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국가핵융합연구소 등 참여한 '플라스마 융합연구단'에 6년간 440억원 투입 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는 2020년도 융합연구단사업으로 국가핵융합연구소가 주관하는 '반도체 플라스마 공정장비 지능화 기술개발 및 실증' 과제(플라스마 공정장비 지능화 융합연구단)를 선정했다고 13일 밝혔다. 플라스마 융합연구단에는 반도체 플라스마 공정장비 지능화 기술 개발 및 실증을 최종 목표로 6년(3+3년)간 440억 원이 투입되며, 오는 11월 1일부터 전북 군산시에 있는 국가핵융합연구소 플라스마기술연구센터에서 연구를 진행한다. 플라스마 융합연구단에는 국가핵융합연구소,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등 정부 출연연구기관과 서울대, 부산대, 충남대, 전북대, 명지대, 가천대, 한국항공대 등 7개 대학의 반도체 장비 산업 관련 연구인력 100여명이 참여한다. 플라스마 융합연구단 윤정식 단장(국가핵융합연구소 플라즈마기술연구센터장)은 "반도체 제조 공정장비 지능화 기술에 대한 R&D 테스트 베드를 구축해 국산 장비의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고, 세계 시장 점유율을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원광연 NST 이사장은 "반도체 장비의 해외
[헬로티] 슈퍼컴퓨터 도입으로 세계적 수준의 하드웨어 연구에 이은 소프트웨어 역량 확대 ICT&3D PLM 선도 기업 솔리드이엔지(대표이사, 용석균)은 최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정부출연연구기관인 국가핵융합연구소(소장, 유석재)의 핵융합 시뮬레이션 고성능 클러스터 컴퓨터 구축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이번 핵융합 시뮬레이션 고성능 클러스터 컴퓨터 도입으로 구축된 슈퍼컴퓨터 시스템은 내장된 계산 네트워크를 활용해 InfiniBand 100Gbps 속도로 고성능 병렬 파일시스템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진보된 아키텍처로 구현되었다. 또한 시스템 접속 부하분산 및 로그인 역할의 복수 카이로스(KAIROS) 시스템이 사용자의 원활한 슈퍼컴퓨터 활용을 지원하며, 메인 스토리지는 물론 추가로 구성된 백업서비스 또한 이중화 구조로 설계되어 언제나 안정적으로 핵융합 시뮬레이션을 지원한다. 국가핵융합연구소는 국내 기술로 세계 최고 수준의 인공태양인 KSTAR의 운영과 국제 공동으로 추진하고 있는 국제핵융합실험로(ITER) 개발 참여 등 인류의 미래에너지원으로 기대되는 핵융합에너지 상용화 기술 개발을 선도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태양이 에너지를 내는 원리인 핵융합은 두 개의
[헬로티] 1억도 이상의 초고온 플라즈마와 중성자로부터 핵융합로를 보호할 ‘방패’에 해당하는 국제핵융합실험로(ITER) ‘블랑켓 차폐블록’의 첫 번째 완성품이 국내에서 제작되었다. * ITER((International Thermonuclear Experimental Reactor)) : 핵융합 반응을 이용하여 에너지대량생산 가능성을 실증하기 위한 국제핵융합실험로. 국가핵융합연구소는 핵융합에너지 개발을 위한 국제 공동 연구개발 프로젝트인 국제핵융합실험로(ITER) 건설을 위해 한국에서 담당하고 있는 핵심품목 중 하나인 블랑켓 차폐블록(ITER Blanket Shield Block)의 초도품 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ITER 블랑켓 차폐블록’은 초고온 플라즈마 및 핵융합 반응의 결과물인 중성자로부터 ITER 주요장치를 보호하는 차폐 구조물로, 플라즈마가 만들어지는 진공용기 내벽을 둘러싸도록 퍼즐처럼 연결·설치된다. ITER에는 총 440개의 블랑켓 차폐블록이 설치될 예정으로, 한국은 이 중 220개의 조달을 담당하고 있다. 이번 성과는 ITER국제기구에서 요구하는 품질 기준을 충족
[첨단 헬로티]‘’ 한국의 인공태양 KSTAR가 1억도 초고온 플라즈마를 8초간 유지하는 데 성공하면서 세계 핵융합 연구계 새로운 역사를 썼다. 국가핵융합연구소(이하 핵융합(연)) KSTAR 연구센터는 2019년 8월부터 2020년 2월 말까지 진행한 2019년 KSTAR 플라즈마 실험에서 핵융합 핵심조건인 1억도 수준의 초고온 플라즈마 운전(유지구간 평균 온도 0.97억도)을 8초 이상 유지하는 데 성공했다고 3월 16일 밝혔다. 국내에서 개발한 초전도핵융합연구장치 KSTAR는 핵융합에너지 상용화 기술 확보를 위해 태양에너지의 원리인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는 초고온 플라즈마 실험을 수행하는 연구시설이다. KSTAR는 2018년 실험에서 태양 중심온도(1500만도)의 약 7배에 달하는 1억도 초고온 플라즈마 운전(유지시간 약 1.5초)에 최초로 성공한 바 있으며, 2019년 실험에서는 초고온 플라즈마 유지시간을 5배 이상 연장하는 데 성공한 것이다. 세계 모든 핵융합 연구장치에서 플라즈마 이온온도 1억도 수준의 초고온 플라즈마를 5초 이상 유지하는 데 성공한 것은 KSTAR가 최초다. 초고온, 고밀도 상태인 태양에서 일어나는 핵융합 반응을
[첨단 헬로티] 국가핵융합연구소(이하 핵융합(연))는 한국전력기술과 컨소시엄으로 수행한 국제핵융합실험로(ITER) 중앙연동 제어장치(CIS, Central Interlock System)의 개발 및 제작을 성공적으로 마치고, 3월 6일 최종 공급분에 대한 출하식을 참여기업인 모비스 사옥에서 개최했다고 밝혔다. ITER는 핵융합에너지 상용화 기술 개발을 위해 우리나라를 비롯한 세계 7개 회원국이 국제 공동으로 건설하고 있는 핵융합실험로로 2025년 완공을 목표로 프랑스 카다라쉬에 건설 중이다. ▲국제핵융합실험로(ITER) 가상 이미지 <사진 : iter.org> 이번에 출하되는 ITER 중앙연동제어장치는 ITER 장치 가동 시 인간의 몸속 신경계를 제어하는 두뇌와 같은 역할을 하는 장치로 ITER 주제어 건물에 설치될 예정이다. 핵융합(연)과 한국전력기술 컨소시엄은 지난 2013년 ITER 국제기구로부터 중앙연동제어장치의 설계, 구매 및 시운전까지 책임지는 약 110억 원 규모의 턴키 사업을 수주한 바 있다. 이후 약 7년 동안 양 기관은 공동으로 제어 소프트웨어를 포함한 각종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ITER 중앙연동제어장치는 핵융합(연)의 초전도핵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