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15년간 거래해온 인텔 칩 대신 독자 개발한 'M1' 탑재한 노트북·랩톱 공개 사진. 팀 쿡 애플 CEO (출처: 연합뉴스) 애플이 자사 노트북과 데스크톱 PC에도 직접 설계한 반도체 칩을 쓰겠다며 이 시장에 도전장을 내밀어 그 결과가 주목된다. 애플은 지난 10일 열린 신제품 공개 행사에서 첫 독자 설계 컴퓨터용 시스템온칩(SoC, 여러 기능을 가진 시스템을 하나의 칩에 구현한 기술집약적 반도체) 'M1'을 탑재한 새 노트북과 데스크톱 PC를 발표했다. 애플은 1984년부터 독자 운영체제(OS) 맥OS를 탑재한 '매킨토시' 컴퓨터를 만들어왔지만 컴퓨터의 두뇌에 해당하는 프로세서는 직접 생산하지 않았다. 애플은 2006년부터 인텔로부터 이 칩을 공급받아 데스크톱·노트북 제품군인 맥에 써왔는데 이를 M1으로 교체한 것이다. 애플은 우선 엔트리급 제품군인 맥북에어와 13인치 맥북프로, 맥 미니 등 3개 제품을 이번에 선보였지만 앞으로 2년에 걸쳐 모든 맥 제품군의 칩을 자체 설계한 '애플 실리콘'으로 전환한다는 구상이다. WSJ은 지난 11일(현지시간) '지금까지 애플 최대의 칩 도박'이란 제목의 기사에서 "핵심 부품을 자체
[첨단 헬로티] 사이노라(YNORA)가 휴대폰, 랩톱, TV 및 기타 애플리케이션에 사용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의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형광 청색 이미터(emitter)의 최초 상용 제품을 지난 3일 공개했다. 회사는 떠오르는 OLED물질 분야 선도기업이다. 신제품 ‘cy블루부스터(cyBlueBooster™)’는 첨단 분자 설계를 채용해 동종 이미터보다 15% 더 효율적이다. 이 제품은 기존 OLED 스택에 쉽게 통합할 수 있고 애플리케이션에 맞게 청색을 다양한 색상으로 맞춰 공급된다. 이 제품은 디스플레이 제조업체들이 OLED 기기의 유기 발광층의 효율성을 즉시 활용할 수 있게 해준다. 이 제품의 출시는 사이노라가 첨단기술 연구개발 단계에서 제품 상용화 단계로 전환하는 계기를 의미한다. 이 신제품은 기술 로드맵의 첫 번째 제품으로서 이후 회사 고유의 차별화된 TADF(열활성화지연형광) 물질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녹색 및 청색 이미터가 추가될 예정이다. OLED시장이 신기술과 함께 계속 성장함에 따라 일련의 구부러지고, 접을 수 있는, 초박형 디스플레이가 개발되고 있다. 형태가 새롭고 우수한 색상을 구현하
[첨단 헬로티] KVM 스위치 및 디지털 영상 솔루션 전문기업 에이텐코리아(ATEN, 대표 첸순청, 이하 ATEN)가 소규모 회의 및 협업을 위한 쿼드 뷰 멀티 스트리밍 스위치 VP2120을 출시했다. 이 기기는 단 하나의 스위치로 업무기기나 거리에 상관없이 빠르게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협업할 수 있게 지원하는 것이 특징이다. ▲ 에이텐코리아가 쿼드 뷰 멀티 스트리밍 스위치 VP2120을 출시했다. (사진 : 에이텐코리아) 채널은 유선 1개, 무선 4개까지 가능하며 로컬디스플레이 2개에 매트릭스 및 미러 모드로 전송 출력한다. 스마트패드, 휴대폰, 랩톱, 데스크톱 등 운용방식과 구동 형태가 상이한 기기라도 QR 코드나 IP 기반으로 접속하고 연동되며, 실시간으로 화면을 스크린에 출력할 수 있다. 전담 담당자 없이도 누구나 사용 가능한 쉬운 사용성도 갖췄다. 빠르고 직관적인 심리스 스위칭 운용은 조작성 및 편의를 높이는 데 유리한 형태다. 다수 소스를 동시에 표시하는 멀티 뷰 지원 기능을 활용하면 최대 4개의 소스를 한 화면에 표시하거나 혹은 하나의 소스를 전체 화면으로 출력 할 수 있기에 메시지 전달력도 높일 수 있다. 스위치를 통한 조작뿐만 아니라 전용 앱을
[첨단 헬로티] AI 컴퓨팅 기업 엔비디아(CEO 젠슨 황)가 5월 30일부터 대만에서 열리는 기술박람회 ‘컴퓨텍스(Computex)’에 게이밍 랩톱을 위한 새로운 디자인 방식인 Max-Q를 공개했다. Max-Q는 대기권 비행 시 로켓의 공기 역학적 압박이 최대로 가해지는 부분을 말한다. 로켓 디자인은 Max-Q를 중심으로 정밀하게 설계된다. 엔비디아는 비슷한 개념을 게이밍 랩톱 디자인에 적용했다. 이를 통해 제조사들은 이전 세대 제품과 비교해 두께는 3배 얇고 성능은 3배 더 강력한 랩톱을 만들 수 있게 됐다는 것이 회사측 설명이다. 엔비디아는 "두께는 최소 18mm로 맥북 에어(MacBook Air)만큼 얇으면서 게이밍 성능은 현재 판매 중인 제품 대비 최대 70% 가량 향상된 고성능 게이밍 플랫폼이 탄생했다"고 강조했다. Max-Q에서 핵심은 게이밍 GPU 아키텍처 엔비디아 파스칼(NVIDIA Pascal)이다. 얇은 랩톱에 강력한 성능을 부여하기 위해 엔비디아는 파스칼에 대한 최적화 및 구성 작업을 진행했다. 엔비디아는 게임을 하는 동안 랩톱 소음을 줄여주는 저소음 엔비디아 위스퍼 모드기술도 공개했다. 위스퍼모드는 게임의 프레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