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김진희 기자 | 한화정밀기계는 이달 16일부터 19일까지 독일 뮌헨에서 열리는 전자생산기술 전시회 '프로덕트로니카(Productronica) 2021'에 참가했다고 밝혔다. 독일 프로덕트로니카 전시회는 세계 최대 전자제품 생산설비 박람회로 독일 뮌헨에서 격년으로 개최된다. 한화정밀기계는 스마트 SMT 기능이 적용된 고속 칩마운터 'HM520' 라인과 중속기 모델인 DECAN(데칸) S1과 SM485 장비를 전시하여 제품의 범용성 및 이형 부품 대응 기술을 강조하고, 인더스트리 4.0을 구체화한 스마트 팩토리 소프트웨어 솔루션을 보이며 글로벌 고객들의 시선을 사로 잡았다. 특히 이번 전시회에는 유럽 고객들의 자동화 요구 기능에 맞춰 회사가 자체 개발한 소프트웨어 솔루션인 'T-Solution'을 중점 홍보했으며 고객들이 적은 비용으로 생산 효율과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기능을 개발했다고 회사는 밝혔다. 또한 검사기 장비와의 정보 연동으로 장착 품질을 실시간으로 보정하는 M2M 기능과 자재 잔량 정보와 가용 자원을 고려해 최적 생산 계획을 수립하는 PP(Production Planning) 소프트웨어도 선보였다. 이를 통해 모든 생산공정을 유기적으로
삼성테크윈의 스크린프린터 SP1-W는 SP1 Series에 고성능 PCB & Mask Size를 확장함으로써 범용성을, 그리고 12.5㎛@6σ의 정도와 7 sec의 인쇄속도로 실 생산성을 향상하여 Throughput을 극대화했다. 또한 Single·Dual Lane을 지원하며, 이종·혼류생산 지원 등 다양한 옵션을 공급함으로써, 고객이 원하는 최적의 인쇄 환경을 제공한다. 임재덕 기자(smted@hellot.net)
엠시스의 SMT공정에서 이물질을 원천적으로 제거해 불량률을 줄여주는 스크린 프린터 SMART-M50PLA는 PLASMA Cleaning 시스템을 내장하고 있어, PCB 투입 전 Plasma Cleaning 시스템을 통해 솔더 빠짐을 방지했다. 또한 Stencil Align & PCB Up Down 방식을 채용하고 있으며, 솔더 페이스트 과정 중 이물질이 낄 수 있는 부분을 원천적으로 제거했다. 임재덕 기자(smted@hellot.net)
탑솔루션의 Momentumⓡ C 모델은 ±12.5㎛@6δ의 반복정밀도와 휴대전화 생산라인에 대응하는 프린팅 사이클 타임이 특징이다. 특히 ‘원사이클 와이핑 시스템’이 적용돼 프린팅 시간을 대폭 단축시켰다. 또한 스퀴즈를 밀 때 솔더의 높이를 모니터링해 솔더의 높이가 낮아지면 자동으로 공급해주는 ‘솔더 높이 모니터링 기능’을 탑재해 사용자의 편리성을 강화했다. 이 외에 Momentumⓡ C를 배면 배치하는 듀얼레인 구조 또한 가능하다. 임재덕 기자 (smted@hellot.net)
휴트론에서 취급하는 독일 EKRA사의 스크린프린터 Serio 4000는 고품질 6시그마를 기준으로 ±12.5㎛의 높은 정밀도 및 03015 부품의 인쇄에도 적합하다. 이 장비는 터치스크린과 원터치 방식의 스퀴치 탈부착 방식을 채택해 사용 편의성을 높였다. 또한 실시간 제어 가능한 자동 압력조절 스퀴지, 고성능·고기능 카메라 비전시스템, 솔더 검사기와의 연동시스템 및 본드용 디스펜서를 장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임재덕 기자 (smted@hellot.net)
DEK Horizon 01iX는 대량 및 다품종 생산을 요구하는 제조분야에 완벽한 솔루션을 제공한다. 또한 DEK HawkEye 1700 print 검증기, ProDEK closed loop 기술, 검증 및 추적 소프트웨어, 대량 생산용 컨베이어 등의 첨단기술을 갖춘 툴(tool)과 함께 구성되어, 속도, 공정제어, 품질, 정확도 등 산업 내에서 요구되는 사항을 만족시킬 수 있다. 더불어 > 2 Cpk @ ±12.5 μm(6 sigma)의 정확도를 바탕으로 고객사의 높은 생산성과 수익을 보장한다. 임재덕 기자 (smted@hellot.net)
ESE의 스크린프린터 US-X Series의 특징은 일반 작업자가 운영함에 있어 간단한 교육을 통하여 쉽게 운영 할 수 있는 UI와 정반을 사용한 2∼3/100미크론의 조립 기술 등이다. 또한 정밀 프린터를 위한 주요 부품에 고정밀 고가제품을 적용하여 Table과 프린터 레일을 강화시켰다. 특히 2개소의 Z축에 각각 4개의 볼스크류와 LM이 사용되어 뛰어난 안정성을 자랑한다. 임재덕 기자 (smted@hellot.net)
SJ INNO TECH의 스크린프린터 HP-520SPI는 기본적인 스크린프린터 구조와 3D SPI 기능을 함께 갖춘 복합기로써, Dual Projection 3D Color 영상을 이용한다. 이 설비는 솔더페이스트 프린팅 작업 시 미납, 과납 및 형상불량 등의 불량을 혁신적으로 감소시켰으며, PCB에 도포된 납을 3D로 전수 검사해 균일한 인쇄상태로 유지할 수 있어 생산성을 극대화하는 데 효과적이다. 임재덕 기자 (smted@hellot.net)
JOTRA가 취급하는 스크린프린터 XN-450M는 ±12.5마이크론(±0.0005”)@6σ의 반복정밀도에 고강도 UVW 스테이지를 사용한 구동부와 역삼각형 방식의 Z축 구동방식을 적용해 안정성을 향상시켰다. 또한 초정밀 제어가 가능한 드라이브모터를 채용해 PCB 두께에 따라 자동으로 최적의 인쇄높이 및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더불어 신속한 AS가 가능한 구조로 설계되어 설비의 고장으로 인한 라인 가동 중지 위험을 최소화시켰다. 임재덕 기자 (smted@hellot.net)
YJLINK의 레이저마킹기 ALMC Series는 다양한 레이저 소스를 사용해 전기, 전자 및 자동차 산업의 공정관리를 위한 1D/2D 바코드, PCB 및 다양한 재질에 마킹할 수 있도록 특화돼 있다. 또한 스테이지 무빙타입을 적용함으로써, 많은 수의 코드를 PCB에 마킹할 시 빠른 사이클 타임을 유지할 수 있으며 파나소닉 레이저 헤드와 YJ Link의 자체 제작 레이저마킹 솔루션을 통해 최적의 이력관리를 제공함으로써, 최적화된 공장 자동화를 이룰 수 있다. 임재덕 기자 (smted@hellot.net)
남아전자가 취급하는 스크린프린터 AP430는 독일 Autotronik-SMT GmbH社의 제품으로써, Full자동 고정밀도 프린터이다. 장비의 정밀도와 내구성이 뛰어나며, 반복작업에 우수하고 균일한 작업 구현이 가능하다는 것이 장점이다. 또한 스퀴즈의 하강 압력과 스피드는 Air 압력이 아닌 Stepping Motor 제어이며, 이를 통해 고정밀 프린팅을 실현했다. 본 장비는 미국의 Manncorp에서 연간 100 System 이상 판매하며 내구성을 인정받았다. 가격은 4,000만원대부터이다. 임재덕 기자(smted@hellot.net)
올해도 SMT 업계의 경기가 나아질 조짐이 보이지 않는다. 이는 스크린프린터 업계도 예외는 아니다. 지독한 경기침체에도 불구하고, 해외시장을 적극 공략해 올해 ‘1000만불 수출탑’ 수상 예정 등 지속적 성장을 거듭하고 있는 SJIT의 김재수 상무와 이야기를 나눴다. Interview | SJIT 김재수 상무 Q. 올해 SMT 업계 경기가 부정적이다. 실상은 어떤가 A. 최근 국내 SMT 경기가 상당히 위축된 것은 사실입니다. 2/4분기 이후부터 국내 설비출하 실적이 두드러지게 악화되고 있죠. 많은 국내기업의 중국, 베트남 등 해외시장 진출, 이미 생산 Capa 대비 많은 설비가 구축된 점 및 스마트시장 판매량 감소 등의 이유로 당분간 SMT 시장 경기 위축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입니다. 2015년의 반이 지나간 현재, 국내시장에서는 자동차 전장 및 설비 교체시장 외에는 실질적인 설비투자가 거의 없습니다. 이는 스마트시장의 축소가 설비 투자 위축으로 이어진 것 같습니다. 그래도 자동차의 지능화 추세 및 전기자동차 보급 등으로 인해 전장시장의 지속적인 설비 투자는 앞으로도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Q. 그렇다면, 해외시장에 눈을 돌릴법한데
전체 매출 중 해외 매출이 70% 차지해 국내 SMT 시장의 대폭적인 설비투자는 올해도 기대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이에 많은 업체들이 자신만의 활로를 찾고 있다. ESE의 고영선 부사장은 “기존 인쇄기 시장의 불황과 치열한 경쟁으로 인해 생존 및 성장은 쉽지 않다”며, “이를 타계하기 위해서는 시장의 다변화와 글로벌 장비사로의 성장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Interview | ESE 고영선 부사장 Q. ESE를 소개해 달라 A. ESE는 SMT Nozzle을 최초로 국산화한 기업으로서, Nozzle 가공 기술 노하우를 접목해 스크린프린터를 개발·생산하는 전문회사로 성장했습니다. 최근에는 X-SQ를 개발해 글로벌 반도체 및 모바일 업체 모 사업부에서 테스트 중이며, 조만간 양산에 적용할 예정입니다. Q. X-SQ는 무엇인가 A. X-SQ는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03015와 같은 극소형 부품에 특화된 제품으로써, 솔더의 과납과 소납 등 발생 편차를 줄여줍니다. 특히 현장에서 주로 사용하는 Type 5 솔더 페이스트로 03015 인쇄의 균일한 품질이 가능할 것으로 보이며, 이는 Nepcon China
국내 스크린프린터 업체는 힘든 한해를 보내고 있다. 당초 설비투자가 예상되던 자동차 전장 및 반도체 업계의 투자가 주춤하기 때문이다. 이에 업계는 일반적인 스크린프린터로는 대응하기 까다로운 특화된 시장을 공략하기 위한 기술개발에 더욱 박차를 가하고 있다. 당초 SMT 라인 설비를 공급하는 설비 제조업체에서 반도체, 자동차 전장 업계의 투자가 활발할 것으로 내다봤다. 하지만 이 시기가 더 늦어진다는 게 업계 관측이다. 자동차 전장 업계의 지속적인 투자는 있지만 대폭적인 설비투자는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모바일, 반도체 업계의 투자는 거의 전무하다. 이러한 상황은 빠른 시일 내에 회복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ESE의 고영선 부사장은 “연초에 많은 업체에서 자동차 전장 업계의 투자가 활발할 것으로 내다봤지만, 사실 전장도 크게 기대할만한 부분은 없을 것으로 예상했었다. 불행히도 그 예상이 맞아 떨어져 유감”이라며, “하반기에도 부분적인 설비 교체 및 각 사업군의 일부 작은 투자는 있을 것으로 보이지만, 상황이 썩 좋아질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라고 우려했다. SJIT의 김재수 상무는 “연초 국내시장의 경우 자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