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김진희 기자 | 지난달 우리나라의 수출이 추석으로 조업일수가 2일 부족했음에도 불구하고 무역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1956년 이래 65년 만에 최고의 월 수출액을 기록했다. 반도체 등 주력 품목의 선전과 중소기업의 호실적에 힘입어 불과 2개월 만에 최고 기록을 다시 경신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1일 발표한 지난달 수출입 동향을 보면 수출은 558억3000만 달러로, 전년동월대비 16.7% 증가했다. 같은 기간 수입은 516억2000만달러로 31.0% 늘었고, 무역수지는 42억달러로 17개월 연속 흑자를 기록했다. 우리나라 수출은 지난달까지 11개월 연속 증가했으며 지난 3월부터 7개월 연속으로 수출 증가율 두 자릿수를 이어갔다. 특히 지난 7월 역대 1위 수출액을 기록한 이후 2개월 만에 다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일평균 수출액도 27.9% 늘어난 26억6000만 달러로 역대 1위를 경신하며, 총수출액과 일평균 수출액 모두 1위를 기록하는 등 수출 역사를 새롭게 썼다. 품목별로는 반도체·석유화학·철강 등 중간재와 디스플레이·무선통신기기·컴퓨터 등 IT 품목이 모두 두 자리 증가하며 상승세를 이끌었다. 특히 반도체는 15개월 연속 증가한 가운데 올해
헬로티 김진희 기자 | 올해 7월 정보통신기술(ICT) 수출액은 195억 달러로 역대 7월 수출액 중 최대치를 기록했다. 또 지난해 6월 이후 14개월 연속 증가세, 4개월 연속 두 자리 증가한 실적을 보였다. 일평균 수출도 8억 달러로 32.9% 증가해 이 또한 역대 7월 일평균 수출액 중 1위를 달성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12일 발표한 ‘2021년 7월 ICT 수출입 동향’을 보면 지난달 ICT 수출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0.2% 늘었고, 수입은 113억 2000만 달러로 14.9% 증가해 무역수지는 81억 7000만 달러 흑자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품목별 수출 동향을 보면, 반도체는 메모리 및 시스템 수요 확대 등으로 전년 동월 대비 38.8% 증가한 110억 5000만 달러를 기록하며 3개월 연속 100억 달러대 수출을 달성했다. 메모리는 43.8% 증가한 71억 4000만 달러, 시스템은 35.8% 증가한 33억 4000만 달러로 동반 상승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은 모바일 신제품 출시 등으로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 수요가 확대되며 전년 동월 대비 34.9% 증가한 20억 9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공정 전환(LCD→OLED
헬로티 김진희 기자 | 7월 수출이 554억 달러를 넘어서며 우리 무역 역사상 역대 월 기준 최고치를 달성했다. 세계 경기 회복세와 맞물려 반도체, 일반기계, 석유화학 등 15개 주력 품목과 9대 지역 수출이 골고루 성장하며 전체 수출을 끌어올렸다. 산업통상자원부는 7월 수출액이 작년 동기 대비 29.6% 증가한 554억4천만달러를 기록했다고 1일 발표했다. 이러한 월 수출액은 무역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1956년 이래 65년 만에 가장 많은 액수다. 종전 최고 기록은 2017년 9월 551억2천만달러였다. 통상 휴가철인 7월에는 수출액이 다소 줄어들지만, 올해는 수출 역사를 새로 썼다. 이로써 월별 수출은 지난해 11월부터 9개월 연속 증가했고, 10년 만에 4개월 연속 20% 이상 성장했다. 또한 3월부터 5개월 연속 수출액 500억달러를 돌파했다. 1∼7월 누적 수출액도 3천587억달러로 역대 최고치로 집계돼 연간 6천만달러 돌파 가능성도 커졌다. 지난달 수출 증가율은 코로나19 기저 효과 감소로 6월의 39.8%보다는 둔화했다. 품목별로 보면 15개 주력 품목이 모두 증가한 가운데 13개 품목은 두 자릿수 증가율을 보였다. 수출 1위인 반도체는 39.
헬로티 함수미 기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확장가상세계(메타버스) 시대를 선도할 컴퓨터그래픽 분야의 우수 인재 발굴과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위해 7월 15일부터 16일까지 '2021년 확장가상세계 채용 캠프'를 비대면 방식으로 개최한다고 밝혔다. 올해로 4회 차를 맞이하는 이번 캠프에서는 취업을 원하는 참가자들이 채용분야와 관련된 직무 과제를 수행하고, 확장가상세계·컴퓨터그래픽 전문기업들은 참가자들의 직무능력을 평가함으로써 자사에 맞는 인재들을 직접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채용 절차와 별도로 채용구직자들의 전문역량 강화를 위해 채용 분야와 기업에 대한 질의 및 답변, 취업 특강(토크콘서트) 등을 진행하며, 분야별 우수 과제를 선정하여 시상할 예정이다. 이번 캠프는 최근 확장가상세계가 컴퓨터그래픽기술을 기반으로 새롭게 부상하고 있는 점을 고려하여 기존 컴퓨터그래픽 분야를 벗어나 확장가상세계까지 범위를 확대했으며, 이에 따라 채용분야를 기존 컴퓨터그래픽형 4개 외에 확장가상세계 연계형 4개 분야를 추가해 총 8개 분야로 확장했다. 올해 참가한 기업은 영화 '승리호'의 제작에 참여한 위지윅스튜디오, 장편 애니메이션 최초로 아카데미 후보에 올랐던
헬로티 서재창 기자 | 자동차 업계에서 시작한 반도체 부족 사태가 컴퓨터 등 다른 제품의 가격까지 자극하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1일(현지시간) 컴퓨터와 주변기기 등 반도체가 사용되는 제품 가격이 최근 일제히 뛰어올랐다고 보도했다. 아마존은 이번 달부터 대만의 컴퓨터 제조업체 ASUS의 인기 랩톱 모델 가격을 900달러에서 950달러로 50달러 올렸다. HP의 크롬북 가격은 220달러에서 250달러로 30달러 올랐다. HP는 올해 개인용 컴퓨터 가격은 8%, 프린터 가격은 20% 인상했다. 엔리케 로레스 HP 최고경영자(CEO)는 소비자 가격 인상에 대해 반도체 등 부품 가격 상승이 제조 비용을 늘렸기 때문에 소비자 가격을 올릴 수밖에 없었다고 설명했다. 반도체 제조업체들은 가격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반도체 제조업체 아날로그 디바이시스의 빈센트 로세 CEO는 "반도체 부족 현상을 틈타 가격을 올려 이익을 보려는 것이 아니다"라며 "반도체 생산에 드는 비용이 늘었기 때문에 가격을 올릴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자동차 업계에서 시작한 반도체 부족 현상을 타개하기 위해 반도체 업체들이 일제히 생산량을 늘리면서 실리콘 웨이퍼와 각종 금속 소재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수출 전망 조사 결과 이차전지, 자동차, 반도체, 선박, 자동차부품 등은 내년까지 수출 호조세 유지가 전망되는 반면 컴퓨터, 바이오·헬스 등은 올해 하반기에 수출 악화가 우려된다고 밝혔다. 전경련이 12개 증권사 리서치센터장들을 대상으로 15대 품목에 대한 수출 전망을 조사한 결과 수출 호조세가 유지될 것으로 전망되는 품목은 이차전지(22.0%), 자동차(13.6%), 반도체(12.0%), 선박(10.5%), 자동차 부품(9.4%) 순으로 조사됐다. 이들 품목의 수출 호조 지속 기간으로는 이차전지가 ‘2024년 이후’(40.0%), ‘2023년 하반기’(30.0%)로 수출 호조세가 가장 오래 지속될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글로벌 전기차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는 가운데 우리 기업들이 이미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어 주요 기업들의 해외 현지 진출 증가에도 불구하고 수출 호조세가 가장 오래 유지될 것으로 전망했다. 자동차와 자동차 부품은 ‘내년 하반기’까지라는 의견이 각각 62.5%, 57.1%로 조사됐으며 이는 기저효과, 코로나 이후 수요 회복, 전기차 시장 확대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의 수출 비중 1위인 반도체는
[헬로티] 마우저 일렉트로닉스는 Empowering Innovation Together(협업을 통한 혁신) 프로그램의 2021시리즈 출시 발표와 새로운 팟캐스트 ‘The Tech Between Us(사람을 잇는 기술)’를 선보였다고 밝혔다. ▲출처 : 마우저 이번 시리즈는 5G부터 오늘날의 주요 기술 트렌드들을 팟캐스트, 비디오, 기사, 블로그 및 인포그래픽 등 다양한 형식들로 더 심도 깊게 다룰 예정이다. The Tech Between Us 팟캐스트의 첫 번째 에피소드에서는 5G 기술에 대해 집중 조명하며, 마우저 웹사이트, 알렉사(Alexa), 애플 팟캐스트, 구글 팟캐스트, 아이하트라디오(iHeartRadio), 판도라(Pandora) 및 스포티파이(Spotify)에서 확인할 수 있다. 글렌 스미스(Glenn Smith)마 우저 일렉트로닉스 사장 겸 CEO는 “연결(connection)이 완전히 새로운 의미를 가지는 이 세상에서, 기술자, 엔지니어, 혁신가들의 세계를 이끄는 혁신 마인드에 힘입어 우리는 그 어느 때보다 더욱 연결돼 있다”고 말했다. 이번 시리즈는 매달 다양한 콘텐츠를 통해 신기술 트렌드를 탐구한
[헬로티] 코그넥스가 고성능 휴대용 바코드 리더기 ‘데이터맨(DataMan) 8700’ 시리즈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출처 : 코그넥스 ‘DataMan 8700’ 시리즈는 새로운 플랫폼으로 개발된 차세대 휴대용 바코드 리더기로서, 튜닝이나 별도의 교육 없이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고 코그넥스는 전했다. DataMan 8700 시리즈는 코드의 중요한 요소가 누락되거나 손상된 경우에도 까다로운 DPM(직접 부품 표시) 및 라벨 기반 코드를 즉시 판독할 수 있다. 오일에 잘 견디고 방수 플라스틱으로 설계된 이 리더기는 오일과 먼지, 수분으로 인한 가장 혹독한 제조 환경에서도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됐다. DataMan 8700 리더기에는 내장 OLED 디스플레이 화면이 포함돼 구성 기능 버튼을 이용해 쉽게 설정할 수 있다. 코그넥스는 이를 통해 무선 신호 강도 및 배터리 수명 표시 등을 빠르게 확인하고, 코드 데이터 읽기 작업을 진행하는 등 별도 PC에 연결하지 않아도 빠르고 직관적인 피드백을 얻을 수 있다고 밝혔다. 또한, 광범위한 산업용 프로토콜 및 무선 통신 옵션을 지원해 어떤 시설에서도 원활하게 컴퓨터와
[헬로티] 데이터로직은 산업용 이미지 기반 스캐너 AV900을 출시하면서 3PL, CEP, 전자상거래 등 물류 이력관리를 위한 솔루션 제공 강자의 위치를 더욱 굳건히 하겠다고 밝혔다. ▲이미지 기반 스캐너 AV900(출처 : 데이터로직) 데이터로직은 크게 4가지 산업 분야(제조, 유통, 물류, 헬스케어)를 축으로 산업용/유통 바코드 스캐너, 모바일 컴퓨터, 비전, 레이저 마킹, 그리고 센서를 생산 및 설계한다. AV900은 ▲확장된 FoV(Field of View)로 시스템 효율성 향상 및 비용 절감 효과 ▲데이터로직의 특허인 PackTrack™ 기능으로 물류 처리량 증대 ▲강화된 알고리즘을 통한 높은 인식률 ▲3가지 포커스 모드로 사용 환경에 따라 유연하게 적합한 모드 설정 등의 기능이 탑재됐다. 데이터로직에 따르면 AV900은 업계 유일한 9MP 고해상도 CMOS 센서가 탑재된 이미지 기반 산업용 바코드 스캐너이며, 5MP AV500과 비교해볼 때 약 33% 더 확장된 FoV를 커버하기에 비용 절감과 유지 보수 측면에서 쉽다고 밝혔다. ▲PackTrack™(출처 : 데이터로직) 또한 PackTrack™소프트웨어 솔루션은 작
[헬로티] CEVA는 'SensPro(센스프로)' 2세대 DSP 제품군을 출시했다. ▲CEVA는 'SensPro(센스프로)' 2세대 DSP 제품군을 출시했다. 신제품 SensPro2는 카메라와 레이더, 라이더(LiDAR), 비행시간, 마이크, 관성 측정 장치(IMU) 등 광범위한 센서와 관련된 AI 및 DSP 처리 작업을 수행한다. 센서 허브 DSP 분야에서 업계 리더십을 가진 CEVA의 SensPro2TM 제품은 이전 제품 대비, 컴퓨터 비전에서 6배 이상의 DSP 처리능력, 레이더 처리에서 8배 이상의 DSP 성능, 2배 향상된 AI 추론 기능, 20% 더 높은 전력 효율성을 동일한 프로세스 노드에서 제공한다. SensPro2 제품군은 필요한 전력과 성능에 따라 확장이 가능하도록 7개의 벡터 DSP 제품으로 구성돼 있다. 새로운 엔트리 레벨 코어는 최대 1 TOPS AI 성능의 워크로드를 필요로 하는 DSP와 AI로 구성되며 하이엔드 코어는 3.2 TOPS에 도달하도록 설계됐다. 각각의 SensPro2 제품군은 레이더와 오디오, 컴퓨터 비전, SLAM을 위한 애플리케이션별 ISA(Instruction Set Architecture)와 부동 소수점 및 정수
[첨단 헬로티] 삼성전자와 마이크로소프트가 손을 잡았다. 스마트폰과 PC 간 존재했던 장벽을 허물기 위해서다. 삼성전자와 마이크로소프트는 7일(현지시각) 미국 뉴욕 바클레이스 센터(Barclays Center)에서 열린 ‘삼성 갤럭시 언팩 2019’에서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 삼성전자와 마이크로소프트가 새로운 모바일 카테고리를 만드는 것을 목적으로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사진 : 마이크로소프트> 양사는 클라우드 컴퓨팅과 AI를 결합해 새로운 모바일 카테고리를 만드는 것을 목적으로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었다. 스마트폰과 PC 간 매끄러운 연결을 지원해 지금보다 더 편리한 모바일 세상을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양사가 힘을 합치면서 삼성전자의 갤럭시 노트10(Galaxy Note 10)에서는 윈도우 10 기반 PC와의 연결성이 대폭 강화됐다. 사용자는 PC와 스마트폰을 오가지 않고도 PC에서 갤럭시 노트10의 화면을 그대로 볼 수 있다. 메시지, 알림 등도 PC로 확인하고 답변할 수 있다. 사진도 굳이 옮기지 않고 실시간으로 PC에서 확인하고 편집할 수 있게 됐다. 갤럭시 노트10에는 마이크로소프트의 원드라이
[첨단 헬로티] 차량용 전기 시스템 설계 분야서 선도 입지 강화 지멘스 PLM 소프트웨어는 전기 시스템 설계와 와이어 하네스 엔지니어링 소프트웨어 개발기업인 콤사 컴퓨터 소프트웨어(COMSA Computer und Software GmbH, 이하 COMSA)를 인수했다고 밝혔다. 이 회사는 독일 뮌헨에 소재하고 있으며, COMSA의 엘도라도(LDorado) 제품군은 독일 차량용 하네스 설계와 엔지니어링 소프트웨어 부문 1위 제품이다. 이 회사는 우수한 제품 포트폴리오와 표준 개발에 매진하는 전문성과 시장 입지를 갖춘 회사다. 이번 인수로 COMSA 팀과 기술은 지멘스 PLM 소프트웨어의 멘토(Mentor) 사업부로 편입된다. 지멘스는 자사의 제품 범위에 핵심 하네스 엔지니어링과 설계 데이터 해석 기능을 추가할 수 있게 됐다. 토니 해멀건(Tony Hemmelgarn) 지멘스 PLM 소프트웨어 사장 겸 CEO는 "COMSA 인수는 자동차 산업용 기술에 지속적으로 투자 해온 지멘스 행보의 일환이다. 지멘스와 COMSA의 솔루션과 전문 인력을 통합해 업계 독보적인 역량을 구축할 수 있다. 지멘스는 이번 협력을 통해 전기 및 자율주행차 개발 수요를 충족하는데 필요한
[첨단 헬로티] 수요 감소에도 불구하고, 컨버터블, 두께 15mm 이하 울트라슬림, 게이밍 PC 성장 IT 시장분석 및 컨설팅 기관인 인터내셔날데이터코퍼레이션코리아(International Data Corporation Korea Ltd., 이하 한국IDC)의 최근 국내 PC 시장 연구 분석에 따르면, 2018년 3분기 국내 PC 출하량은 데스크톱 44만 대, 노트북 46만 대, 전체 90만 대로 전년 대비 10.7%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컨슈머 부문은 46만 대 출하, 전년 대비 11.6% 하락해 3분기 연속 감소폭이 커지고 있는 추세다. 수요 약화에도 불구하고, 컨버터블 노트북과 두께 15mm 이하 울트라슬림 노트북은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게이밍 PC 시장은 10.7% 성장했으며, 특히 두께 21mm 이하 게이밍 노트북은 약 1만 대를 출하해 언제 어디서나 게임을 즐길수 있는 기기의 선호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다. 공공 부문은 6만3천 대를 출하해 32.2%가 급감했지만, 1월부터 9월까지 누적 수량은 24만9천 대로, 전년 동기 대비 6.9%가 줄어 상반기 대규모 교체에 의한 하반기 잔여 물량의 감소가 주된 원인이라는 분석이다. 이와 반대로, 교육
[첨단 헬로티] 세계에서 가장 빠른 가속기 카드가 공개됐다. 적응형·지능형 컴퓨터 부문 선두주자인 자일링스는 10월 2일(현지시각), 미국 캘리포니아 페어몬트 산호세 호텔에서 열린 ‘자일링스 개발자 포럼(XDF)’에서 강력한 성능의 가속기 카드 포트폴리오 ‘알베오(Alveo)’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 자일링스 CEO 빅터 펭이 자일링스 개발자 포럼에서 새로운 가속기 카드, '알베오 시리즈'를 공개하고 있다. <사진 : 김동원 기자> 알베오는 클라우드 및 온프레미스(on-premise) 데이터 센터 전반에 걸쳐 산업 표준 서버의 성능을 폭발적으로 향상시키도록 설계됐다. 자일링스는 비디오 처리와 유전체학(genomics), 데이터 분석은 물론, 실시간 머신러닝 추론과 같은 핵심 데이터 센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때 알베오를 사용하면, 시간에 획기적인 성능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고 밝혔다. 현재 출시된 알베오 시리즈는 U200과 U250이다. 이 라인업은 자일링스의 울트라스케일 플러스 FPGA를 기반으로 제작됐다. 따라서 이 시리즈는 FPGA 시장 점유율 1위인 자일링스의 기술과 마찬가지로 하드웨
[첨단 헬로티] FPGA(프로그래머블반도체) 전 세계 1위 기업 자일링스가 10월 2일(현지시각) ‘자일링스 개발자 포럼(XDF)’에서 더 빠르고 강력한 반도체 제품군 ‘ACAP(적응형 컴퓨팅 가속화 플랫폼)’을 최초로 선보였다. 자일링스 CEO 빅터 펭(Victor Peng)은 자일링스 개발자 포럼에서 개발자가 애플리케이션에 빠른 혁신을 가져올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업계 최초의 적응형 컴퓨팅 가속화 플랫폼(ACAP, Adaptive Compute Acceleration Platform) Versal™을 공식으로 발표했다. ▲ 자일링스 CEO 빅터 펭은 업계 최초의 적응형 컴퓨팅 가속화 플랫폼 Versal을 공개했다. <사진 : 김동원 기자> 자일링스가 발표한 Versal은 스칼라 프로세싱 엔진, 적응형 하드웨어 엔진 및 지능형 엔진을 최첨단 메모리 및 인터페이스 기술과 결합한 결과물이다. 이에 따라 Versal은 모든 애플리케이션에 강력한 이종 가속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무엇보다 Versal의 가장 큰 강점은 이 제품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가 소프트웨어 개발자, 데이터 과학자, 하드웨어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