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함수미 기자 | 화웨이는 차이나모바일과 함께 하이얼의 스마트팩토리에 5G와 모바일 에지 컴퓨팅을 결합한 혁신 제조 솔루션을 성공적으로 구현했다고 발표했다. 이 솔루션은 지난 2월부터 3사 공동으로 진행된 혁신의 결과로 제조 환경에서 5G 에지 컴퓨팅에 AI 및 머신비전이 융합된 것이 특징이다. 다양한 기능을 갖추고 있어 광범위한 제조 시나리오에 사용할 수 있다. 하이얼은 중국 내 7개 스마트팩토리에 이 기술을 적용했으며, 내년 말까지 20개 공장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최근 국내 제조업체들도 스마트팩토리를 본격 가동하고 있다. 전 공정을 무인화로 하는 등 자동화 생산설비를 구축해 생산 속도와 정밀도를 높이는 것이다. 제조업 외 발전소, 중공업 등에서도 스마트팩토리 솔루션을 빠르게 도입하고 있다. 하이얼은 향후 5년 동안 5G 솔루션을 계속 구축하며 전 세계 100여 개 생산시설을 혁신할 방침이다. 또한 3사는 중국과 글로벌 선도 제조기업들에도 해당 기술을 제공할 예정이다. 5G는 최대 20 GBps의 속도와 1밀리초 이하의 낮은 지연시간이 강점이다. 5G 핵심 특징 중 하나인 모바일 에지 컴퓨팅은 지연시간이 매우 짧은 클라우드 컴퓨팅을 제공한다. 하지만
[헬로티] 'MEC 기반 5G 융합서비스 발굴' 사업…마스크 미착용자·위험상황도 탐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인천국제공항 내 5G 기반 MEC(모바일 에지 컴퓨팅) 서버를 구축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의심 환자와 마스크 미착용자 등을 감지한다고 23일 밝혔다. MEC는 통신망 데이터를 중앙 서버까지 옮기지 않고 서비스 현장에서 처리해 네트워크 지연 시간을 줄이는 5G 기술이다. 그림. 비대면 안전·방역 서비스 구성도 (출처:연합뉴스) 과기정통부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은 'MEC 기반 5G 융합서비스 발굴 및 공공선도 적용' 사업을 통해 MEC 서버를 구축하고, 비대면 안전·방역 서비스 모델을 인천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 출입국장에 설치했다. 이 서비스로 인천국제공항 내에서는 5G 기반 자율주행로봇과 키오스크(무인 결제기) 등을 활용해 공항 이용객의 체온을 재거나 마스크 미착용자를 찾아낼 수 있게 된다. 코로나19 감염 의심자에게는 검사를 유도하고 유증상자가 발생할 경우 이동 경로를 조회하는 등 비대면 방역 서비스도 제공한다. 실시간으로 인공지능(AI) 영상을 분석해 공항 내 이용객이나 작
[첨단 헬로티] SKT, MEC 기술 공동 개발 · 표준 규격 추진에 주도적 역할 SK텔레콤(대표이사 사장 박정호)이 차세대 기술인 5G MEC(모바일 에지 컴퓨팅) 분야에서 글로벌 ‘초(超) 협력’ 체계를 구축했다. SK텔레콤은 아태 통신사 연합회 ‘브리지 얼라이언스(Bridge Alliance)’ 소속 통신사인 싱텔(싱가포르), 글로브(필리핀), 타이완모바일(대만), HKT(홍콩), PCCW글로벌(홍콩) 등 5개사와 함께 ‘글로벌 MEC TF’를 13일 발족했다고 밝혔다. 초대 의장사는 SK텔레콤이 맡는다. 이번 ‘글로벌 MEC TF’는 ‘브리지 얼라이언스’가 세계 최초 5G 상용화와 MEC 개발 ·구축에 성공한 SK텔레콤에 관련 기술 전수를 요청하고, 여러 통신사가 합류하며 결성됐다. ‘글로벌 MEC TF’에서 SK텔레콤은 싱텔, 글로브 등 연내 5G 상용화를 준비하는 회원사에게 5G, MEC 성과를 공유하는 한편 각사의 역량을 모아 MEC기술, 서비스를 공동 개발할 예정이다. 아울러 ‘국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