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서재창 기자 | 올해 3분기 전 세계 반도체 파운드리 시장이 전 분기보다 약 12% 성장한 가운데 삼성전자의 점유율은 소폭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3일 대만의 시장조사기관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전체 파운드리 시장 매출의 97%를 차지하는 상위 10대 기업의 올해 3분기 매출은 직전 분기보다 11.8% 증가한 272억7700만 달러(약 32조641억 원)를 기록했다. 전 세계 파운드리 매출은 2019년 3분기부터 9분기 연속 최대 규모를 경신하고 있다. 트렌드포스는 "코로나19 백신 접종률 상승에 따라 코로나 특수가 줄었지만, 스마트폰 성수기 진입의 영향으로 파운드리 주문량이 늘었다"며 "3분기 내내 수요가 공급을 초과하고 평균 판매가격도 상승해 분기별 최대 매출을 경신했다"고 분석했다. 삼성전자의 3분기 파운드리 매출은 2분기보다 11.0% 증가한 48억1000만 달러(약 5조6541억 원)를 기록해 TSMC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트렌드포스는 하반기 스마트폰 신규 모델 출시로 모바일 시스템온칩,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 등 파운드리 수요가 늘었고, 올해 초 한파로 생산 차질이 발생한 미국 오스틴 팹 정상화와 평택 S5 라인 가동에 따라 매출이 증
[헬로티] 화웨이가 미국의 제재 여파로 지난해 중국 이외의 이동통신 장비 시장에서 점유율이 하락했다고 미 월스트리트저널(WSJ)이 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화웨이는 중국을 포함한 전 세계에서 여전히 점유율이 1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중국을 포함한 전 세계에서 화웨이는 여전히 점유율이 1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시장조사업체 델오로에 따르면, 이동통신 장비 매출 기준으로 중국을 제외한 전 세계 시장에서 지난해 화웨이의 점유율은 약 20%로 전년보다 2%포인트 낮아졌다. 이런 점유율은 에릭슨과 노키아에 이어 3위로, 순위 변동은 없었다. 다만 에릭슨의 점유율은 35%로 2%포인트 상승했고 노키아의 점유율은 25%로 1%포인트 올랐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는 지난 2019년 5월 국가안보 위협을 이유로 화웨이를 블랙리스트에 올려 전방위 제재를 가했으며 동맹국을 대상으로도 화웨이의 5G 사업 참여 배제를 요구했다. 델오로 애널리스트인 스테판 퐁라츠는 25개 이상의 유럽 통신업체가 최근 몇 년간 화웨이 장비를 다른 업체의 것으로 교체해왔다고 말했다. 그러나 중국을 포함한 전 세계 이동통신 장비 시장에서는 화웨이가 1위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델오로는
[헬로티] 샤오미, 국내선 LG전자 빈자리 노릴 듯...홍미노트10 출시 준비 작년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에서 화웨이의 빈자리를 삼성전자가 아닌 샤오미, 오포 등 중국 업체가 채운 것으로 나타났다.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4일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 리서치에 따르면, 작년 유럽 스마트폰 시장에서 화웨이의 점유율이 12%로 전년 대비 7%포인트 떨어진 반면 샤오미의 점유율은 7% 포인트 올라 14%가 됐다. 카운터포인트는 "샤오미는 스페인과 이탈리아를 중심으로 출하량이 90% 늘어 유럽에서 3위 사업자가 되는 데 성공했다"고 분석했다. 중국 업체인 오포 역시 출하량이 82% 성장하며 점유율을 2%에서 4%로 늘리는 데 성공했다. 리얼미는 2019년 10만 대이던 출하량이 2020년 160만대로 늘어 10배가 넘게 성장했다. 같은 기간 1위 삼성전자 점유율은 전년 31%에서 2020년 32%로, 2위 애플 점유율은 전년 19%에서 2020년 22%로 늘어나는 데 그쳤다. 작년 코로나19 영향으로 유럽 스마트폰 시장이 14% 감소했기에 이들 업체 점유율은 늘었지만, 출하량은 각각 12%, 1% 줄어들었다. 화웨이가 미국 제재로 타격을 받자 삼성전자 중저가폰이 반
[첨단 헬로티] 2011년 이후, 7년 만에 중국 제치고 세계 점유율 44% 달성 산업통상자원부는 2018년도 국가별 선박 수주 실적을 최종 집계한 결과, 세계 선박 발주량 2,860만CGT 중 한국이 1,263만CGT를 수주해 2018년도 국가별 순위 1위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2011년 이후 7년 만에 중국을 제치고 1위를 탈환 한 것으로, 세계 시장 점유율 44.2%는 이전 한국 최고 점유율인 2011년 40.3%을 경신한 것이다. ▲한국은 세계 선박 발주량 2,860만CGT 중 1,263만CGT를 수주해 2018년도 국가별 순위 1위를 기록했다. 특히, 고부가선인 LNG선 70척 중 66척(94%), VLCC 39척 중 34척(87%)을 수주해 고부가 주력선종에서 압도적 수주점유율을 차지했다. 이는 해외 선주사들이 한국 조선사들의 높은 기술력, 제품 신뢰성 및 안전성을 인정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한편, 고용도 2016년 수주절벽의 영향에서 벗어나 증가세로 전환됐다. 고용은 2016년 1월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했으나, 지난해 9월 이후 증가세로 전환돼 9월 이후 4개월간 총 2,700명이 증가했다. 지난해 말 기준 고용은 10.7만 명 수준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