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김진희 기자 | 우리나라와 필리핀 간의 자유무역협정(FTA) 협상이 지난 26일 최종 타결됐다. 또 캄보디아와 자유무역협정(FTA)에 최종 서명했다. 이로써 아세안 주요국가와 다자·양자 FTA 네트워크를 구축하게 됐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날 한-아세안 정상회의를 화상으로 열어 한-필리핀 FTA 타결선언식과 한-캄보디아 FTA 서명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한-필리핀 자유무역협정은 높은 수준의 개방에 합의해 한국은 전체 품목 중 94.8%, 필리핀은 96.5% 관세를 철폐하기로 했다. 특히 백신·기후변화(국가별 자발적 감축목표 포함)·문화 등 분야를 포함해 미래지향적 경제협력 플랫폼을 구축했다. 백신 및 국가별 자발적 감축목표 해외감축 협력이 FTA 협정문에 도입된 최초 사례다. 한-캄보디아 자유무역협정은 신남방정책 발표 이후 메콩국가와 첫번째 FTA로 공급망 다변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아세안 FTA/RCEP 대비 화물자동차·섬유·기계·딸기·배 등을 추가 개선하고, 최빈개도국과 FTA로 개발경험 공유를 통한 상생협력 토대를 마련했다.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과 라몬 로페즈(Ramon M. Lopez) 필리핀 통상산업부 장관은 이날 한
헬로티 김진희 기자 | 한국형 스마트시티가 경쟁력을 인정받아 세계로 확산되고 있다. 국토교통부와 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은 우리나라의 스마트시티 경험과 우리 기업의 우수한 정보통신기술(ICT)을 해외에 확산하기 위한 ‘K-City Network 글로벌 협력 프로그램’(이하 K-City Network) 공모를 통해 총 11건(11개국)의 사업을 선정했다고 23일 밝혔다. 선정된 사업은 도시개발형 4건(4개국), 솔루션형 계획수립 4건(4개국), 솔루션형 해외실증 3건(3개국)이다. 지역별로는 신남방·신북방 3건, 기타 5건(유럽 2, 북미·남미·아프리카 각 1건)이 선정됐다. 선정된 사업에 대해 도시개발형은 4억~6억원, 솔루션형 계획수립은 2억~3억원, 솔루션형 해외실증은 4억~6억원 규모로 기본계획(MP) 또는 타당성조사(F/S) 수립과 초청연수, 기업의 해외실증을 지원한다. 도시개발형 계획수립 사업에는 필리핀 클락 경제자유구역 스마트시티, 인도네시아 신수도 공무원주택 시범단지, 우즈베키스탄 타쉬켄트 혁신단지 및 스마트시티, 케냐 나이로비 중앙역 스마트시티 등 4개 사업이 선정됐다. 필리핀 클락 경제자유구역 스마트시티 기본계획은
[첨단 헬로티] 중국 태양광 모듈 제조업체 중 하나인 세라핌(Seraphim)이 가장 영향력이 큰 EPC 서비스 공급업체 중 하나인 ERS와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이 계약에 따라 세라핌은 필리핀에서 진행되는 여러 프로젝트에 183MW에 달하는 고효율성 태양광 모듈을 공급하게 된다. Ayala Corporation의 에너지 플랫폼 AC Energy Inc.의 EPC 계약자인 ERS Energy Sdn Bhd와 모듈 공급업체인 세라핌이 공동으로 개발하는 이들 태양광 발전소 프로젝트는 라구나의 Alaminos와 잠발레스의 Gigasol에 위치한다. ERS Energy Sdn Bhd 상무이사 Jonathan Kan은 “세라핌과 자사는 수년째 우수한 협력 관계를 이어오고 있다”며 “태양광 산업에 대한 세라핌의 열정과 전문성에서 깊은 인상을 받았으며, 세라핌을 이상적인 파트너로 보고 있다. 앞으로 세라핌과의 협력을 통해 고객에게 품질이 높고, 안전하며, 믿을 수 있는 제품을 공급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들 프로젝트에는 세라핌의 단결정 158.75mm 반전지 PERC 모듈이 사용된다. 세라핌은 혁신적인 설계 특징들을 통합
[첨단 헬로티] 한-필리핀 자유무역협정(FTA) 제5차 공식협상이 오는 29일(수)부터 31일(금)까지 필리핀 마닐라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우리 측은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실장을 수석대표로 산업통상자원부, 기획재정부, 농림축산식품부 등 관계부처로 구성된 정부대표단이 협상에 참여한다. 필리핀 측은 통상산업부 세페리노 로돌포(Ceferino S. Rodolfo) 차관 및 앨런 갭티(Allan B. Gepty) 차관보를 공동수석대표로 통상산업부, 농업부, 법무부, 투자청 등 관계부처로 구성된 정부대표단이 참석할 예정이다. 양국은 작년 6월 한-필 FTA 협상개시를 선언한 이후 네 차례 공식협상을 개최했으며, 11월 한-필 정상회담 계기에 양국 통상장관은 한-필 FTA 상품협상 조기성과 패키지를 합의해 협상 진전을 확인한 바 있다. 이번 협상에서 상품, 원산지, 협력, 총칙 챕터의 협정문 협상과 상품 시장접근에 관한 양허 협상을 진행할 예정이다. 필리핀과의 교역규모는 ’19년 약 120억 불(수출 84억 불, 수입 37억 불)로, 아세안 10개국 중 제5위의 교역 상대국으로서 한-필 FTA가 체결될 경우 양국간 경제협력 관계가 크게 확대되는 기반을
[첨단 헬로티] 이리언스(대표 김성현)가 7억 동남아시아인의 축제 ‘2019 필리핀 동남아시안게임’ 주경기장 진입로를 밝히는 에너지저장장치(ESS) 태양광 가로등 1단계 설치공사를 성공적으로 끝마쳤다. 이리언스는 오는 30일 개최되는 ‘제30회 동남아시안게임’ 주경기장에 순수 국내기술로 개발한 신재생에너지 옥외조명시스템 ‘슈퍼커패시터 ESS 태양광 가로등’ 설치를 완료했다고 20일 밝혔다. ▲ 필리핀 뉴클락시티 건설현장 기념사진. 왼쪽에서 네번째가 김성현 이리언스 대표. <사진 : 이리언스> 동남아시안게임(Southeast Asian Games)은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태국 등 11개국이 참가하는 동남아시아 최대 종합스포츠대회다. 동남아시안게임연맹이 주관하고 국제올림픽위원회와 아시아올림픽평의회가 감독하는 이 대회는 2년마다 개최되며 열대국가만 참가해 동계대회는 열리지 않는다. 이리언스가 이번에 완공한 태양광 가로등 설치지역은 필리핀 최초 스마트시티 건설사업인 ‘뉴클락시티’ 동남아시안게임 주경기장 진입로 구간이다. 이 곳은 두테르테 필리핀 대통령이 수
[첨단 헬로티] 노르웨이를 기반으로 하는 굴지의 태양광 에너지 기업 Ocean Sun이 건설한 필리핀 최초의 200kw 부유식 태양광 발전 프로젝트가 최근 가동에 들어갔다. 이 공동 프로젝트는 Ocean Sun과 GCL-SI 파트너십의 일환으로 진행됐다. 이 시범 발전소는 필리핀 재생에너지 기업 SN Aboitiz Power-Magat (SNAP)의 첫 번째 비수력 발전 프로젝트다. 1,170헥타르 면적의 Magat 저수지에 위치한 이 발전소는 와해적인 날씨 조건과 강력한 태풍을 견딜 수 있도록 특별히 설계됐다. 이 프로젝트는 10개월 동안 시범 테스트를 거친 후 SNAP의 Magat 수력 발전의 주택 부하 요건을 먼저 충족시킬 예정이다. 여기에서 성공적인 결과가 나오면, SNAP이 프로젝트의 확장도 고려할 예정이다. 그 목적은 생산된 전력을 통해 자사의 재생에너지 역량을 향상시키고, 필리핀의 에너지 안보에 일조하는 것이다. GCL-SI 회장 Eric Luo는 “자사는 세계적인 규모로 비용 효과적인 재생에너지를 개발하는 데 적극적으로 참여해왔다”며 “이 획기적인 필리핀 프로젝트에서 Ocean Sun과의 협력을 통해 자사의 국제
[첨단 헬로티] 한국전력(대표이사 사장 김종갑)이 필리핀 재생에너지 시장에 최초로 진출했다. 지난 12월 10일 오후 5시, 한전은 필리핀 마닐라에서 ‘칼라타간(Calatagan) 태양광 발전소 지분 인수 서명식’을 갖고 향후 추가사업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도 체결했다. 이날 행사에는 김종갑 사장, 알폰소 쿠시(Alfonso Cusi) 필리핀 에너지부 장관, 레안드로 레비스테(Leandro Leviste) 솔라필리핀 사장 등 양국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이번 MOU 체결로 한전은 솔라필리핀이 칼라타간 지역에서 운영 중인 50MW 규모의 태양광 발전소 지분 38%를 인수했고, 필리핀 국영송전공사와 장기 전력판매계약을 맺었다. 이로써 한전은 향후 18년간 총 3,180억 원의 매출을 올릴 것으로 기대된다. 한전이 필리핀 전력사업에 진출한 것은, 말라야 발전소, 일리한 발전소, 나가 발전소, 세부 발전소 운영에 이어 다섯 번째다. 신재생 에너지 발전 사업은 이번이 처음이다. 김종갑 사장은 서명식에서 “앞으로 한국전력의 동남아 신재생에너지 시장경쟁력이 한층 높아지길 기대한다”며 ”향후 한국전력은 기존 화력발
[첨단 헬로티] KT가 필리핀 현지 사업자와 대규모 광케이블망 구축계약을 체결했다. 이로써 KT는 필리핀 진출의 교두보를 확보하고 더 나아가 동남아시아 지역에 KT의 앞선 기술력을 적극 알릴 수 있게 됐다. KT(회장 황창규)는 지난 8일(현지시간) 필리핀 수도 마닐라에서 필리핀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ISP) ‘컨버지 ICT 솔루션즈(Converge ICT Solutions, 이하 컨버지)’에서 발주한 530억원 규모의 광케이블망 구축 사업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날 체결식에는 KT 글로벌사업추진실장 윤경림 부사장, 컨버지 데니스 위(Dennis Anthony H. Uy) 회장 등 양사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이번 사업은 컨버지가 필리핀 전국에 커버리지를 확장하는 전국망 구축사업의 일환이다. KT는 필리핀의 최대 크기 섬이자 전체 인구의 약 절반이 거주하는 루손섬 북부지역 약 1,570km 구간의 광케이블망 공사를 맡아 주요 도심구간과 간선도로를 따라 광케이블 및 통신관로를 구축한다. KT는 이번 사업에서 광케이블망 구축 자재로 국산 제품을 사용할 예정이며 국내 우수 중소기업들과 함께 글로벌 시장에 진출해 동반성장을 강화할 계획이다
[첨단 헬로티] 한국전력은 5월 29일부터 31일까지 캄보디아와 필리핀에서 동남아시아 지역 판로확대를 위한 수출촉진회를 개최했다. 수출촉진회는 한국전기산업진흥회, KOTRA와 협력중소기업 10개사가 함께 했다. 한전은 이번 수출촉진회 기간 동안 전력 신기술 세미나를 열고 현지 바이어를 초청, 한전의 마이크로그리드, SCADA SCADA(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원격감시제어시스템, DAS DAS(Distrubution Automation System) 배전자동화시스템 등 전력 신기술의 우수성을 소개했다. 또한, 한전은 협력 중소기업의 수출유망 기술과 제품을 홍보하는 자리도 마련했다. 수출촉진회 참여 중소기업들은 현지 바이어와 1:1 비즈니스 미팅을 통해 수출촉진회 기간 동안 총 109건의 상담을 통해 1,622만불의 수출 상담실적을 올렸다. 특히 영화산업전기(주)는 필리핀 4개 현지 바이어와 MOF MOF(Metering Out Fit) 계기용 변압 변류기 300대에 대한 구체적인 수출협상을 진행하는 등 동남아시아 시장 진출에 대한 발판을 마련했다. 전력 신기술 세미나에서는 주 캄보디아 대한민국 대사, 캄보디아
[첨단 헬로티] 한국전력(이하 한전)은 지난 10일(금) 필리핀 클라크 경제자유지역의 미군기지전환개발청(BCDA) 본사에서 BCDA와 ‘뉴 클라크 시티 배전망 건설·운영 및 스마트 에너지 시티 건설 공동개발’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양해각서 체결식에는 한전 고재한 필리핀 현지법인장과 BCDA 비벤시오 디존(Mr. VIVENCIO B. DIZON) 미군기지전환개발청 사장 등이 참석했다. 뉴 클라크 시티 개발사업은 필리핀 미군기지전환개발청(BCDA)이 필리핀 루손섬 중부 클라크지역에 여의도 면적 32배에 달하는 약 9,450ha 규모의 부지에 백만명이 거주할 수 있는 신도시를 건설하는 사업이다. 이번 한전과 필리핀 미군기지전환개발청(BCDA)과의 뉴 클라크 시티 개발 양해각서 체결은 한전의 지속적인 에너지신기술 해외사업화 노력의 결실로 성사됐다. 한전은 이번 양해각서 체결을 통해 뉴 클라크 신도시에 ‘지중배전망 건설 운영을 통한 전력공급 및 뉴 클라크 스마트 에너지 시티 건설’ 사업 타당성조사를 수행하고, 타탕성 조사결과에 따라 미군기지 전환개발청과 공동으로 배전회사를 설립하여
ⓒGetty images Bank [첨단 헬로티]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원장 윤종록)은 국내 중소IT기업의 동남아시아 정보통신기술(ICT)시장 진출을 지원하기 위한 IT 로드쇼를 9월 7일(목) 부터 9월 13일(수)까지 필리핀(마닐라)과 베트남(하노이)에서 개최한다. 금번 IT로드쇼는 성장이 정체된 국내시장과 한한령(限韓令)의 영향으로 중국시장 진출에 어려움을 격고 있는 국내 중소 ICT기업의 판로 확보를 위하여 마련됐다. 현지 수요에 맞춘 수출 경쟁력이 있는 국내 18개 기업이 필리핀·베트남 바이어를 대상으로 서비스·제품을 전시·시연하고, 바이어와 기업간 1:1 비즈니스 수출 상담을 진행하며, 주요 기업 방문을 통해 현지시장 수요발굴과 진출기회 확대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IT로드쇼 참가 기업은 휴대폰의 스피커 음향을 통해 결제를 할 수 있는 신기술을 보유한 수출 초보기업인 ‘인포소닉’, 국내에서 검증된 전자문서시스템으로 본격적인 해외진출을 노리고 있는 ‘제이씨원’ 등 다양한 SW·통신 서비스 분야의 벤처·중소기업들로
[첨단 헬로티] 한국반도체산업협회가 지난 4월 7일 판교 한국반도체산업협회 회관에서 필리핀 산토 토마스 대학교 전자공학과 학생 68명을 대상으로 반도체 기술 세미나를 진행했다. ▲한국반도체산업협회 세미나에 참여한 산토 토마스대학의 전자공학도들 산토 토마스대학은 필리핀 4대 명문 대학 중 하나이며 406년의 역사를 지닌 아시아에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대학이다. 산토 토마스대학 측은 반도체 여러 기술 분야 중에서도 최첨단 미세구조 제작기술인 MEMS와 NEMS(Nano Electro Mechanical Systems, 나노 정밀 제어기술) 세미나를 요청했다. 이에 한국반도체산업협회는 김도현 명지대학교 교수를 초빙해 지속적으로 발전해 온 우리나라의 반도체 미세공정 기술을 소개했다. 세미나에 참여한 산토 토마스대학 측은 “세계 최고의 반도체 기술을 접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돼 매우 뜻깊게 생각한다”며 소감을 밝혔다. 또한 “이번 세미나를 통해 필리핀의 젊고 역량있는 공학도들이 반도체 분야 글로벌 인재로 거듭날 수 있는 강력한 동인(動因)을 얻게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남기만 한국반도체산업협회 상근부회장은 “
ⓒGetty images Bank [헬로티] 국토교통부는 필리핀 교통관계자를 초청해 우리나라 지능형교통체계(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ITS) 기술공유와 전문지식을 전수하는 연수를 실시한다고 23일 밝혔다. 23일부터 29일까지 7일간 진행되는 이번 초청연수에는 필리핀 교통부, 마닐라 개발청, 운수사업청, 고속도로 관리기관 등 민·관의 고위급 및 실무급 관계자들이 참석한다. 국토부는 우리나라 ITS 구축 현황과 기술을 전수하고, 다양한 교통정보센터 견학을 통해 도시 규모에 따른 도시 관리 기능 및 ITS 시설을 체감할 기회를 제공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지난 3월 동남아 ITS 로드쇼에서 큰 호평을 받은 일대일 업무회의의 연장선으로 1대1 상담회 자리를 마련하고 한국 기업들이 가진 경험과 기술의 해외진출을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필리핀 정부는 극심한 교통난 해소를 위해 마닐라권역 통합 모빌리티 센터, 대중교통 요금체계 통합, 세부 및 마닐라 등의 간선급행버스체계(BRT) 구축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국토부 관계자는 "그동안 현지에서 쌓아온 우리 기업의 실적을 바탕으로 필리핀 정부도 한국 기업의 진출을 적극 환영하
한국전력이 7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필리핀 마닐라에서 열린 ‘한·아세안 그랜드 프로젝트 파트너십 2015’에서 한전이 보유하고 있는 발전소 운영기술에 대한 수출상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수출상담회에는 필리핀, 베트남 등 아세안 7개국의 에너지 및 플랜트 관련 정부, 산업계 관계자 등 70여 기관 200여명이 참석해 한전의 발전운영기술과 발전기자재에 대해 높은 관심을 보였다. 특히, 이번 수출상담회에는 한전 전력연구원에서 개발한 보일러 연소제어시스템 기술 등 우수기술 8건에 대한 수출상담 이외에도, 한전에서 기술이전을 받아 사업화에 성공한 맥스파워, 비츠로테크 등 협력 중소기업 8개사가 참여해 아세안 7개 참가국 바이어들과 일대일 상담을 하며 기술 홍보 및 마케팅을 전개했다. 한전은 이번 수출상담회를 계기로 전력연구원이 보유 중인 우수기술에 대해 해외 마케팅을 강화하고, 협력 중소기업의 시장개척 지원 등을 적극 추진해 에너지 분야에서의 글로벌 기술 리더 역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전 전력연구원 최인규 원장은 “전력연구원이 지난 50여 년간 축적한 세계 최고 수준의 발전운영기술과 경험을 활용해 해외사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