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공업정보화부 5개년 계획 발표 중국이 제조 현장의 로봇 도입을 가속화하고 자동화 공장 구축에 박차를 가한다. 글로벌 산업 전문지 Metrology news에 따르면, 중국 공업정보화부는 5개년 계획을 통해 현지 제조현장의 산업용 로봇 도입을 연 20% 이상 늘리겠다고 밝혔다. 공업정보화부 대변인 왕웨이밍은 국영 신문 차이나 데일리(China Daily)에 게재한 보고서를 통해 "중국은 2025년까지 자동차, 항공 우주, 철도 운송, 물류 및 광업 등 분야에서 제조 로봇의 밀도를 두 배로 늘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면서 "2025년까지 국산 부품의 성능과 신뢰성을 글로벌 선진 제품 수준으로 끌어올리겠다"고 밝혔다. 중국은 사회의 노령화와 노동력 감소 문제를 로봇 도입으로 해결하는 데 적극적인 국가 중 하나다. 국가통계국(National Bureau of Statistics)의 통계에 따르면, 중국의 산업용 로봇 누적 생산량은 2021년 1월부터 11월까지 33만대를 기록해 전년 대비 49%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당국은 5개년 계획에 따라 2025년까지 자국 대기업의 70% 이상을 디지털화하고 전국에 500개 이상의 시연 제조 시설을 건설한다는
[첨단 헬로티] 한국미래기술교육연구원이 오는 2월 27일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 로즈홀에서 '인공지능(AI) 기반의 산업 및 서비스 로봇 개발과 핵심 기반기술 세미나'를 개최한다. 이번 세미나는 △인공지능 기반의 지능형 로봇 표준화와 산업분야 별 기술개발동향 △IoT 기반의 지능형 로봇 개발 및 부품/모듈 적용방안 △인공지능 기반의 챗봇 개발과 서비스 적용방안 △인공지능 기반의 산업용 코봇(제조로봇) 개발과 서비스 적용방안 △인공지능 소셜로봇 개발을 위한 인간로봇상호작용(HRI) 및 사용자정보 인식기술 △지능형 로봇의 소프트웨어(S/W) 플랫폼 및 모듈기술과 적용방안 △인공지능 기반의 필드로봇(안전로봇) 개발동향과 서비스 적용방안 등의 주제 발표가 예정되어 있다. 연구원 관계자는 "이번 세미나는 로봇산업 관련 기술을 기반으로 다각적 사업확장을 꾀할 수 있는 기회이자 기술적/사업적 노하우를 공유하는 장이 될 것이다. 이번 세미나를 통해 관련업계 종사자에게 수준 높은 최신 기술 정보는 물론, 미래 비즈니스 기회 선점이 가능한 시장 정보까지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시장조사업체 스트래티지 애널리틱스(SA)에 따르면 올해 전 세계 서비스 로봇 판매량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