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함수미 기자 | 테스트웍스는 '2021 대한민국 인공지능대상'에서 혁신을 선도하는 AI 데이터 구축으로 'AI 데이터 부문 대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테스트웍스는 AI 데이터 생성에 주도적인 역할을 한 결과 그 공로를 인정받아 AI 데이터 부문 대상을 수상했다. 윤석원 테스트웍스 대표는 "테스트웍스는 AI 데이터 수집부터, 데이터 라벨링, 데이터 품질 검수까지 기술 기반의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하며 고품질의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셋 구축 대표 기업으로 자리매김해왔다"라고 말했다. 덧붙여 "무엇보다 기업의 지속성장이 기술과 사람의 다양성을 보장하는 것에서 시작된다는 비전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실천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다양한 인공지능 데이터 구축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ICT 교육 및 취업연계 프로그램 운영 등 지원 체계 확립을 통해 고용 창출에 나서고 있다"라고 밝혔다. 테스트웍스는 디지털 뉴딜을 통해 다양한 AI 학습 데이터 구축 과제를 수행하면서 AI 데이터 생태계 형성에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대규모 데이터셋 구축 사업의 성공 요인으로는 ▲크라우드-소싱 방식의 데이터 수집 가공 플랫폼 ▲데이터 라벨링 자동화 솔루션 ▲전문 인력의 가공과 검수
헬로티 이동재 기자 | 테스트웍스가 스마트 국방 혁신 및 다양한 디지털 트윈 사업을 이끌어온 ‘모아소프트’, AI 및 데이터 컨설팅 전문기업 ‘티지’와 스마트시티 사업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7일 밝혔다. 테스트웍스와 티지는 이미 인천시 테크노파크 사업을 통해 "AI 기반 아동 안심 서비스, AI 기반 행동인지 서비스" 등 스마트시티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모아소프트는 소프트웨어, 시스템 신뢰도 분석 및 평가 전문기업으로 무인기 체계 관련 다수 사업을 진행해왔으며, 이를 바탕으로 스마트시티 내 드론 사업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스마트시티는 첨단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해 도시 생활에서 발생되는 교통, 환경, 주거 문제를 해결한 도시를 말한다. 디지털 트윈은 이러한 스마트시티 서비스 구축을 위해 디지털 세계에 현실과 같은 환경을 만들고, 현실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을 컴퓨터로 시뮬레이션함으로써 결과를 미리 예측하고 문제점을 보완해, 실제 서비스를 구현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테스트웍스, 모아소프트, 티지 3사는 본 사업을 통해 메타버스와 디지털 트윈을 연계해 가상화 세계에서 모의 시험 및 검증을 진행하고 이를 통해 인프라의 효율적 관리와 최적화를
[헬로티] (출처 : 테스트웍스) 테스트웍스가 자사의 인공지능 데이터 자동화 가공 관리 솔루션 ‘블랙올리브(blackolive)’가 GS(Good Software) 인증 1등급을 획득했다고 13일 밝혔다. GS인증은 소프트웨어의 품질을 증명하는 국가 인증제도로, 공공 납품을 위한 필수 요건이다. GS 인증은 국제표준을 기반으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합성, 성능효율성, 호환성, 사용성, 신뢰성, 보안성, 유지보수성, 이식성, 일반적 요구사항 등 아홉 가지 항목에 대한 시험 수행 후 국가에서 부여하는 소프트웨어의 품질 인증 제도다.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와 한국산업기술시험원(KTL)이 실제 운영 환경과 동일한 조건으로 제품의 품질을 종합적으로 평가한 후 인증심의위원회를 통해 인증여부 결정, 인증 통과 시에 시험성적서 및 품질인증서를 발급한다. 이번에 GS 인증을 획득한 테스트웍스의 블랙올리브는 지난 2019년에 출시된 이후, 동종 업계 선두의 대규모 데이터셋 구축 경험 노하우가 반영된 업데이트 버전이다. 블랙올리브는 인공지능 학습 데이터 구축에 필요한 데이터 라벨링을 위한 데이터 작업 생성, 데이터 개인정보 비식별화, 자동 라벨링, 라벨링
실습과 취업 연계 위한 개별 코칭 진행 [헬로티 = 김동원 기자] 테스트웍스(대표 윤석원)는 ‘AI 어노테이터 교육 과정’ 참가자를 공개 모집한다고 밝혔다. 이 교육과정은 한국정보화진흥원(NIA, 원장 문용식)이 ‘취약계층 취업연계형 ICT 전문 인력 양성 교육’을 위해 추진하는 사업이다. 한국정보화진흥원은 취약계층이 디지털 혜택으로부터 소외되지 않고 사회경제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디지털 실무역량 전문교육을 실시하여 취업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2020년 취약계층 ICT 전문인력 양성 교육을 추진했다. 테스트웍스는 AI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 과정을 운영하고 있으며, 취약 계층 직접 고용은 물론, 취업연계 과정을 지원할 수 있는 역량을 보유하고 있어 NIA의 관련 사업 수행 기관으로 선정됐다. ‘AI 어노테이터(annotator: 주석 및 데이터 분류) 교육 과정’ 수강생은 총 50명을 선정한다. 교육 과정 수강은 결혼이민자, 장애인을 대상으로, 수강 대상자 선정 기준은 취약계층 증빙 서류 확인, 교통수단을 이용한 자가 출근 역량, 온라인 수강 및 재택근무 가능 여부 등을 종합
[첨단 헬로티] S/W 테스팅 및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수집·가공 전문기업 데스트웍스(대표 윤석원)와 비전 인공지능 분야 스타트업 싸이엔스(공동대표 박은진, 이다운)가 인공지능을 활용한 스마트팩토리 시장을 공략하기 위한 업무 제휴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테스트웍스는 인공지능 자율주행 및 스마트팩토리 객체인식 인공지능 개발을 위한 학습용 데이터 셋을 구축하여 왔으며, 다양한 스타트업 및 공공기관의 데이터셋 구축 및 컨설팅 수행을 하면서 양질의 데이터셋 구축을 위한 노하우를 쌓아 왔다. ▲ 테스트웍스 윤석원 대표(좌)와 싸이엔스 박은진(가운데), 이다운 공동대표(우)가 업무협약 체결 후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 : 테스트웍스) 특히 작년도 한국정보화진흥원(NIA) 인도보행영상, 멀티모달 공개데이타셋 구축 및 한국데이타산업진흥원(K-DATA) 데이터바우처 사업에 대한 기술력을 인정받고 대한민국 지능정보사회 선도에 기여한 공로가 인정되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최기영)으로 부터 2019년 12월에 표창장을 받았다. 싸이엔스는 다양한 제조공장 등에 센서와 인공지능 S/W를 결합한 인공지능 스마트 시스템을 개발해왔으며, 스마트팩토리 앙상블솔루션 &ls
[첨단 헬로티] 테스트웍스(대표 육석원)가 글로벌 소프트웨어 기업 출신 이창신 박사를 CTO(최고기술경영자)로 임명했다고 밝혔다. 이창신 박사는 뉴욕 주립 빙햄튼 대학(Binghamton University)에서 인지과학(Cognitive Science)을 전공한 후 지난 20여 년 동안 마이크로소프트와 아마존 등 유수의 글로벌 IT 기업에서 커리어를 쌓아왔다. 이 박사는 마이크로소프트에서 SDET(Software Development Engineer in Test)로서 ‘자연언어그룹, 윈도우 서버’, 태블릿 PC(태블릿과 모바일 필기 인식과 예측 테스트)와 윈도우의 여러 분야의 테스트 및 진단 툴을 개발했다. 또한, 그는 아마존에서 시니어 SDET으로서 결제 서비스(Payments Services)에 필요한 아마존 웹 서비스 보안 결제 프로젝트, 전자상거래 통합 시스템 프레임워크 디자인과 실행 프로젝트 등을 이끈 경력을 보유하고 있다. 윤석원 대표는 “이창신 박사가 가진 글로벌 IT기업에서의 경험과 기술이 젊은 테스트웍스 구성원들에게 이식되기를 기대한다”면서 “기술기반의 사회혁신을 목표로 하는 테스트웍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