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김진희 기자 | 두산로지스틱스솔루션(이하 DLS)이 국내 자율이동로봇(AMR) 전문기업 KN사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AMR 공급처 다변화를 추진한다고 16일 밝혔다. KN은 무샤이니, HIK Robot 등 다수의 해외 AMR 업체와의 제휴를 통해 제품을 공급하고 있으며, 자체적으로 국산AMR도 생산하고 있는 기업이다. 또한 제휴 업체 제품들에 대한 유지보수 서비스 역량도 보유하고 있다. 지난해 전세계 AMR 시장점유율 1위였던 중국 긱플러스 제품의 국내 공급을 맡고 있는 DLS는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다양한 공급처를 확보함으로써 고객에게 최적의 솔루션과 신속한 유지보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향후 양사 협력을 통해 차별화된 AMR도 공동제작할 계획이다. AMR은 공간 활용을 극대화하면서 피킹 및 이송 작업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어 수요가 높다. 전세계AMR 시장은 2020년 기준 약 9,000억원이었으나 2030년까지 약 55조 2,700억원 수준으로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DLS 김환성 대표는 “최근 수주가 증가하면서 고객별 수요가 다양해져 이에 유연하게 대처하기 위해 공급처 다변화를 추진하게 됐다”면서,
헬로티 이동재 기자 | 비전내브는 홍콩 중문대학과 일본 동경대학의 박사팀이 2016년 창업한 기업으로, 무인지게차와 물류 자동화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지난 10일 폐막한 스마트팩토리+오토메이션월드 2021에서 비전내브의 한국영업 총괄 한예화 이사를 만났다. 비전내브의 무인지게차를 소개해 달라. “비전내브의 무인지게차는 SLAM 방식의 좌표인식형 자율주행로봇이다. SLAM 방식은 레이저가 아닌 비전 카메라를 사용하는데, 중국에서 SLAM 방식의 무인지게차를 만드는 기업은 비전내브가 유일하다. 레이저는 세 개의 점을 이용하는 특유의 방식 때문에 인식 범위가 한정적이다. 반면 카메라를 이용하는 SLAM 방식은 차량이 실시간으로 자기위치를 인식하고 매핑할 수 있기에 유연성 측면에서 유리하다. 또 레이저보다 제품 사이즈, 형태, 환경 변화 등을 더 잘 인식할 수 있다.” 비전내브 무인지게차가 경쟁 업체 제품과 다른 점은? “비전내브 무인지게차는 자동 상하차, 케이지 스택(쌓아올리는 것) 등 고난도의 기술을 가지고 있다. 보통 4단 렉을 사용하는 한국의 물류창고에서는 기본적으로 높이가 8m까지 올라가고 제품을 올리고 밀어넣는 작업까지 가능해야 하는데, 무인지게차 분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케이피씨전자는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케이피씨전자(대표 조득래)는 SF+AW 2021에서 무인지게운반차를 전시한다. SLAM 기술을 이용한 FORKLIFT TYPE의 자율주행 물류로봇은 최대속도는 2.0M/sec이며 정지 정밀도는 10mm이다. Safety에서는 Area LiDAR 4ea 외 자동 도킹 위치 보정 기능, 자동충전 기능, 사용자 정의 관제기능, 외부 시스템과 인터페이스 기능 등이 있다. 주로 반복적인 작업이 필요한 현장, 컨베이어 시스템 대처, 고중량 물류, 고위험 물류, 복잡한 물류 현장에 사용할 수 있다. 주행 및 도킹 시, 위치 오차는 10mm 이내다. ACS(AGV Control System)는 실시간 관제 시스템이다. Interface는 Modbus TCP/IP, HTTP/REST이며, FORMAT은 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을 사용한다. 케이피씨전자는 2011년 12월에 설립된 전자제어분야의 연구
헬로티 함수미 기자 | LG유플러스가 5G를 기반으로 자동화 물류 장비와 초정밀 위치정보솔루션을 부산신항에 적용한다. LG유플러스는 비아이디씨, 러셀로보틱스와 함께 부산신항 배후단지 비아이디씨 물류창고에 자율주행 3방향 무인지게차와 무인운반차(AGV)를 적용하고 자동화 물류 사업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9일 밝혔다. LG유플러스가 국내 최초로 적용할 5G와 MEC기반의 3방향 무인지게차와 무인운반차(AGV)는 야간과 유휴시간 동안 창고 내 물품을 작업자 없이 재배치한다. 코로나로 인한 물동량 증가에 대응해 운영효율을 높일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런 자율주행 물류 장비는 비아이디씨의 물류창고관리시스템(WMS: Warehouse Management System)과 연동해 처리 물품을 자동으로 확인하고 작업자 없이 입고 처리를 자동화 할 수 있다. LG유플러스가 러셀로보틱스와 함께 부산신항 물류창고에 도입할 3방향 무인지게차는 좁은 통로에서도 9m 높이까지 지게차가 회전할 필요 없이 통로 양쪽으로 포크를 자유자재로 움직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윗쪽 선반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어 작업효율성이 높아진다. 무인운반차(AGV)는 고정된 이정표나 지시선 없이
헬로티 임근난 기자 | “인공지능이 가미된 스마트한 장비 공급으로 국내 제조업 혁신에 기여하겠다.” 한국트럼프지엠비에이취는 최근 자율 레이저 절단 기술을 공개하며 판금 레이저 절단의 새로운 차원의 기술을 제시했다. 한국트럼프 김동우 상무는 “고객이 우리 솔루션을 도입하게 되면 간편한 조작으로 정밀한 절단이 가능하며 높은 생산성과 경제성을 동시에 충족할 수 있다”고 말했다. 또 토털 솔루션 회사로서 장비 상태를 한눈에 볼 수 있는 TruTops Monitor와 프로그램 작업 없이 제품 도면만으로 정확한 견적을 빠르게 만들 수 있는 TruTops Calculate 관련하여 TRUMPF 기술 전문가의 컨설팅도 진행할 예정이다. 한국트럼프는 앞으로 4차 산업혁명 솔루션 시장을 선도하기 위해 무인지게차도 국내에 보급할 예정이며 공장 내에서의 물류까지 사업을 확장할 계획이라고 한다. Q. 절단 장비 관련 최근 시장 동향은. A. 판금 가공과 레이저 장비는 제조업의 근간이 되는 시스템이므로 제조업 경기에 영향을 받는다고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반도체나 디스플레이 시장이 호황을 누리면 공장 확충을 통해 장비나 기계가 들어가게 될 것이고, 파워 플랜트 분야가 좋아지면 또
헬로티 임근난 기자 | 로봇에 관심이 많으신 분들이라면 아마존의 창고에서 로봇으로 물류자동화를 진행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을 텐데, 해당 물류자동화 과정에는 주황색 딱정벌레처럼 생긴 AGV 물류로봇 키바(KIVA)를 활용했다. 키바는 선반 사이로 요리조리 들어간 다음, 선반을 번쩍 들어 올려 필요한 위치로 이동하는 작업을 담당하고 있다. 크기는 작지만 작은 고추가 맵다고 했던가? 지게차와는 달리 작은 몸집으로 공간 활용도가 높고 필요한 위치로 딱 맞는 물건들을 쏙쏙 골라 옮겨주기 때문에 효용성도 뛰어나다. 실제로 많은 무인지게차가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지만, 이 작은 물류 로봇이 커다란 무인지게차 만큼 일할 수 있다고 하니 왠지 더 이득인 것 같다. 이러한 물류로봇들은 국내외를 가리지 않고 많은 업체들이 진출하고 있는데, 다음은 국내에서 오랜 시간동안 물류로봇 기술을 꾸준히 길러온 업체들의 솔루션을 소개한다. 500kg 고중량 리프트 AGV 이 솔루션에서 활용된 로봇은 삼미 AGV의 물류로봇이다. 무려 500kg에 달하는 고중량 자재를 이송하는 리프트 타입인데, 삼미 AGV는 신뢰도 높은 AGV 구동부 설계 역량을 갖추고 있어 안정적인 주행 성능과 탁월한
헬로티 이동재 기자 | ‘국제물류산업대전 2021’이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국내 물류 산업을 대표하는 업체들이 한자리에 모여 다양한 기계와 솔루션을 선보였다. 특히 이번 전시회에서는 처음으로 중국 기업 두 곳이 참여해 주목을 받았다. 미국과 함께 물류 자동화 분야의 선두를 달리고 있는 중국이기에 더욱 관람객들의 관심이 집중됐다. 빠르게 물류 무인화·자동화 진입한 중국 중국 정부는 일찍이 물류의 스마트화를 강조해오면서 디지털 물류 인프라 건설 강화와 운송수단, 물류 센터 등 물류 요소의 디지털화에 많은 돈을 투자했다. 중국 물류 및 구매 연합회에 따르면 2018년 중국의 스마트 물류 시장 규모는 4000억 위안(한화로 약 69조 원)을 초과했고 2025년에는 약 1조 위안(한화 약 174조 원)을 돌파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국가 차원의 전략적 투자와 넓은 공장 부지 등 자동화에 유리한 제조 환경이 맞아떨어지면서 중국의 공장 및 물류 센터들은 빠르게 자동화 단계에 들어섰다. 드론 및 로봇 배송, AGV(Automated Guided Vehicle), 스마트 택배 보관함, 스마트 콜드체인, 웨어러블 설비, 3D프린터, 빅데이터 분석 등 주요 기술들은 중국에서
[헬로티] SixAI, 요즈마와 손잡고 인더스트리 4.0 시장 공략 나서 ▲ISC-SixAI-요즈마그룹 조인트벤처 MOU 서명식이 인천경제자유구역청에서 17일 진행됐다. 반도체 테스트용 소켓 제조 기업 아이에스시(ISC)와 이스라엘 AI 로보틱스 플랫폼 기업 식스에이아이(SixAI), 요즈마그룹코리아가 조인트벤처(Joint Venture) 설립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3사의 협약식은 인천 경제자유구역청에서 17일 개최됐다. 한-이스라엘 기업 간 협력을 격려하기 위해 아키바 토르 주한 이스라엘 대사, 인천 경제자유구역청 이원재 총장도 자리를 함께 했다. 이번 MOU로 SixAI는 기술소싱, ISC는 제조와 사업개발, 요즈마그룹 코리아는 사업개발과 투자유치를 각각 맡게 된다. ISC는 이번 조인트벤처를 통해 인공 지능 기반의 자율주행 물류로봇, 자동차와 반도체 부품 품질 검사용 자동화로봇,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제조라인의 AMHS (Automated Material Handling System) 부문 등으로 당사의 사업 영역이 확대될 것이라고 밝혔다. ISC 측은 이번 협약 체결에 대해 업계 관계자들이 “매출 다변화와 신성장 동력 발굴
[헬로티] 5G 기반 무인지게차·물류로봇 등 다양한 산업용 솔루션 선보여 LG유플러스(부회장 하현회)는 이달 28일부터 31일까지 일산 킨텍스 제1시장에서 개최되는 '2020 로보월드' 전시회에 참가한다. 이번 전시회에 참가하는 국내 통신사는 LG유플러스가 유일하다. 2020 로보월드는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로봇 전시회로, 전세계 150개사가 참여해 약 400개의 부스를 전시할 예정이다. 지난 2019 로보월드는 바이어 약 3만명을 비롯해 6만여 참관객이 참석했고, 행사기간 수출상담액만 6,200만달러에 달할 정도로 국내외 업계의 큰 관심을 받았다. LG유플러스는 글로벌 지게차 전문 업체 클라크, 물류 자동화 업체 케이엔, AI기반 물류 솔루션 업체 무샤이니 등 주요 파트너사와 5G 통신 기반의 무인지게차?물류 로봇 등 다양한 산업용 솔루션을 처음으로 선보인다. 전시 부스는 약 165㎡에 달하며, 이번 전시회 최대 규모다. 특히 LG유플러스는 킨텍스 전시장 내부에 실제 5G 통신이 가능하도록 네트워크 구성을 완료했다. 이에 부스를 방문한 참관객들은 5G 네트워크의 장점을 활용한 초저지연 서비스를 직접 확인해볼 수 있다. '5
[헬로티] 모비어스앤밸류체인이 제10회 국제물류산업대전(이하 산업대전)에 참가해 자율주행 무인 지게차, AGV, 자율 이송장비 관리 시스템 등의 솔루션을 선보였다. ▲사진 : 전시회에 참가한 모비어스밸류체인의 부스 전경(사진 : 서재창 기자) 모비어스앤밸류체인은 SCM·물류 분야에서 다년간 경험한 기업 컨설팅 노하우와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세계 유수한 기업들과의 전략적인 제휴를 맺어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지속적인 연구개발로 국내 물류 산업에 적합한 MV-Suite를 출시해 WMS, TMS, VMS, OMS 솔루션을 공급하고 있다. 또한, 자율주행 시스템·물류 자동화 통합 솔루션 기업 모비어스와 합병한 이후 '자율주행 이동로봇(Autonomous Mobile Robot-AMR)'을 지게차에 장착해 자율주행 지게차로 개조하는 서비스를 개발했다. 전시회에서 선보인 자율주행 무인 지게차는 스마트 유인·무인 변환시스템을 기반으로 모듈 기반 자율주행 솔루션, AI 기반 스마트 이적재 시스템이 내장된 장비다. 모비어스밸류체인의 AGV는 현장에 따라 리프트, 토우 핀, 컨베이어 등의 기능 모듈을 탑재해 어떤 현장에서도 필요한 기
[첨단 헬로티] 포테닛이 물류산업에 스마트(Smart) 바람을 불어넣고 있다. 포테닛은 지난 9일 개막한 ‘2019 로보월드’를 통해 최신형 첨단 무인지게차 ‘SCV-ABR20SP-7’을 전격 공개했다. 물류로봇 분야에서는 유일하게 중장비를 무인화하여 로보월드에 참가했다. 특히 올해 포테닛은 역대 최대 규모로 전시장을 마련해 업계에서 선도적인 위치를 지키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 포테닛 부스에서 공개된 무인지게차 ‘SCV-ABR20SP-7’ 포테닛의 무인지게차는 이를 뒷받침하는 최첨단 모델이다. 유/무인 겸용으로 정교한 주행능력은 물론, 포테닛의 장점인 첨단 안전장치도 기본 제공된다. 이처럼 주행력과 첨단사양을 두루 갖춰 작업과 관련된 최고 수준의 작업 안정성이 특징이다. 아울러 배터리 자가충전뿐만 아니라 통합 물류 관리시스템과도 연동돼 무인지게차의 작업 컨트롤이 가능하다. 그 밖에도 포테닛은 무인지게차 시연과 초콜릿 증정 이벤트 등 즐길 거리도 함께 마련했다. 부스내 영상을 통해서는 통합 물류 관리시스템인 ACS 시스템도 확인해 볼 수 있다. 포테닛 남형도 대표는 “고객들에게 더욱
[첨단 헬로티] 포테닛이 오는 9일부터 12일까지 일산 킨텍스에서 열리는 ‘2019 로보월드’에서 미래 전략의 핵심인 무인지게차와 함께 국내 출시 라인업을 소개한다고 밝혔다. 포테닛은 내년, 출범 10년을 맞이해 ‘All day long! All day strong! Stronger overnight!’으로 명명된 비전을 중심으로 자율주행과 브랜드 이미지 강화를 추진할 예정이다. 포테닛 박희관 마케팅 홍보 담당자의 설명에 따르면 ‘PRIMUS’ ‘PRIMUS(POTENIT's Robust and Intelligent Mobile Unmanned System)기반의 포테닛 제품은, 현재의 산업은 물론 미래산업에도 적용 가능한 △완전자율주행 △사람과 산업의 하모니를 중요시 여겨 구현된 제품이라고 한다. 특히 포테닛은 미래 전략을 알리기 위해 전시부스에서 기술 집약적인 시연을 선보이고, 최신형 무인지게차 ‘SCV-ABR20SP-7’을 공개할 예정이다. 포테닛의 ‘SCV-ABR20SP-7’ 무인지게차는 물류계의 혁신을 가져올 포테닛이 지향하는 미래를
[첨단 헬로티] 4차산업혁명의 최신기술이 반영된 물류산업의 미래를 가늠할 '국제물류산업대전 2019(KOREA MAT 2019)'가 지난 16일 일산 킨텍스에서 개최됐다. 두산 로지피아는 이번 물류산업대전에서 자사의 지게차와 무인지게차, 파워팔레트 트럭, 두산의 TMS인 'Lin-Q'서비스를 선보였다. 제1전시장 1홀 뒤편, 넓은 부스를 차지한 두산 로지피아는 전시회를 찾은 참관객에게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했다. 참관객의 시선을 가장 먼저 사로잡은 장비는 무인지게차 'AGV'의 시연이었다. AGV는 사람의 도움 없이 스스로 물류작업을 수행함으로써 근로환경 변화에 유연하고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장비다. ▲두산 로지피아의 무인지게차 'AGV' 무인지게차 옆에는 전동 좌승식 지게차 모델 'B25S-7', 'B50X-7'이 전시됐다. 두 모델은 다년간 시장에서 검증된 Curtis AC 컨트롤러와 고강도 드라이브 액슬의 조합으로 강력한 토크와 높은 내구성을 보증하는 지게차다. 씰링 처리된 습식 디스크 브레이크는 반영구적인 수명을 자랑한다. 이외에도 전·후진 스위치를 작업기 레버에 장착해 작업기에서 손 뗄 필요없이 빠르게 작업할 수 있기에 운전자의 피로
[첨단 헬로티] 로봇 시스템 공급업체인 포테닛이 10월 10일부터 13일까지 킨텍스에서 개최하는 ‘2018 로보월드’에 참가해 자율주행 로봇 ‘PAMR'을 선보였다. 포테닛은 리니어 서버 액추에이터를 개발하는 등 AGV용 자율주행 통합 제어기 및 AGV 로봇 시스템을 공급해오고 있다. 최근엔 자동주행 모바일 플랫폼을 구축하고 그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자율주행 로봇 ‘PAMR' 포테닛이 이번 전시회에서 선보인 제품은 자율주행 로봇 ‘PAMR'이다. 이 제품의 특징은 물건을 옮기는데 있어 최적 솔루션을 제공한다. 포테닛 자체 자율주행 알고리즘과 소프트 하드웨어 기술은 여러 크기의 짐을 소화할 수 있게끔 다양한 사이즈의 로봇으로 구현되어 있다. 포테닛은 무인지게차도 출품했다. 포테닛 무인지게차에는 레이저 기반 자율주행 기능을 탑재한 무인 트레일러 시스템이 장착돼 있으며 자체 충전이 가능하다. 한편, 올해 13번째를 맞이한 ‘2018 로보월드’는 ‘Smart Industry, Smart Life!’라는 주제로 열리며, 18개국 154개사가 611부스 규모에
[첨단 헬로티] 중대형 물류기업용 저가형 관제기술 확보 등 다양한 효과 기대 국내의 물류기술을 살펴보면 지게차, 컨테이너, 파렛트 등 일반 물류기기장비의 경우는 기술개발 수준과 국산화율은 높으나 자동인식, 자동피킹, 자동소팅 등 자동화기술과 AGV, 무인지게차 등 무인고도장비기술 등은 2년 정도 뒤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내 기술개발 필요성에 따라 본지는 ‘중대형 물류센터 적용이 가능한 물류운송로봇 스케줄링 기술 개발’ 사례를 2회에 걸쳐 싣는다. 제 1 절 개발기술의 중요성 및 필요성 1. 기술적 측면 지난 10여년간 정부의 다양한 로봇기술개발사업 지원을 통해 각 사업에서 직간접적으로 물류로봇에 필요한 요소기술이 확보되었으나, 대량 물류로봇의 관제시스템에 대한 직접적인 지원 사업은 전무했다. 인터넷의 발달로 이베이(美), 아마존(美), 알리바바닷컴(中), G마켓, Yes24 등 대규모 인터넷 쇼핑몰의 형성 및 성장으로 시간적·공간적 제약 없이 제품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물류 시스템은 고가의 전용 설비 또는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진다(그림1). ▲ 그림1. 아마존의 물류로봇 적용 예시 기존 물류 자동화의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