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김진희 기자 | 한국과 호주가 핵심광물 공급망과 탄소중립 기술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한다. 특히 호주는 탄소중립 기술 협력을 위해 10년간 5000만(약 421억) 호주달러를 투자하기로 했다. 산업부는 문승욱 장관이 문재인 대통령 호주 국빈방문을 계기로 우리나라와 호주 양국 간 핵심 광물 공급망, 탄소중립, 청정 수소경제 등 산업·에너지 분야 협력을 강화한다고 14일 밝혔다. 문 장관은 14일(현지시간) 호주 시드니에서 산업부, ‘호-한 경제협력위원회(AKBC)’,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가 공동 주최한 ‘한-호 핵심 광물 공급망’ 간담회에 참석했다. 이 자리에서 호주와 상호호혜 협력 방안을 모색했다. 앞서 13일(현지시간) 호주 캔버라에서 열린 한-호 정상회담 직후 호주 산업과학에너지자원부와 탄소중립 기술 이행계획 및 청정수소경제 협력 양해각서(MOU), 핵심 광물 공급망 협력 등 2건의 MOU도 교환했다. 탄소중립 기술 이행계획 및 청정수소경제 협력 MOU는 우리나라와 호주 간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핵심기술 상용화, 청정수소경제 발전을 위한 전주기 협력을 위해 체결됐다. 양국은 ‘2050 탄소중립’과 상향된 2030 온실가스감축목표(NDC)를
헬로티 이동재 기자 | 산업통상자원부가 지난 8일~9일 양일간 호주 산업과학에너지자원부와 화상으로 제30차 한-호 에너지자원협력위를 개최했다. 제30차 한-호 협력위에서는 한국의 ‘2050 탄소중립 추진전략’과 호주의 ‘저탄소 기술 성명서’ 등 양국의 에너지 정책 현황을 공유하고 저탄소기술, 핵심광물, 천연가스 등 에너지·자원 분야에 대한 협력 방안을 모색했다. 특히, 한-호 양국은 호주 정부 측에서 제안한 ‘저탄소 기술 협력관계’ 구축방안에 대해 향후 실무 차원의 협의와 검토를 거쳐, 구체적인 협력 분야를 도출해나가기로 했다. 호주 정부는 한국 정부 측에 청정수소·암모니아, CCUS, 그린철강 등 저탄소기술 공동 R&D 추진 등을 내용으로 하는 ‘저탄소 기술 파트너쉽’ 제안한 바 있다. 우리 정부는 이를 통해 양국 간 협력 분야가 광물, 천연가스 등 전통적인 자원 협력 뿐만 아니라 수소, 재생에너지, ESS, CCUS 등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미래지향적 협력으로 확대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양국은 탄소중립 및 청정에너지로의 전환 등에 따라 향후 수요 확대가 예상되는 니켈, 리튬, 희토류 등 희소금속분야 협력 확대 필요성에 대해 공감대를 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