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조상록 기자 | [생산적인 이야기]는 생활 속에 녹아 있는 산업적인 소재를 가지고 ‘딱 어디가서 아는 체 할 수 있는 정도’로만 이야기 해보는 코너입니다. 전기차 시대가 성큼 다가왔습니다. 테슬라가 전기차 시장에 불씨를 당겼다면, 기존 자동차 기업들은 시장을 쑥쑥 키우고 있습니다. GM, 폭스바겐그룹, 다임러AG(메르세데스 벤츠), BMW, 현대자동차, 르노-닛산 등의 기업들이 서둘러 전기차를 상용화 시키고 있습니다. 이제 충전소 인프라만 잘 갖춰진다면, 전기차 시대는 생각보다 일찍 다가올 것이라고 예상됩니다. 그래서 전기차에 대해 한번 정리해볼까 합니다. 흔히 전기차 하면 배터리를 핵심으로 떠올립니다. 물론 맞는 얘기입니다. 하지만 본래 자동차의 심장은 엔진이니까, 전기차에서는 모터가 심장이어야 맞죠. 전기차에서 동력을 발생시키고 전달하는 장치 즉, 파워트레인은 구동모터, 감속기, 인버터 등인데요. 여기서는 구동모터만 다뤄보겠습니다. 1. 테슬라 모델3 테슬라(Tesla)는 모터를 자체적으로 생산하고 있습니다. 테슬라는 2012년 세단형 전기차 '모델S'를 선보였을 때 유도전동기(IM)를 적용하였습니다. 현재 많은 자동차 기업이 영구자석을 활용한 동
헬로티 서재창 기자 | 세계 자동차 업체들의 최근 영업 실적이 호조세를 보이고 있지만 반도체 칩 부족에 따른 생산 차질은 여전한 상황이라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에 따르면 이날 스텔란티스는 올해 상반기 순이익이 58억 유로(약 7조9000억 원)로 작년 동기의 7배로 늘었다는 내용의 긍정적인 실적 발표를 하면서 하반기에는 원자재가 상승이 더 심화되고 칩 부족도 계속 생산에 영향을 줄 것이라고 예상했다. 스텔란티스는 이탈리아-미국 합작인 피아트크라이슬러(FCA)와 푸조·시트로엥 브랜드를 보유한 프랑스 PSA그룹이 합친 회사다. 독일 자동차 브랜드 BMW도 이날 양호한 2분기 실적을 발표하면서 칩 부족과 원자재 시장의 불안정성이 하반기 실적에 압박을 가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제너럴모터스(GM)는 칩 부족으로 대형 픽업트럭을 만드는 북미 공장 3곳의 가동을 다음주 쉬게 될 것이라고 이날 밝혔다. GM은 칩 부족에도 돈이 되는 픽업트럭 생산 차질은 피하려 했으나 이미 지난 주에도 이들 공장의 생산을 감축하거나 중단한 바 있다. 저널은 포드, 폭스바겐, 닛산 등 다른 글로벌 자동차 업체의 최근 분기 실적도 호조세를 보였지만 이들은 칩
헬로티 이동재 기자 | 한국자동차연구원(이하 한자연)이 국내 산학연관이 협력해 향후 친환경 연료 e-fuel 시장의 성장 가능성에 대비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놨다. 물을 전기분해로 얻은 수소(H2)에 이산화탄소(CO2)나 질소(N2) 등을 합성해 만든 e-fuel은 재생에너지로 생산할 경우 친환경적이면서도 내연기관에 그대로 적용 가능한 장점이 있는 친환경 합성연료다. Electricity-based fuel의 약자로 e-메탄올·e-가솔린·e-디젤 등 다양한 종류의 연료를 지칭한다. CO2 배출량 규제 강화와 2050 탄소중립선언 등의 영향으로 배출 가스 저감 기술이나 친환경 대체연료 사용의 중요성이 전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e-fuel은 생산 과정에서 온실가스인 CO2를 저감하는 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에너지밀도가 높아 자동차, 항공, 선박 등 수송부문 전반에서 기존 석유계 연료를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 기존 내연기관 인프라에 활용이 가능하다는 장점도 있다. 내연기관 부문에서 높은 기술력을 보유한 국가들도 최근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수단으로서 e-fuel 관련 정책을 공개하면서, e-fuel 활용을 위한 연구에 돌입했다. 독일의 경우, 2019
[헬로티] 우치다 마코토(內田誠) 닛산 최고경영자(CEO)가 차량용 반도체 칩 부족 때문에 올해 닛산의 자동차 생산이 50만 대가량 차질을 빚을 수 있다고 13일(현지시간) 말했다. ▲출처 : 닛산 그는 이날 미 CNBC 방송에 출연해 원자재 가격 상승과 반도체 칩 부족 문제로 씨름하고 있다며 이같이 예상했다. 그러면서 생산을 정상화하기 위한 조치에 나설 것이라고 덧붙였다. CNBC는 최근 세계 각국의 자동차 제조사들이 반도체 칩 부족으로 생산 차질을 겪고 있다면서 반도체 칩 부족 문제가 내년은 물론 2023년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예상도 제기되고 있다고 전했다. 닛산뿐 아니라 도요타와 폭스바겐, 포드, 푸조, 피아트, 지프, 혼다, 재규어랜드로버 등 글로벌 자동차업체 등은 최근 수개월 간 공동 가동 중단을 겪었다. 독일에서는 폭스바겐과 메르세데스가 불가피하게 생산량을 줄이게 되면서 수천 명의 근로자가 노동시간이 감소하거나 일시 해고 상황에 부닥쳤다. 피아트는 지난달 두 번이나 브라질 베칭(Betim)에 있는 공장의 생산을 중단했다. 피아트크라이슬러(FCA)와 PSA가 합작 출범한 스텔란티스는 2천여 명이 근무하는 프랑스 렌 지역의 공장 가동을 거의 멈췄다.
[헬로티] HP 멀티젯 퓨전 플랫폼 기반 3D프린팅 통해 닛산 단종 차량 부품 생산 HP와 솔라이즈가 닛산의 닛산 모터스포츠 차량의 단종된 부품 생산을 위해 손을 잡았다. ▲닛산 스카이라인 GT-R R32 모델의 하네스 프로텍터 양사는 다년간의 디지털 제조 분야 협력 관계를 바탕으로 닛산의 니스모 헤리티지 파츠 프로젝트에 최초로 3D프린팅 부품을 설계, 제조해 공급한다. 솔라이즈는 먼저 닛산과 함께 3D프린팅으로 생산 가능한 최적의 부품을 선별한 후, HP와 협력에 나섰다. HP 멀티젯 퓨전 플랫폼의 우수한 성능을 활용해 설계와 제조 과정을 최적화 하는 동시에, 고품질의 상용 부품을 생산해냈다. 3D프린팅으로 복원한 첫번째 부품은 닛산 스카이라인 GT-R R32 모델의 하네스 프로텍터로, 기계적 특성과 다양한 디자인이 가능한 HP High Reusability PA 11을 사용해 제조됐다. 솔라이즈 야스토시 쿠도(Yasutoshi Kudo) 대표이사는 “솔라이즈는 30여년 이상의 기술 개발 경험을 바탕으로 일본에 최초로 3D 프린터를 도입해 이를 발전시켜 온 기업”이라고 말했다. 야스토시 쿠드 대표이사는 “닛산과 공동으로 단종
[첨단 헬로티] 일본 자동차 업체 닛산이 전기자동차 배터리 생산 부문 전체를 중국 투자 회사 GSR캐피털에 매각하기로 했다. 닛산은 전기자동차 개발에만 집중한다는 전략이다. 닛산은 배터리 자회사인 AESC를 중국 금융 투자회사인 GSR 캐피털에 매각하는 마지막 단계로 진입했다. 매각 대상은 기존 AESC 전기차 배터리 제조 시설을 포함하고 있다. 구체적인 매각 규모는 공개되지 않았다. 닛산은 AESC 매각 후에도 GSR 배터리를 계속 사용하기로 했다. 닛산은 이번 매각으로 AEAC는 GSR이 보유한 글로벌 네트워크를 활용해 고객 기반을 확대하고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것은 자연스럽게 전기차 사업 경쟁력 향상으로 이어질 것이란게 닛산 설명이다. GSR캐피털은 AESC 인수와 함께 생산 시설 확대 및 연구개발 투자를 늘릴 예정이다. 중국과 유럽에 새 공장도 지을 계획이다.
[첨단 헬로티] 일본 자동차 업체 닛산이 완전 전기자동차 버전의 새 리프(Leaf) 차종을 선보인다. 신형 리프는 조만간 공개될 예정이다. 구체적인 사양은 아직은 베일속이다. 일부 모델은 한번 충전하면 주행거리가 200마일 수준일 것으로 전해졌다. 현재 버전보다 두배 이상이다. 닛산은 신형 리프에 ADAS 기술인 프로파일럿도 투입한다. 프로파일럿은 가속, 제동 등와 관련한 세미 자율주행 기능을 제공한다. 단일 차선 설정은 고속도로에서만 가능하다. 닛산 프로파일럿 기술은 완전 자율주행으로 가기 위한 프로젝트의 일환이라고 한다. 그러나 지금은 테슬라 오토 파일럿 소프트웨어와 유사해 보인다.
[헬로티] 일본 자동차 업체인 닛산이 2월에 영국 런던에서 자율주행차 테스트를 시작한다고 로이터통신, 더버지 등 외신들이 1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닛산은 최근 전기자동차 리프(Leaf) 새버전 생산 계획을 발표했고, 이를 수정한 모델을 자율자동차 테스트용으로 투입한다. 닛산은 지난해 고속도로 1개 차선용으로 디자인된 자율주행차 기술인 '프로 파일럿'을 선보였다. '프로 파일럿' 기술은 리프 외에 미니밴인 '세레나'와 중소형 SUV인 '쿼시카이'에도 적용될 수 있다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닛산 외에 볼보도 2월 드라이브미 연구 프로젝트 일환으로 런던에서 자율주행차 'XC90 SUV' 테스트를 시작할 예정이다. /황치규 기자(delight@hellot.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