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베디드 모듈은 주로 기존의 복잡한 칩 설계 프로세스에 대한 합리적인 대안으로 사용되어 왔다. 힐셔는 일관된 기업 이념과 산업용 통신을 위한 임베디드 모듈로 공장 자동화 분야에서 25년 이상 업계 정상을 지켜왔다. 힐셔는 1986년부터 현대적인 공장 자동화를 위한 산업용 통신 솔루션 기술의 개발 및 생산을 자사의 핵심 전문 분야로 두고, PC 카드부터 임베디드 모듈 및 게이트웨이, 관련 프로토콜 스택이 탑재된 고성능 SoC에 바로 연결되는 OEM 플러그-인 모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제품 라인-업을 제공하고 있다. 힐셔의 comX 제품은 약 25년 전 개발되어 점진적인 최적화 단계를 통해 오늘날 전 세계 기업에서 필드 장치로 사용되는 선도적인 통신 모듈로 임베디드 모듈 분야에서는 성공적인 제품이라 할 수 있다. 지금부터 소개할 힐셔의 제품 개발 역사를 통해 지난 세기에 개발된 힐셔의 기술이 현재까지도 사용되고 있는 분야와 comX 모듈의 기원을 확인할 수 있다. 힐셔의 첫 번째 통신 모듈은 산업용 프로토콜 PROFIBUS-DP용으로 1995년 시장에 출시됐는데, 이들 COM-DPM과 COM-DPS 제품은 AMD 네트워크 컨트롤러를 기반으로 하며 마스터 및 슬레
헬로티 함수미 기자 |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멀티디미어 재난정보를 동시에 여러 매체로 보낼 수 있는 기술과 관리자와 현장 대응 요원 사이에 효과적인 소통을 돕는 기술을 개발했다. 국내 연구진이 국민에게 재난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전달하기 위한 차세대 통합 예·경보 플랫폼과 양방향 멀티미디어 정보 공유를 위한 현장맞춤형 상황전파 플랫폼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재난 상황 정보를 빠르고 정확하게 전달해 안전도를 높이는 데 큰 도움이 될 전망이다. 재난 상황이 발생하면, 재난관리 담당자는 방송, 문자, 라디오 등을 통해 국민들에게 상황을 전파한다. 그러나 기존에는 예·경보 시스템이 중앙정부와 지자체별로 별도 운영되고 매체별 관리기관, 제조사도 달라 호환성 문제로 인해 신속하고 정확한 재난정보전달에 어려움이 존재했다. 재난 현장 소통도 그간 관제 센터와 현장 대응 요원 사이 소통은 무전기, 문자 등으로만 이뤄졌다. 이로 인해 현장 상황을 말로 전해야 하고 양방향 동시 전달에 한계가 있어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대응하기에 어려움이 있었다. ETRI는 과기정통부의 지원과 KBS, KT, 케이아이티밸리, 위니텍 등 산학연과 공동연구를 통해 재난 상황 정보를
헬로티 임근난 기자 | 힐셔 게이트웨이 포트폴리오의 장점은 사용 가능한 프로토콜 변환의 수가 많다는 것이다. 이는 모든 자동화 부품이나 전체 기계까지도 산업용 네트워크로 통합할 수 있게 해준다. 특히, 추가 발생되는 프로토콜 변경의 적용을 위해서, 펌웨어 변경만으로 게이트웨이를 원하는 프로토콜 변환용으로 바꿀 수 있고 이를 통해 재고 유지비용 절감이라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동일한 구성과 조합의 게이트웨이가 대량으로 필요한 경우 고객 맞춤형 구성으로 해당 게이트웨이를 제공할 수 있다. 힐셔의 주니어 제품 관리자이며 산업용 게이트웨이 포트폴리오 유지 관리와 개발을 책임지고 있는 바스티안 오토는 “힐셔는 이미 완성형 제품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미래 기술 동향과 산업용 통신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신제품에 집중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지원이 필요한 경우, 힐셔는 대부분의 문제에 대한 가능한 솔루션을 찾을 것”이라고 말했다. Q. 최근 설비의 스마트화에 대한 투자 의지가 강해지면서 게이트웨이의 다양한 통신을 사용하고 있다. 앞으로 수요 전망을 어떻게 보나. A. 산업 자동화 분야에서는 다수의 새로운 통신 프로토콜들이 도입되었고 기술 변화
헬로티 함수미 기자 | 힐셔코리아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에서 CIFX-series, COMX-series, NT-series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힐셔코리아가 이번에 선보인 CIFX-series는 필드버스 및 Real-Time Ethernet용 PC Card다. COMX-series는 필드버스 및 Real-Time Ethernet 개발용 임베디드 모듈이다. NT-series는 Fieldbus 또는 Real-Time Ethernet 프로토콜 컨버전을 위한 Gateway다. 힐셔코리아는 독일 힐셔의 한국지사로서 산업용 통신 전문회사다. Fieldbus 및 Real-Time Ethernet에 사용되는 PC Card, Gateway, Module 및 ASIC을 제공하고 있다. 힐셔의 제품은 반도체, 자동차, 로봇, 선박, 화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헬로티] 텍사스 인스트루먼츠(TI)의 글로벌 공인 유통기업 마우저 일렉트로닉스는 TI DP83TD510E 이더넷 PHY(물리 계층) 제품을 공급한다고 밝혔다. ▲DP83TD510E(출처 : 마우저) 2km 이상의 케이블 도달 범위 확장이 특징인 IEEE 802.3cg 10BASE-T1L 호환 트랜시버는 고대역폭 통신에 있어서 추가적인 프로토콜, 게이트웨이 및 케이블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엔지니어들은 배선 비용이나 시스템 중량을 늘리지 않고도 산업용 통신 도달 거리와 자동화 애플리케이션을 확장할 수 있다. 마우저에서 공급하는 TI DP83TD510E 이더넷 PHY는 단일 연선으로 최대 1.7km까지 10Mbps 이더넷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DP83TD510E의 확장된 케이블 범위는 IEEE 802.3cg 10BASE-T1L 싱글 페어 이더넷 사양의 도달 거리 조건인 200m보다 1.5km 더 길다. 또한 루프백 및 자체 테스트 기능이 내장된 통합 케이블 진단 도구를 포함하고 있어 설계 및 디버깅 프로세스를 단순화한다. 이 PHY 제품은 초저잡음 결합형 수신기 아키텍처를 제공해 확장된 케이블 도달 범위와 낮은 전력 손실을 허용한다. 이 고성능 장치는 1V
[헬로티] ODVA는 공급업체들이 푸시버튼 및 접촉기를 비롯해 캐비닛 내부의 리소스 제한 장치까지 네트워크를 확장할 수 있도록 향상된 EtherNet/IP 사양을 발표했다. 비용과 크기 및 전력 요건에 대한 제약으로 인해 여전히 유선으로 연결된 많은 엣지 노드에서 EtherNet/IP 사용이 제한되어 왔다. 그러나 반도체 칩 비용이 지속적으로 감소함에 따라 간단한 장치에서도 연결기능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산업용 IoT가 급속히 확장되고 있다. IT와 OT 융합이 가속화되고, EtherNet/IP가 빠르게 성장하면서 접촉기와 푸시버튼과 같은 하위 레벨의 자동화 장치의 캐비닛 내에도 EtherNet/IP를 구축할 수 있게 되었다. EtherNet/IP 네트워크상의 캐비닛 내의 리소스 제한장치는 낮은 오버헤드의 UDP전용 리소스 제한 EtherNet/IP 통신과 EtherNet/IP용 물리계층 인캐비닛 프로파일(In-Cabinet Profile)을 포함하고 있는 최근 발표된 향상된 EtherNet/IP사양을 통해 지원된다. IT친화적인 LLDP노드 토폴로지 검색 메커니즘과 자동 커미셔닝 지원, 자동장치 교체 지원과 같은 향상된 기능을 통해 리소스 요건
[헬로티] 산업용 엣지 연결 솔루션 분야 선도업체 Moxa는 보안이 강화된 새로운 Modbus-BACnet 프로토콜 게이트웨이 시리즈를 출시했다. MGate 5217 시리즈는 Modbus RTU/ASCII/TCP를 BACnet/IP 프로토콜로 변환할 수 있는 산업용 프로토콜 게이트웨이로 구성되며, 산업용 장치를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 쉽게 통합할 수 있도록 해준다. ▲ Modbus-BACnet 게이트웨이 MGate 5217 프로토콜 게이트웨이 설계는 IEC 62443 표준을 기반으로 연결 보안이 강화되었으며, 혹독한 조건에서 지속적인 동작이 가능하도록 안정적으로 설계됐다. 또한 사용이 편리한 툴을 통해 쉽게 장치를 구성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중요 자산을 보호할 수 있도록 보안 강화 데이터센터와 같은 애플리케이션은 취약성이 허용되지 않는 매우 안정적인 전력 통신이 요구된다. IEC 62443 표준에 기반한 MGate 5217 프로토콜 게이트웨이 설계는 화이트리스트(Whitelisting), 계정관리, 암호정책, TLS 보안 연결 등과 같은 다양한 보안 기능을 지원하며, 승인된 사용자만 허용하고, 원치 않는 액세스를 방지하여 연결 보안을 강화한다. 지속적인
[헬로티] ODVA는 OPC 파운데이션과 함께 OPC 파운데이션의 공동작업그룹과 업무를 시작하여 CIP(Common Industrial Protocol)에 대한 OPC UA 동반자 사양을 개발한다고 발표했다. ODVA와 OPC 파운데이션 간의 협력으로 CIP 지원 ICS(Industrial Control System)의 일부 장치와 다른 OPC UA 지원 응용 프로그램 간에, CIP 장치와 OPC UA 장치 간의 통신을 가능 하게하는 안정적인 보안 통신이 가능토록 작업을 한다. OPC UA 동반자 사양은 게이트웨이를 통해 공장 현장에서 클라우드로 산업용 통신 및 제어 데이터를 이동해야 하는 중요한 문제를 해결해준다. 그간 ODVA는 프로토콜 간 개방화에 전념하여 자동화에만 몰두 한 측면이 있으나, 이번에는 그것이 아닌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여, 스마트시스템에 새로운 도전장을 내민 것이다. ODVA의 사장 겸 전무이사인 알 베이도운 박사는 “EtherNet/IP 장치에서 OPC UA 서버로 제조공정 및 제어 데이터를 연결하면 귀중한 공장 현장정보를 전사적으로 분석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알 베이도운 박사는 또 &ldquo
[첨단 헬로티] 터크가 2종 폭발 위험 구역에 설치 가능한 리모트 I/O용 이더넷 게이트웨이 ‘GEN-3G excom’을 출시했다. GEN-3G excom은 폭발 위험 장소의 신호를 높은 데이터 속도로 제어 시스템에 전달해 화재 등의 예상치 못한 사고를 방지해줄 것으로 기대된다. ▲ 터크의 GEN 3G 게이트웨이으로 Ex 영역에서도 이더넷 통신이 가능해졌다. (사진 : 터크) GEN-3G excom의 컨트롤러와 제어 시스템은 액세스 시도로부터 보호된다. 또, 새로운 GEN-3G 멀티 프로토콜 장치는 수동 개입 없이 Profinet, Ethernet/IP 또는 Modbus TCP 네트워크에서 높은 데이터 속도로 작동한다. 통합 게이트웨이 스위치를 사용하면 네트워크에서 쉽게 연결하여 링을 형성할 수 있는 선형 토폴로지를 구현할 수 있다. 전원 공급 장치 및 게이트웨이의 하드웨어 이중화 외에도 excom은 S2 시스템 이중화와 같은 이중화 개념을 지원하여 최대 가용성을 보장한다. excom은 이중화에 대한 기본 표준을 지정하지 않은 프로토콜에 대한 특수 솔루션 제공도 가능하다. 따라서 I/O 시스템은 특정 사이트 또는 플랜트 섹션에서 사용되는
[첨단 헬로티] 산업용 컴퓨팅 솔루션 공급업체인 Moxa가 Arm 기반 산업용 컴퓨터 제품군에 무선 기능을 지원하는 IIoT 게이트웨이 ‘UC-8200시리즈’를 추가했다고 밝혔다. UC-8200 시리즈는 -40°C ~ 85°C의 넓은 온도 범위를 지원한다. 또, 혹독한 환경에서도 동작할 수 있도록 설계된 Arm Cortex-A7 듀얼 코어 1GHz 프로세서 기반 팬리스 컴퓨터를 포함하고 있다. ▲ Moxa가 Arm 기반 산업용 컴퓨터 제품군에 무선 기능을 지원하는 IIoT 게이트웨이 ‘UC-8200시리즈’를 출시했다. (사진 : MOXA) 또한 듀얼 직렬 포트와 듀얼 기가비트 이더넷 포트를 비롯해 4개의 DI, 4개의 DO, 하나의 CAN 포트는 물론, 듀얼 mPCIe 및 듀얼 SIM 슬롯을 통해 리던던시 와이파이 및 셀룰러 연결을 지원한다. 이러한 기능 덕분에 사용자가 IIoT 애플리케이션의 여러 복잡한 통신 시나리오에서도 UC-8200을 효율적으로 구축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한편, UC-8200 시리즈는 산업 자동화 프로젝트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안정적인 5년 하드웨어 보증기간과 Moxa 산
[첨단 헬로티] 연속 주조 공장을 위한 안전한 IIoT 애플리케이션 구현 사이버 보안 솔루션 기업인 Waterfall Security Solutions는 충남 당진시에 위치한 현대 철강 연속 철강 주조 공장의 시범 프로젝트에서 산업용 사물 인터넷(IIoT) 배포 보안을 유지하기 위해 단방향 보안 게이트웨이를 성공적으로 배치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Waterfall과 현대 제철 사이에 진행 중인 프로젝트의 일부로서, 현대 제철은 사이버 보안 문제에 대한 균형을 유지하면서 IIoT 및 클라우드 기술 사용에 대한 이점을 얻을 수 있게 됐다. 스마트 제조 공장에서 디지털 장치의 연결이 꾸준히 증가함에 따라 공격에 대한 노출 또한 끊임 없이 증가하고 있다. 제조업체는 생산 과정을 분석하고 최적화 하기 위해 생산 운영에 대한 엔터프라이즈, 클라우드 및 IIoT 시스템 가시성을 확보해야 한다. ▲사진출처 : 현대제철 현대 제철의 선임 공장장인 이정한 박사는 "Waterfall이 세계 최고의 OT 보안 회사이기에 현대 제철은 Waterfall과 파트너십을 체결했다"라고 말했다. 이 박사는 "Waterfall 기술을 도입해 소프트웨어 기반 보안 시스템에서 항상 발생하는 공격에
[첨단 헬로티] TI(텍사스 인스트루먼트)가 16일, 새로운 Jacinto 7 프로세서 플랫폼을 선보였다. 이번 플랫폼은 향상된 딥러닝(deep learning) 능력과 고급 네트워크 연결 기능으로 첨단 운전자 보조시스템(ADAS)과 차량 게이트웨이 애플리케이션의 설계 문제를 해결해 줄 것으로 전망된다. 최초의 차량용 플랫폼 장치인 ADAS용 TDA4VM 프로세서와 게이트웨이용 DRA829V 프로세서에는 컴퓨터 비전 및 딥러닝과 같은 데이터 집약적 작업을 구획화하고 더 신속히 처리해 주는 전문 온칩 가속장치가 내장되어 있다. 또한, 기능적 안전 마이크로컨트롤러가 통합된 TDA4VM 과 DRA829V 프로세서를 통해 OEM 및 Tier-1 협력업체들은 단일 칩으로 ASIL-D 안전 필수 작업과 편의 기능을 모두 지원할 수 있다. 두 장치 모두 단일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공유하기 때문에 개발자는 여러 차량 영역에서 소프트웨어를 재사용할 수 있어 시스템 복잡도가 줄어들고 비용이 절감된다. Jacinto 7 프로세서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저전력 용량 내에서 차량의 인식 능력 개선 ADAS 기술은 인바운드 카메라, 레이더, LIDAR 데이터를
[첨단 헬로티] 맥심 인터그레이티드 코리아가 전원 장치 효율성을 향상시켜 전력 손실과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여주는 절연 게이트 드라이버 ‘MAX22701E’를 출시했다. 많은 스위치 모드 전원 장치 애플리케이션은 전력 효율성 및 트랜지스터 안정성 개선을 위해 와이드 밴드 갭(Wide-bandgap) 실리콘 카바이드(SiC) 트랜지스터를 채택한다. 높은 스위칭 주파수는 잡음을 발생하는 과도현상을 유발하기 때문에 이를 완화해야 작동이 중단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MAX22701E 드라이버 IC는 태양광 인버터, 모터 드라이브, 전기차, 에너지 저장 시스템, 무정전 전원장치, 데이터 팜(Data Farm), 고출력·고효율성 전원 장치를 위한 산업용 통신 시스템 내 스위치 모드 전원 장치에 사용된다. MAX22701E는 300kV/µs의 업계 최고 CMTI(Common-Mode Transient Immunity)를 제공, 업계 선두 안정성을 보증한다. CMTI가 경쟁사보다 최대 3배 더 높아 시스템 가동 시간을 늘려준다. 동급 최강 드라이버 전파 사양(경쟁사 대비 전파 지연이 2배 낮은 티피컬 값 35ns), 하이사
[첨단 헬로티] 사이버 보안 선도기업 체크포인트 소프트웨어 테크놀로지스(지사장 이은옥)가 중소기업을 위한 새로운 1500 시리즈 보안 게이트웨이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출시한 1500 시리즈는 1550 게이트웨이와 1590 게이트웨이 어플라이언스로 구성됐다. ▲ 체크포인트가 중소기업을 위한 새로운 1500 시리즈 보안 게이트웨이를 출시했다. <사진 : 체크포인트> 이 게이트웨어 어플라이언스에는 최첨단 5세대 사이버 공격에 대한 보호의 새로운 기준이 탑재됐으며, 구축과 관리 평의성도 제공한다. 2019년 버라이즌 데이터 유출 조사 보고서(2019 Verizon Data Breach Investigations Report)에 따르면, 전체 유출 피해자 중 43%는 중·소규모 기업이었다. 또,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시도된 해커들의 공격 시도 중 63%는 직접적인 피해로 이어졌다. 포네몬 연구소 보고서(Ponemon Institute report)는 중소기업에 대한 사이버 공격의 피해 액수는 1백만 달러를 상회할 수 있으며, 이는 조직에 치명적인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했다. 이번에 체크포인트가 출시한 1550 게이트웨이와 1590 게이
[첨단 헬로티] 산업용 사물인터넷(IoT)을 위한 보안 데이터 액세스 및 관리 솔루션 공급사인 란트로닉스(Lantronix)가 아시아 태평양 및 일본 지역 사업을 지원하기 위해 새로운 채널사를 추가했다고 3일 밝혔다. 란트로닉스는 “이번에 신규 유통 계약을 체결한 잉그램 마이크로(Ingram Micro)사는 테크 제품과 공급망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글로벌 사업자다. 이번 계약으로 잉그램 마이크로는 앞으로 중국 내에서 공급될 자사의 외장형 IoT 기기 게이트웨이와 IT 관리 솔루션에 대해 물류와 제품 배송 및 유통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고 전했다. 패트릭 샤오(Patrick Shao) 잉그램 마이크로 PRC 부사장 겸 매니징 디렉터는 “자사는 1997년 중국 진출 이후 현지 시장에서 지식 주도 IT 솔루션 공급사로 활동해 왔으며, 이번에 란트로닉스와 협력 관계를 맺게 돼 기쁘다”며 “우리가 갖춘 제품 목록에 란트로닉스의 산업용 및 네트워킹 솔루션 포트폴리오가 포함되게 돼 기대가 크다”고 말했다. 케빈 욘더(Kevin Yoder) 란트로닉스 영업 담당 부사장은 “성장 시장인 중국 내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