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로봇활용 표준공정모델로 제조산업 전 분야에 로봇보급 본격 착수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는 지난 24일(수) 대전 인터시티호텔에서 최남호 제조산업정책관을 비롯해 로봇 분야 연구·지원기관, 실증 프로젝트 참여기업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로봇활용 표준공정모델 실증 프로젝트 출범식'을 개최했다. ▲사진 : 산업부 이번 행사는 작년에 최초로 개발이 완료된 14개 로봇활용 표준공정모델(이하 표준공정모델)을 활용해, 제조현장에 로봇을 활용한 공정을 적용하여 검증하는 실증 프로젝트의 착수행사다. 실증에 참여하는 기업들과 연구기관 및 지원기관은 성공적인 실증 프로젝트의 수행을 위한 준비상황을 점검했다. 우리나라는 종업원 1만명 당 산업용로봇 설치대수를 의미하는 로봇밀도가 ’18년 기준 774대로서 싱가포르(831대)에 이어 세계 2위이나, 주로 자동차, 전기전자 분야에 편중돼 있어, 근무환경이 열악한 뿌리산업 등으로 로봇활용의 확산이 요구돼왔다. 이에 따라 산업통상자원부는 로봇활용이 가능한 이송·적재, 탈착 등 6개 공정에 대해서 뿌리·섬유·식음료 등 로봇활용이 미흡한 업종들을 중심으로 적용가능
[첨단 헬로티] 2019년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사업 공고 올해 스마트공장 보급 사업에 총 3,428억 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이는 지난해 1,330억 원 대비 2.6배 늘어난 금액이다. 중소벤처기업부는 '2019년 ICT융합 스마트공장 보급·확산사업'을 지난 13일에 공고하며 이같이 밝혔다. 주요 사업으로는 스마트공장 구축 및 고도화, 로봇활용 제조혁신 지원, 스마트 마이스터, 스마트화 역량강화, 스마트화 수준확인 등이다. ▲올해 스마트공장 보급 사업에 총 3,428억 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이번에 공고한 2019년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사업은 작년 관계부처 합동으로 제조업 전반의 혁신을 이끌기 위해 발표한 '중소기업 스마트 제조혁신 전략'을 구체화한 것이다. 스마트공장은 제조 데이터를 분석하고 활용할 수 있는 지능형 공장으로 4차 산업혁명시대 제조혁신의 필수 수단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스마트공장 도입 기업의 경우 생산성 30.0%↑, 불량률 43.5%↓, 원가 15.9%↓, 납기 15.5%↓ 등이 향상되고, 산업재해도 22% 감소한 성과를 거둔 것으로 조사됐다. 기업 당 고용도 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