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쓰리디팹에 설치된 EOS M400-4 [첨단 헬로티] 4레이저 EOS M400-4 프린터로 업계 최대 사이즈 제작 가능 지쓰리디팹은 "지난 6월 EOS AM Innovation center 유치와 동시에 계약했던 업계 최대 베드사이즈의 M400-4 프린터의 설치가 완료됐다"라고 밝혔다. 이번에 설치된 독일 EOS사의 M400-4 프린터는 PBF(Powder Bed Fusion) 방식 중 업계 최대 사이즈인 400x400x400mm의 베드 사이즈다. 지쓰리디팹은 설치를 완료한 뒤 바로 상업 생산에 들어갔다. 지쓰리디팹 관계자는 "국내 최초 도입이라는 점 때문에 고객분들께서 도입 전부터 숱한 문의를 주셨다. 내부에서는 장비 설치가 완료되자마자 제품 양산을 시작했는데 4레이저 시스템인 EOS M400-4가 기존 보유한 EOS M290보다 3.7배 빠른 생산 속도를 보여 모두가 놀라움을 금치 못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현재까지 국내에서 메탈 PBF 방식으로 제작 가능한 최대 사이즈는 250x250mm이었기 때문에 대형 산업용 부품 제작에는 애로사항이 많았던 것이 사실이다. DED 방식 등 대형 부품에 특화된 방식이 있지만 정밀도 및 조도 면에서는 PBF 방식이
[첨단 헬로티] 산업용 금속 3D프린팅 전문 기업 지쓰리디팹(Z3DFAB)과 CAE 전문 기업 태성에스엔이가 지난 8월 6일 '3D 프린팅 기술 협력'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양사는 이번 협약으로 태성에스엔이의 시뮬레이션 해석 기술과 지쓰리디팹의 3D프린팅 기술을 융합해 국내외 메탈 3D프린팅 시장을 확대하고 비즈니스 모델을 발굴하는데 손을 잡기로 했다. 두 회사는 3D프린팅용 설계(DfAM), CAE 소프트웨어 활용, 3D프린팅 서비스 등의 분야에서 협력하여 국내 3D 프린팅 시장을 적극 확장시킬 예정이다. 지쓰리디팹 김성수 대표는 "DfAM 해석 역량에 대한 수요가 나날이 증가하는 지금 이번 협약을 통해지쓰리디팹이 3D프린팅 시장을 더욱 적극적으로 공략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 이라고 말했다. 태성에스엔이 김지용 대표는 "적층가공 전문 해석소프트웨어인 ANSYS Additive를 이용한 DfAM 및 공정해석기술 그리고 지쓰리디팹의 금속적층 가공 제작기술을 파일럿 프로젝트로 추진하는 것은 국내 3D 프린팅 비즈니스 모델 발굴을 위한 출발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라고 말했다. ▲(좌) 지쓰리디팹 김성수 대표, (우)태성에스엔이 심진욱 본부장 지쓰리디
[첨단 헬로티] 아시아 최초의 EOS 3D프린팅 혁신 센터로, 국내 3D프린팅 시장 확대 위한 밀착 협력 독일의 3D프린팅 선도 기업 이오에스(EOS)와 산업용 금속 3D프린팅 전문 기업 지쓰리디팹(Z3DFAB)이 3D프린팅(적층제조) 혁신 센터 설립을 위한 협정을 체결했다. 양사는 이번 협정을 통해 국내 3D프린팅 시장 확대 및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솔루션을 제공하는데 협력하기로 하였다. 이번 협정 체결을 통해 양사는 국내 3D프린팅 시장 개발을 위하여 공동 마케팅, 공동 고객 발굴 사례 연간 2회 발행 및 세미나&워크샵 주최 등 산업용3D프린팅 시장에서 요구되는 다양하고 강화된 3D프린팅 솔루션을 개발·공급할 계획이다. 지쓰리디팹은 같은 날 국내 최초로 EOS M400-4 장비 구매 발주도 내어 국내 최대 사이즈의 금속 3D프린터를 보유한 기업이 될 예정이다. 이로서 타이타늄, 알루미늄을 포함한 금속 3D프린팅 서비스 역량을 더욱 강화하게 되었다. 또한 지쓰리디팹은 2020년까지 산업용 3D프린팅 선도기업으로 거듭나기 위해 2,000m2 공장에 EOS M400-4 장비를 포함한 다수의 산업용 3D프린팅 장비를 추가 투자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