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 제정으로 산업데이터 권리보호와 지원근거 마련” “산업계, 디지털 전환 산업 생태계 구축 마중물 기대” 지난해 12월 28일, ‘산업 디지털 전환 촉진법’ 제정안이 공포되고 올해 7월 본격 시행된다. 이 법은 산업 전반에 디지털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밸류체인(가치사슬) 전체를 혁신하고 고부가가치화하기 위한 제도와 지원 근거를 담고 있다. ‘산업 디지털 전환 촉진법’ 제정을 위해 누구보다 많은 노력을 해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김태환 상근부회장은 “기업의 디지털 전환에 발목을 잡았던 산업데이터의 활용 문제를 해소하고 디지털 전환 산업 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는 마중물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특별대담에서는 법 시행 3개월을 앞두고 우리 산업계는 어떤 준비를 해야 되는지 김태환 상근부회장을 모시고 ‘산업 디지털 전환 촉진법’에 대해서 얘기를 나눠봤다. Q. 산업 디지털 전환이 업계에서는 지금 큰 화두입니다. 특히 관련법이 공포가 되고 오는 7월 시행을 앞두면서 더욱 관심이 뜨겁습니다. 이제 업계에서 널리 쓰이는 용어가 된 만큼 산업 디지털 전환에 대한 개념 정의가 좀 필요하다고 보는데요. A. 우리가 산업 디지털 전환을 한다는 것은 산업을 지능화하겠다는 말과
[헬로티] ▲성윤모 산업부 장관이 소재개발 디지털 전환 연대 출범식에 참석해 '디지털 소재혁신 강화 실행계획'을 발표했다. (출처 : 산업부) 산업통상자원부가 15일 대전 화학연구원에서 성윤모 장관 주재로 소재개발에 필요한 데이터 축적과 활용을 확산하기 위한 업계 토론회를 개최하고 ‘디지털 소재혁신 강화 실행계획’을 발표했다. 이날 행사에는 한화솔루션 등 소재기업 대표, 2007년부터 소재정보은행을 구축하고 있는 화학연구원 등 4개 공공연과 교수, 산업통상자원 R&D 전략기획단장 등 산학연 전문가가 참석했다. 이날 발표된 디지털 소재혁신 강화 실행계획은 ‘소재부품장비 2.0전략’,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의 후속 계획으로, 주요 내용은 ▲8대 선도 프로젝트 추진 ▲데이터 표준화 ▲데이터 축적과 활용 ▲데이터 기반 확충 ▲소재데이터 거버넌스 가동 등이다. 정부는 먼저 8대 선도 프로젝트 추진 부분에서 친환경·저탄소 및 성장 유망성 등을 고려해, 화학, 금속, 세라믹, 섬유 소재 분야와 데이터 기반 핵심 소재 개발로 소부장 미래 경쟁력을 선점할 ‘수소경제’,
[첨단 헬로티] 국제 표준 전문가들이 산업계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고 제조업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한자리에 모였다. 산업통상자원부 정승일 차관 주재로 28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국제표준 리더와의 만남」 간담회에는 정승일 차관을 비롯해 이승우 국가기술표준원장, 국제 표준화 무대에서 활약하고 있는 국내 전문가 등 40여 명이 참석했다. 이번 간담회에서 참가자들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표준 정책방향을 논의하고 ▲국제표준화기구의 최신 정책동향과 ▲현장 전문가들의 국제표준 성공‧실패 스토리를 공유하는 등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선도할 국제표준 정책방향을 모색했다. 행사를 주관한 산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①「4차 산업혁명 시대 표준화 추진 전략(안)」을 발표하는 등 표준화 전략에 대한 이정표를 제시했으며, ② 국제표준화 활동에서 국내 전문가들이 겪고 있는 실질적인 어려움을 들었다. 국표원은 기존 추격자(Fast follower) 전략에서 벗어나 4차 산업혁명 시대 국제표준 선도자(First mover)로 변화한다는 방침 아래, 민·관 합동 표준협력체를 구성해 기업의 입장을 충분히 반영한 표준 정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