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서재창 기자 | 현대자동차와 기아가 10월 미국 시장에서 업계 평균 이상의 판매 실적을 거뒀다. 현대차그룹은 현대차(제네시스 포함)와 기아의 지난달 미국 판매량은 11만4128대로 작년 동월 대비 0.4% 감소했다고 3일 밝혔다. 현대차는 비록 판매량이 감소하긴 했지만, 도요타(-28.6%), 혼다(-23.5%), 스바루(-40.0%), 마쓰다(-14.1%) 등 현재까지 실적이 공개된 다른 완성차 업체의 평균 판매실적이 작년보다 22.0% 감소한 점을 고려하면 선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친환경차 판매의 성장세가 두드러졌다. 총 1만1466대가 팔려 작년 동월 대비 221.8% 늘었다. 현대차 7330대, 기아 4136대로 작년 동월 대비 각각 262.7%와 168.2% 증가했다. 이 중 하이브리드차는 투싼 하이브리드가 2208대 팔린 것을 비롯해 작년보다 226.5% 증가한 총 9290대가 팔렸다. 전기차(2113대) 판매는 210.3% 증가했다. 수소전기차는 63대가 판매돼 70.3% 늘었다. 현대차의 지난달 미국 판매량은 고급차 브랜드인 제네시스를 포함해 총 6만2061대로 작년 동월 대비 6.2%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제네시스는 작
헬로티 함수미 기자 | HPE가 SK C&C 사내 가상데스크탑 인프라(이하 ‘VDI’)를 HPE 그린레이크 엣지-투-클라우드 플랫폼을 통해 신규 클라우드 VDI 서비스로 새롭게 전환했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양사는 HPE 그린레이크 플랫폼을 통해 제공되는 HPE 심플리비티 HCI를 활용해 사용자 VDI를 최적화하고, SK C&C 전체 구성원을 대상으로 하이브리드 업무 환경을 지원하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했다. SK C&C는 클라우드 전환 컨설팅, 아키텍처 설계 및 마이그레이션 사업 등과 같이 IT/ICT 전 영역에서 다양한 융합을 통해 제조, 통신, 금융, 에너지 등 산업 전반의 혁신을 선도하고 있다. SK C&C는 대응시간, 퍼포먼스를 더욱 향상시키고 다운타임 및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새로운 서비스형 솔루션을 도입하며 이번 시스템 전환 프로젝트를 실행했다. 이번 사업을 통해 확보한 기술 기반으로 대내외 고객사를 대상으로 완전 관리형태의 서비스형 데스크톱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 SK C&C는 이번 시스템 전환에 HPE 심플리비티 및 HPE 그린레이크를 채택하게 된 가장 큰 이유로 운영 관리 용이성 및 비용 효율
헬로티 이동재 기자 | 글로벌 전기차 브랜드 순위에서 테슬라와 BMW가 각각 순수전기차(이하 전기차)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이하 하이브리드) 부문 1위를 차지했다. 현대자동차와 기아는 두 부문에서 모두 10위권 안에 들었지만 중국계 업체들의 공세로 순위는 다소 하락했다. SNE리서치가 2021년 상반기 전세계 80개국에 판매된 전기차 브랜드 순위를 공개했다. SNE리서치에 따르면, 전기차 부문에서는 테슬라가 모델 3와 모델 Y 판매 급증에 힘입어 전체 판매량이 두 배 이상 증가했다. 중국 전기차 업체인 상하이GM울링과 BYD, 장성기차, 니오는 자국 시장 회복에 힘입어 전체 시장 성장세를 주도했다. 특히, 상하이GM울링은 홍광 미니 EV를 앞세워 무려 15배에 육박하는 성장률로 2위에 올랐다. 폭스바겐도 ID.3와 ID.4 수요 급증에 따라 3배가 넘는 고성장을 구현하면서 순위가 전년 동기보다 두 계단 상승했다. 이에 비해 르노는 트윙고 판매 호조에도 불구하고 조에 판매 감소가 전체 증가분을 상쇄시키면서 시장 평균에 한참 못 미치는 성장률에 그쳤다. 현대는 코나 일렉트릭과 아이오닉5, 포터2 일렉트릭 전기트럭 판매가 모두 증가했지만, 성장률이 시장 평균을 밑
헬로티 이동재 기자 | 전기차에 들어가는 이차전지는 계속해서 진화하고 있다. 테슬라가 연 전기차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하면서, 기존에 내연기관차를 생산하던 완성차 업체들도 잇따라 전기차 사업에 뛰어들었다. 갖가지 전기차 모델이 출시되면서 소비자들의 선택지는 늘었지만, 내연기관차와 비교해 주행거리, 안전성 등 성능이 불안정해 보인다는 점은 여전히 소비자들에게 불안요소다. 상기한 전기차의 성능은 탑재되는 배터리와 직결되는 문제다. 배터리 제조업체들은 끊임없이 배터리의 성능을 개선해야 하는 숙제를 떠안았다. 글로벌 배터리 시장에서 순위권을 다투고 있는 우리 기업들도 배터리 관련 R&D(연구·개발)에 많은 돈을 투자하고 있다. 본 지면에서는 국내 배터리 3사의 지난 1분기 R&D 진행 현황을 정리했다. LG에너지솔루션 국내 3사 중 글로벌 시장에서 가장 앞서 있는 LG에너지솔루션은 전기차 배터리, 스마트폰, 전동공구 등에 들어가는 소형 전지 분야와 전력망, 주택용 등에 사용되는 ESS 분야의 연구·개발을 통해 사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신규 사업영역을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있다. 특히 차세대 고용량/고안전성 소재, 전지 제조 공정 고도화 등과 같은 당사의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컴볼트는 가트너 '2021 가트너 매직 쿼드런트 엔터프라이즈 백업 및 복구 소프트웨어 솔루션' 분야의 '리더'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컴볼트는 10회 연속으로 매직 쿼드런트 리더 그룹에 등재됐다고 전했다. 보고서는 해당 분야 제조사들의 광범위한 워크로드 및 기능적 역량에 중점을 두고 빠르게 변화하는 백업 및 복구 시장 동향을 다루고 있다. 백업 및 복구는 데이터 위협 증가와 각종 사이버 공격이 더욱 확산되는 현시점에 기업 조직의 필수불 가결한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랑가 라자고팔란(Ranga Rajagopalan) 컴볼트 제품 관리 총괄 부사장은 "컴볼트는 클라우드, 하이브리드, 온프레미스 환경, 서비스형 백업에서 랜섬웨어 및 데이터 보호 등을 포함해 고객들이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과정에서 직면하는 주요 활용 사례를 해결한다"라고 말했다. 덧붙여 "이처럼 컴볼트는 자사의 유연한 제공 모델과 SaaS 경쟁력을 기반으로 고객이 원하는 소비 방식 모델에 따라 혁신적인 기술을 제공한다"라고 전했다.
[헬로티]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유기-무기 전해질 간 계면 이온저항층을 제거해 이온전도도와 충·방전 성능을 향상한 하이브리드 전해질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연구진이 개발한 전해질의 특성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고 있는 모습(출처 : ETRI) 이차전지를 더욱 안전하게 만들 수 있는 새로운 하이브리드 전해질 소재를 개발한 것이다. 특히, 연구진은 새로운 개념을 적용한 전해질 설계에 성공하면서 향후 차세대 이차전지용 전해칠 연구를 더욱 활발하게 만드는 데 도움을 줄 전망이라고 전했다. 기존 이차전지는 불에 잘 타는 액체 전해질을 사용해 폭발 위험성이 높았다. 특히, 휴대폰, 웨어러블 장치나 전기자동차 등에 이차전지 활용이 많아지면서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소재 관련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다. 전해질을 액체에서 고체로 바꾸면 온도 변화나 외부 충격에 의한 위험성을 낮추면서도 디자인도 자유롭게 구현할 수 있다. 하지만 소재에 따라 계면 저항이 높거나 공정이 어려운 등의 한계가 있었다. ▲기존 유무기 하이브리드 전해질과 ETRI가 만든 전해질을 비교한 모식도(출처 : ETRI) 이에 ETRI는 유기물, 무기물 소재를 섞어 안전하면서도 높은 전도도를 지
[헬로티] 마우저 일렉트로닉스는 반도체 솔루션을 선도하는 글로벌 제조업체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STMicroelectronics, 이하 ST)와 운송 산업용 신규 솔루션 개발을 위한 신규 리소스 사이트의 구축을 위해 협력한다고 밝혔다. ▲출처 : 마우저 새롭게 구축된 마우저와 ST의 운송 프로토타이핑 에코시스템 사이트는 차세대 운송 솔루션 구축을 지원하는 다양한 기사, 튜토리얼, 강의 및 제품 가이드를 제공한다. 해당 운송 프로토타이핑 사이트에는 전기차 설계, 음향 차량 경고 시스템, 적응형 프런트 조명 솔루션이 포함된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25개 이상의 리소스가 포함돼 있다. 각 항목은 해당하는 ST 솔루션에 대한 제품 정보를 포함하며, 각 애플리케이션을 처리하는 데 필요한 정보와 기술에 운송 설계자와 엔지니어를 연결한다. 마우저는 마이크로컨트롤러, 드라이버, 평가 키트 등 운송 애플리케이션별 솔루션 등을 비롯해 다양한 ST 제품을 제공한다. ST의 음향 차량 경고 시스템 AutoDevKit은 SPC582B Power Architecture 마이크로컨트롤러 디스커버리 보드, 클래스 D 자동차 오디오 전력 증폭기 평가 보드 및 필수 스피커로 구성된다. 확
[헬로티] 마우저 일렉트로닉스는 맥심인터그레이티드(Maxim Integrated)의 MAX17852 14채널 고전압 ASIL-D 등급 데이터 수집(DAQ) 시스템을 공급한다고 밝혔다. ▲출처 : 마우저 일렉트로닉스 오토모티브 배터리 관리 시스템 (BMS) 설계자들은 MAX17852를 통해 전압과 전류, 온도, 통신에 안전성을 구현함과 동시에 공간 및 솔루션 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마우저에서 제공하는 맥심인터그레이티드 MAX17852는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및 기타 운송 시스템 내 고전압/저전압 배터리 모듈 관리를 위한 유연한 솔루션이다. MAX17852는 400V, 800V 이상의 전압에서 작동하는 스마트 정션박스, 48V 및 기타 오토모티브 배터리 시스템에 적합하다. 맥심은 MAX17852가 완전 이중화 측정 엔진으로 14개의 셀 전압, 1개의 전류, 4개의 온도 조합 또는 시스템 전압을 263μs 내에 측정하도록 설계했다. 덧붙여 마우저는 ADC(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 측정 엔진만으로도 156µs 내에 모든 입력을 처리할 수 있다고 밝혔다. 또한 최대 32개의 장치를 데이지 체인 방식으로 연결해 448개의 셀을 관리하고
[헬로티]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는 전력선 통신(PLC: Power-Line Communication) 모뎀 칩셋인 ST8500을 지원하는 개발 에코시스템을 발표했다고 밝혔다. ▲ST8500 에코시스템(출처 : ST) 스마트 그리드와 IoT 기기의 G3-PLC 하이브리드 커넥티비티를 가속화하기 위한 것이다. ST에 따르면, 이 에코시스템은 비면허 RF 대역인 868MHz 및 915MHz를 대상으로 하는 두 개의 평가보드와 펌웨어 문서로 구성됐으며, 사용자가 듀얼 PLC 및 RF 커넥티비티의 업계 최초 공개 표준인 G3-PLC 하이브리드를 준수하는 노드를 신속하게 구축하고 테스트해 준다. 스마트 계량기, 환경 모니터링 기기, 조명 컨트롤러, 산업용 센서와 같은 장비에 G3-PLC 하이브리드를 지원하는 ST8500 칩셋을 통합할 경우, 전력선이나 무선 채널을 자율적으로 선택하고 동적으로 변경해 가장 안정적인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2019년 출시된 이 칩셋은 ST의 G3-PLC 하이브리드 펌웨어로 실행되는 ST8500 프로토콜 컨트롤러 SoC(System-on-Chip)와 STLD1 전력선 통신 라인 드라이버 및 S2-LP 서브-GHz 무선을 통합하고 있다.
[헬로티] 오라클이 최근 이동 및 확장이 가능한 러기다이즈드 서버 노드인 이동식 엣지 디바이스를 기반으로 핵심 인프라스트럭처 서비스를 네트워크 말단까지 제공하는 '오라클 로빙 엣지 인프라스트럭처'를 출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포트폴리오를 확대했다. ▲오라클 로빙 엣지 디바이스 원거리 클라우드 워크로드 실행을 지원하는 오라클 로빙 엣지 인프라스트럭처를 통해 기업 조직은 항공기 내에서나 극지 관측소, 중부 대서양의 유조선을 비롯해 필요한 곳이라면 언제 어디에서나 강력한 오라클 클라우드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게 됐다. 새롭게 공개된 서비스는 오라클이 지향하는 포괄적인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포트폴리오의 일환으로, 클라우드 배포 과정에서 우수한 유연성과 제어를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현재 금융 서비스, 공공 부문, 의료, 물류 및 통신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산업군의 글로벌 기업 고객들은 오라클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솔루션을 기반으로 시스템 규모, 데이터 주권 및 제어에 대한 이슈 없이 클라우드 혁신을 가속화하고 있다. 클레이 마고요크(Clay Magouyrk) 오라클 OCI 총괄부사장은 "클라우드에서 워크로드를 실행하는 고객은 다양한 선택지를 필요로 한다. 이는 데이터
[헬로티] 셰플러코리아는 올해 하이브리드 모듈, 하이브리드 구동장치, 전기차축 트랜스미션 대량 생산을 통해 본격적으로 전기모터 대량 생산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출처 : 하이브리드 모듈, 하이브리드 트랜스미션, 전기차 차축 구동장치 용 전기모터 셰플러는 최근 승용차용 전기 모터의 대량 생산 수주에 성공했으며, 상용차 어플리케이션 부문에도 진출했다. 또 높은 출력 밀도 및 조립 과정에서 여러 장점을 제공하는 파권 기술을 적용한 전기 모터 대량 생산 계약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지난해에는 하이브리드 전용 구동장치 수주에 성공, 2024년부터 2개의 전기 모터와 통합형 전력 전장 트랜스미션으로 구성된 구동장치 전체를 납품할 예정이라 밝혔다. 이 장치는 120kW의 정격 출력으로 낮은 연료로도 스포츠카와 같은 성능을 제공한다. 전기 차축 시스템의 주요 부품인 전기 차축 트랜스미션은 2017년부터 대량 생산을 진행하고 있다. 아우디 e-트론 두 차축에 서로 다른 구조의 셰플러의 전기 차축 트랜스미션이 사용되었으며, 포르셰의 타이칸에는 고효율 동축 전기 차축 트랜스미션을 장착했다. 2020년에는 동축 전기 차축 트랜스미션으로 PACE 어워드를 수상하기도 했다. 또 전기
[헬로티] 퓨어스토리지(지사장 배성호)가 대용량의 데이터를 최적화된 비용으로 운영해야 하는(capacity-oriented) 워크로드에 해결책을 제시했다. 퓨어스토리지는 워크로드의 운영비를 절감해 레거시 하이브리드 디스크 어레이의 필요성을 대폭 줄인 2세대 플래시어레이//C(FlashArray//C)를 발표했다. ▲ 퓨어스토리지는 레거시 하이브리드 디스크 어레이의 필요성을 대폭 줄인 2세대 플래시어레이//C를 발표했다. (사진 : 퓨어스토리지) 올-QLC(all-QLC) 스토리지 어레이인 플래시어레이//C는 퓨어스토리지의 다이렉트플래시(DirectFlashTM) 기술과 퓨리티(Purity)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기반으로 설계됐다. 따라서 엔터프라이즈급 성능 및 기능을 비용 효율적으로 제공하며, 플래시 스토리지를 모든 활용 사례에 적용 가능한 메인스트림으로 만들고자 하는 퓨어스토리지의 비전을 한걸음 앞당겼다는 평가다. 오늘날 기업들이 직면한 도전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기업은 혁신과 운영효율성에 모두 집중하면서 인적 및 재정 자본을 확보해 새로운 수요가 있는 환경에 투자할 수 있도록 효율성을 강화해야한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IT 조직들은 레거시 스토리지의 경제
[헬로티] 인텔이 인텔 하이브리드 기술(Intel Hybrid Technology)이 탑재된 인텔 코어 프로세서, 코드명 “레이크필드(Lakefield)” 를 출시했다. 인텔 포베로스(Foveros) 3D 패키징 기술을 활용한 레이크필드 프로세서는 전력 및 성능 확장성을 위한 하이브리드 CPU 아키텍처 특징을 갖췄다. 레이크필드 프로세서는 생산성 및 콘텐츠 제작 전반에서 인텔 코어 성능과 완전한 윈도 운영체제 호환성을 지원하는 가장 작은 프로세서로, 초경량 및 혁신적인 폼팩터를 구현한다. ▲인텔 하이브리드 프로세서, 코드명 “레이크필드(Lakefield)” 크리스 워커(Chris Walker), 인텔 부사장 겸 모바일 클라이언트 플랫폼 부문 총괄은 “인텔 하이브리드 기술을 탑재한 인텔 코어 프로세서는 PC 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한 인텔 비전의 초석이며, 아키텍처와 IP의 독특한 조합으로 실리콘을 설계하는 방식을 택했다”며, “레이크필드 프로세서는 파트너와의 긴밀한 공동 설계 협력을 통해 혁신적인 미래 디바이스의 새로운 잠재력을 일깨웠다”고 말했다. 인텔 하이브리드 기술이 탑재
[헬로티] 안랩이 클라우드 및 하이브리드 환경(클라우드 환경과 온프레미스 서버 환경을 동시에 사용)에서 워크로드 보호 기능과 연동된 보안제품 통합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클라우드 워크로드 보안 플랫폼 ‘AhnLab CPP’를 출시했다. ▲안랩이 클라우드 워크로드 보안 플랫폼 안랩 CPP를 출시했다. 워크로드(Workloads)는 운영체제, 애플리케이션 등 사용자의 비즈니스 가치를 창출하는 인프라 자원의 모음을 의미한다. 이번 출시한 ‘안랩 CPP’는 안전한 애플리케이션만 동작하도록 설정 가능한 화이트리스트 기반 ‘애플리케이션 제어(Application Control)’ 기능, 안랩의 축적된 보안 위협 분석·대응 노하우를 반영한 시그니처 기반 ‘네트워크 침입 공격 탐지·방지(Host IPS)’, 서버 전용 보안 솔루션 ‘V3 Net’ 기반 악성코드 탐지·대응 등 클라우드 및 하이브리드 환경에서 워크로드 보호 기능을 제공한다. ‘안랩 CPP’는 클라우드 및 하이브리드 환경의 서버에 대한 보안 가시성과
[첨단 헬로티] 아빈드 크리슈나(Arvind Krishna) IBM CEO는 ‘IBM 씽크 디지털(Think Digital) 2020’ 기조연설에서 코로나 바이러스(COVID-19) 사태로 인해 대두된 전례 없는 도전 과제에 대응해 기업들은 비즈니스 및 네트워크 탄력성을 구축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IBM의 연례 행사인 ‘IBM 씽크’는 올해 최초로 디지털 기반의 버추얼 컨퍼런스로 진행되었다. ▲아빈드 크리슈나 IBM 신임 CEO 지난 4월 정식 취임한 아빈드 크리슈나 CEO는 “역사는 현 상황을 기업과 사회의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이 급격히 가속화된 시기로 기억할 것”이라며, “지금 뿐 아니라 향후 수년간 비즈니스와 고객에게 유용할 새로운 솔루션, 새로운 근무 방법, 새로운 파트너십을 형성하고 개발할 수 있는 기회”라고 말했다. 특히, 아빈드 크리슈나 CEO는 “디지털 전환을 주도하는 두 가지 주요 동력”으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와 AI를 꼽고, 기업이 하이브리드 클라우드를 선택해야 하는 이유로 아래 네 가지 필수적 요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