터센터 비즈니스 경쟁력 높여 슈나이더일렉트릭의 에코스트럭처(EcoStruxure)는 사물인터넷(IoT)과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설계와 실시간 운영, 분석을 통해 향상된 신뢰성, 안전성, 효율성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데이터센터 구축 속도 향상, 낮은 설비 투자 및 운영, 위험 완화 등의 비즈니스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 시설의 저전압 및 고압배전
[첨단 헬로티] 산업 현장의 위험요소, 전력 수급 문제 에너지 관리 및 자동화 분야의 디지털 혁신을 선도하는 글로벌 기업 슈나이더일렉트릭(한국지사 대표 김경록)이 산업 현장에 최적화된 ‘UPS(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 솔루션을 집중적으로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UPS는 이상 기후 현상에 따른 전력 수급 문제나 정전 사태를 대비할 수 있는 효율적인 설비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혹한이나 폭염 등 이상 기후 현상이 증대되고 있다. 이상 기후 현상은 전력 수급에 차질을 줄 수 있고, 대규모 정전 사태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슈나이더일렉트릭이 산업 현장에 최적화된 UPS 솔루션을 집중적으로 제공한다고 밝혔다. <사진 : 슈나이더일렉트릭 제공> 전력 수급 문제나 정전 사태는 산업 현장에 상당한 피해를 주는 요소다. 실제로 IT 컨설팅 기업 ITIC의 2017년 조사에 따르면, 서버, 애플리케이션, 네트워크 등 시스템 중단 발생 시 대기업의 경우 1시간당 약 10만 달러(약 1억 1천만 원) 이상의 손실이 발생했다. 특히 사물인터넷 적용이 증대되고 디지털 관련 도구를 통합될수록 일관된 전력 시스템 제공이 필요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조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