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서재창 기자 | [산업지식인]은 실무자의 질문을 전문가가 자세하게 답변해주는 코너입니다. 산업지식인에는 MTV 웨비나에서 발표자와 질문자가 주고받았던 질의응답을 한 데 모아봤습니다. 3D시스템즈는 '혁신제품 개발을 위한 3D스캔 데이터 생성 및 3D프린팅'이라는 주제로 웨비나를 진행했습니다. 이 웨비나에서는 3D스캔 데이터의 생성부터 출력까지의 프로세스 및 적용 기술, 해당 기술을 활용한 실무 적용 방안이 소개됐습니다. Q & A Q : 3D스캐닝과 3D프린팅으로 제조된 경우 대량 생산보다 소규모 주문 제작이 경쟁력 있어 보인다. A : 재료와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대량 생산을 하기 위한 금형을 제작하는 비용까지 감안하면, 3D프린팅으로 생산하는 대량 생산(소형부품)이 오히려 경제적으로 우위에 있는 경우도 있다. 정밀도, 강도 등은 다양한 소재가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기존 전통 가공에서 제작이 어려운 고부가가치 부품 개발을 통해 경쟁력 확보가 가능하다. Q : 3D스캔 데이터 생성 및 3D프린팅을 사용함으로써 가장 큰 효과를 볼 수 있는 분야는 어디인가? A : 특정 분야가 정해져 있지 않다. 해당 기술은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하며, 자동차,
헬로티 김진희 기자 | 제조업 부문 중견기업 경기전망지수가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한국중견기업연합회는 지난달 29일 발표한 ‘2021년 4분기 중견기업 경기전망조사’에서 제조업 부문 중견기업 경기전망지수가 전분기(97.7) 대비 0.7p 상승한 98.4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내수전망지수(103.4, 5.5p↑), 영업이익전망지수(99.5, 3.6p↑), 생산규모전망지수(106.0, 4.7p↑) 등에서도 역대 가장 높은 전망 수치가 나왔다. 자동차, 전자부품 업종이 제조업 부문 경기전망지수 상승을 이끌었다. 전분기 큰 폭으로 감소한 자동차 업종 경기전망지수가 반등(108.7, 19.8p↑)하고, 전자부품 업종 경기전망지수는 6분기 연속 100 이상을 기록했다. 제조업 부문 상승에도 비제조업 부문이 전분기 대비 5.5p 하락하면서 네 분기 연속 상승세를 이어온 중견기업 경기전망지수는 전분기(98.3) 대비 3.1p 감소한 95.2를 기록했다. 비제조업 부문 경기전망지수는 93.2로 건설(88.0, 10.1p↓), 부동산·임대(88.5, 9.5p↓), 출판·통신·정보서비스 (103.3, 9.2p↓) 업종에서 크게 하락하면서 네 분기 만에 감소세로 전환했다. 중견
헬로티 이동재 기자 | 티라유텍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에서 스마트팩토리 구축을 위한 핵심 솔루션과 자율주행로봇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티라유텍은 올해 전시회에서 생산관리시스템(MES), 생산계획시스템(APS), 공급망관리(SCM), 중견/중소형 통합 제조 운영 시스템(MOM), 창고관리 시스템(WMS), 자율주행로봇(AMR) 등 스마트팩토리·물류 핵심 솔루션을 소개하며 참관객들의 주목을 받았다. 티라유텍의 자체 기술로 만들어진 생산관리시스템 ‘THiRA MES’는 FPD, 반도체, 전자부품, 화학 등 다양한 제조 산업에 적용되고 있다. 제조 현장과 실시간으로 연동돼 생산 활동을 최적화할 수 있는 정보를 관리·제어함으로써 제조 경쟁력을 높인다. 티라봇은 안정적인 접지로 고르지 않은 바닥 등 험준한 환경에서도 물류 이송이 가능한 티라유텍의 자율주행로봇이다. 열악한 실내외 환경과 10도의 경사로 등까지 주행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특히 이번
헬로티 김진희 기자 | 다양한 반도체 및 전자부품을 공급하며 업계를 선도하는 신제품 소개(NPI) 유통기업 마우저 일렉트로닉스는 2021년 상반기 신규 제조사 62곳을 라인카드에 추가했다고 밝혔다. 1100개 이상의 글로벌 제조사 제품을 보유한 마우저는 설계 엔지니어, 부품 구매자, 조달 대행 기관, 교육자 및 학생으로 구성된 글로벌 고객들에게 더욱 광범위한 제품 선택지를 제공한다. 마우저 일렉트로닉스의 제프 뉴웰(Jeff Newell) 제품 부문 수석 부사장은 “마우저는 올 상반기 62개의 신규 부품 제조사들을 추가하는 등 지속적으로 신제품을 소개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고객에게 업계에서 가장 광범위한 제품 선택권을 제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마우저의 글로벌 유통센터는 임베디드, 커넥터, 광전자공학, 수동형 부품을 비롯한 모든 제품 카테고리에서 반도체 및 전자부품에 대한 110만 개 이상의 고유 SKU 재고를 관리한다. 지난 몇 년간 마우저는 사물인터넷(IoT) 제품 공급 확대를 위해 임베디드 및 센서 라인업을 모두 강화했다. 올 상반기 추가된 주요 신규 제조사 파트너는 Acconeer, CITEL, MultiTech, Quec
[헬로티] 정부 부처와 산하기관에서는 연중으로 중소기업과 중견기업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지원사업을 발표하고 있다. 이들 지원사업들은 중소 중견기업의 역량 강화 혹은 기술 개발, 사업 확장에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러나 현실은 제대로 정보 공유가 되지 않거나 소규모 기업들은 지원사업을 찾아볼 시간적인 여유가 없기 때문에 우리 기업과는 상관없는 얘기들로 치부하는 경우도 종종 본다. 본지는 더 많은 중소 중견기업들이 다양한 지원사업의 소식을 접하고, 그 혜택을 볼 수 있도록 매주 한차례씩 중소 중견 제조기업이 주목할만한 정부 지원사업을 요약해서 제공한다. 2021년 업종별 특화(화장품 제조업종)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사업 스마트제조혁신협회가 화장품 제조업종 제조현장의 경쟁력 제고와 화장품 제조분야 스마트공장 보급․확산을 위한 '업종별 특화(화장품 제조업종)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사업'을 공고했다. 이 사업은 화장품 제조업종 제조현장의 경쟁력 제고와 화장품 제조분야 스마트공장 보급ㆍ확산을 위하여 첨단기술을 적용한 스마트공장 솔루션 구축 및 구축에 필요한 장비 등을 지원하는 것이 목적이다. 국내 화장품 제조업종 중소ㆍ중견 기업이 대상이며, 기업당 최대 2억원 이내에서
[헬로티] 텍사스 인스트루먼츠(TI)의 글로벌 공인 유통기업 마우저 일렉트로닉스는 TI DP83TD510E 이더넷 PHY(물리 계층) 제품을 공급한다고 밝혔다. ▲DP83TD510E(출처 : 마우저) 2km 이상의 케이블 도달 범위 확장이 특징인 IEEE 802.3cg 10BASE-T1L 호환 트랜시버는 고대역폭 통신에 있어서 추가적인 프로토콜, 게이트웨이 및 케이블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엔지니어들은 배선 비용이나 시스템 중량을 늘리지 않고도 산업용 통신 도달 거리와 자동화 애플리케이션을 확장할 수 있다. 마우저에서 공급하는 TI DP83TD510E 이더넷 PHY는 단일 연선으로 최대 1.7km까지 10Mbps 이더넷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DP83TD510E의 확장된 케이블 범위는 IEEE 802.3cg 10BASE-T1L 싱글 페어 이더넷 사양의 도달 거리 조건인 200m보다 1.5km 더 길다. 또한 루프백 및 자체 테스트 기능이 내장된 통합 케이블 진단 도구를 포함하고 있어 설계 및 디버깅 프로세스를 단순화한다. 이 PHY 제품은 초저잡음 결합형 수신기 아키텍처를 제공해 확장된 케이블 도달 범위와 낮은 전력 손실을 허용한다. 이 고성능 장치는 1V
[헬로티] 마우저 일렉트로닉스는 최신 제품 436종을 추가 및 공급한다고 밝혔다. ▲출처 : 마우저 일렉트로닉스 마우저는 1100개 이상의 반도체 및 전자부품 제조사들이 자사를 통해 제품들을 전 세계 시장에 소개하고 있으며, 자사의 고객은 제조사가 생산해 출처 확인이 가능한 100% 정품을 구매할 수 있다고 전했다. 마우저는 아래 제품들을 포함해 최신 제품 436종을 추가 및 공급한다고 밝혔다. ▲르네사스 일렉트로닉스(Renesas Electronics) RA2E1 마이크로컨트롤러르네사스 RA2E1 마이크로컨트롤러는 48MHz Arm Cortex-M23 코어에 기반하며 최대 128KB 코드 플래시 및 16KB SRAM 메모리를 제공한다. ▲몰렉스(Molex) Mini-Fit Versa Color 커넥터몰렉스 Mini-Fit Versa Color 커넥터는 조립 실수를 줄이고 최종 제품 고장을 방지하기 위해 단자가 완전히 고정되도록 해주는 시각적 색상 페어링을 제공한다. ▲번스(Bourns) 기가비트 이더넷 칩LAN 변압기 모듈번스 기가비트 이더넷 칩 LAN 변압기 모듈은 기존의 포트형 케이스 LAN 변압기와 핀-핀 호환되며 로우 프로파일과 우수한 동일 평면성을
[헬로티] 중견련, 500개 기업 대상 조사…"2분기째 상승, 업종별 전망은 엇갈려" 내년 1분기 중견기업 경기 전망이 지난 4분기에 이어 상승세를 유지했지만 자동차, 전자부품 등 업종별 전망은 크게 엇갈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중견기업연합회가 500개 중견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해 29일 발표한 '2021년 1분기 중견기업 경기전망조사'에 따르면 내년 1분기 경기전망지수는 전분기보다 6.1포인트(p) 오른 84.5를 기록했다. 코로나19 확산 이전인 올해 1분기 수준(86.7)에 근접한 수치다. 이 지수가 100을 넘으면 전분기보다 긍정적으로 전망한 기업이 많다는 것을, 100 미만이면 그 반대를 의미한다. 업종별로 보면 제조업 부문이 1.7포인트 상승한 81.8에 그친 데 반해 비제조업은 9.0포인트 대폭 상승한 86.2를 나타냈다. 제조업 가운데 자동차 업종 전망지수는 올해 4분기 101.9에서 내년 1분기 85.7로 16.2포인트나 급락했다. 그림. 중견기업 경기전망지수 추이 (출처:연합뉴스) 중견련은 "코로나19 지속에 따른 국내외 수주 감소, 가격 경쟁력 약화 등에 더해 최근 완성차 업계의 연쇄 파업 등 불확실성이 가중하면서 자동차 업종
[헬로티] 전자부품 유통기업 마우저 일렉트로닉스가 30일 최신 제품 387종을 추가 공급한다고 밝혔다. 추가 공급되는 주요 제품은 Renesas Electronics RA6M4 32비트 마이크로컨트롤러, ams TMD2755 근접 센서 모듈, Amphenol Air LB 원형 군용규격 커넥터, OSRAM Opto Semiconductors SFH 4737 IR 광대역 이미터 등을 포함해 신제품 387종이다. 마우저는 신속하게 최신 제품을 공급하고 신기술을 제공함으로써 고객이 제품 출시 기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1,100개 이상의 반도체 및 전자부품 제조사들이 마우저를 통해 제품들을 전 세계 시장에 소개하며, 마우저의 고객은 제조사가 생산하여 출처 확인이 가능한 100% 정품을 구매할 수 있다.
[헬로티] 다양한 반도체 및 전자부품을 공급하며 업계를 선도하는 신제품 소개(NPI) 유통기업 마우저 일렉트로닉스는 번스(Bourns)와 공동으로 전력 변환 부품 활용의 모범 사례(best practice)에 대한 새로운 전자책을 발표했다. ‘향상된 성능 및 신뢰성 확보 (Achieving Enhanced Performance and Reliability)’ 전자책에서 번스와 마우저는 고전압 에너지 저장을 비롯해 특정 전력 애플리케이션에서의 부품 선택 사용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술 자료들을 제공한다. 전기차, 재생 가능 에너지원 및 고급 통신 네트워크와 같은 기술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보급이 확대됨에 따라, 에너지 저장 및 전력 변환 개발을 지원하기 위한 신뢰할 수 있는 부품에 대한 필요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마우저와 번스의 신규 전자책인 ‘향상된 성능 및 신뢰성 확보’에서는 충전식 배터리, 고전압 에너지 저장용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페라이트 인덕터의 권선 손실 감소 등의 주제를 심층 분석한다. 새로운 전자책은 이러한 신기술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고안된 번스 전력 변환 제품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링
[헬로티] IoT 및 산업용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향상된 보안 기능을 제공 최신 반도체 및 전자부품을 공급하는 유통기업 마우저 일렉트로닉스는 르네사스 일렉트로닉스(Renesas Electronics)의 RA6M4 32비트 마이크로컨트롤러를 공급한다고 밝혔다. RA6M4 마이크로컨트롤러는 에지 및 엔드포인트 사물 인터넷(IoT) 장치는 물론 계량, HVAC, 강화된 구내 보안 및 산업용 장비와 같은 애플리케이션의 개발 속도를 높인다. 마우저 일렉트로닉스에서 공급하는 RA6M4 마이크로컨트롤러는 고효율 40nm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제작되며 액티브 모드에서 99μA/MHz의 높은 전력 효율을 제공한다. 이 마이크로컨트롤러는 Arm TrustZone 기술이 탑재된 200MHz Arm Cortex-M33 코어가 특징이며, 1MB 코드 플래시 메모리, 256KB SRAM, 정전식 터치 감지 장치를 포함한다. RA6M4는 여러 가속기가 있는 통합 보안 암호화 모듈, 전력 분석 저항 및 위변조 감지를 포함하여 뛰어난 보안 기능을 제공하도록 설계되었다. 해당 마이크로컨트롤러는 르네사스의 FSP(플렉시블 소프트웨어 패키지)에서 지원되며, 고객이 레거시 코드를 재사용하고 이
[헬로티] 반도체 및 전자부품 유통기업 마우저 일렉트로닉스는 세계적인 전자 솔루션 제조업체 몰렉스(Molex)로부터 2년 연속 올해의 APS e-카탈로그 유통사 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마우저는 2019년 올해의 글로벌 e-카탈로그 유통사 선정과 더불어 올해의 유럽 e-카탈로그 유통사 상 및 올해의 미국 e-카탈로그 유통사 상을 수상한 바 있다. 마우저는 아시아 태평양(APAC) 지역에서 고객 수의 증가와 가장 빠른 POS 성장을 인정받아 올해의 APS e-카탈로그 유통사 상을 수상했다. 몰렉스의 글로벌 유통 부문 부사장 프레드 벨(Fred Bell)은 “고객 서비스, 판매 및 제품 폭에서 회사의 우수성을 인정받아 수상한 마우저에게 축하의 메시지를 전한다”며 “마우저는 올해의 전반적 성공에 기여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2020년 이후에도 그 기세가 지속되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마우저의 아시아태평양지역(APAC) 마케팅 및 사업개발을 총괄하는 다프니 티엔(Daphne Tien) 부사장은 “올해에도 마우저의 성과를 인정하는 또 다른 상을 몰렉스로부터 수상할 수 있어 매우 기쁘다. 지난 1년간 몰렉스
[헬로티] 삼성전자가 중소 협력사의 반도체 설비부품 개발을 지원하는 등 국내 반도체 생태계 강화에 총력을 기울인다. 삼성전자는 협력사-산학-친환경 상생활동을 통해 국내 반도체산업 全분야의 경쟁력을 끌어올려 ‘K칩 시대’를 열겠다는 계획이다. □ 협력사 설비, 소재 개발 속속 성공… 육성 노력 결실 삼성전자가 협력사들과 진행해온 국내 반도체 생태계 육성 노력이 하나하나 결실을 거두고 있다. 삼성전자는 2010년대 초반부터 주요 설비, 부품 협력사와 함께 자체 기술개발에 노력해 왔다. 이오테크닉스는 그동안 수입에 의존하던 고성능 레이저 설비를 삼성전자와 공동 개발에 성공해 D램 미세화 과정에서 고질적으로 발생하는 불량 문제를 해결했다. 또한 싸이노스는 반도체 식각공정 효율화에 필요한 세라믹 파우더를 개발하고 리코팅 기술 내재화에 성공해 식각공정 제조 비용 절감과 생산성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 솔브레인은 삼성전자와 협력을 통해 3D 낸드플래시 식각공정의 핵심소재인 ‘고선택비 인산’을 세계 최초로 개발해 삼성전자 차세대 제품의 품질을 크게 향상시켰다. ▲ 삼성전자 직원(좌)과 이오테크닉스 직원(우)이 양사가 공
[헬로티] 반도체 및 전자부품 유통기업 마우저 일렉트로닉스는 상호 연결 부문의 글로벌 리더이자 주요 파트너인 암페놀(Amphenol Corporation)의 전자상거래 부문 최우수상을 2년 연속 수상했다고 밝혔다. 마우저는 지난 2019년 뛰어난 매출 성장을 인정받아 암페놀로부터 최우수 서비스 디지털 퍼포먼스상을 수상했다. 암페놀의 CEO 아담 노위트(Adam Norwitt)는 “지난 2019년 놀랄만한 성과를 보인 마우저를 표창하게 되어 기쁘다”며, “마우저의 팀은 전자상거래 부문에서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이 상은 뛰어난 성과와 꾸준한 파트너십에 대한 증거다”라고 전했다. 마우저의 사장이자 CEO인 글렌 스미스(Glenn Smith)는 “우리는 디지털 분야에서 2년 연속 Amphenol로부터 수상하게 된 점을 매우 자랑스럽게 생각한다”고 전하며, “지난 수년간 Amphenol은 매우 귀중한 파트너였고, 향후에도 많은 생산적인 해들을 함께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지난 10년 동안 마우저는 암페놀과 그 자회사들로부터 다수의 상을 수상했다. 지난 2018년 마우
■ 대한상공회의소, 자동차·기계부품, 전자부품 업종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사업 공고 [첨단 헬로티 = 김동원 기자] 자동차·기계부품, 전자부품 업종 관련, 스마트공장 구축이 보다 쉬워질 전망이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중소·중견 제조 현장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업종별 특화(자동차·기계부품, 전자부품 업종)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사업’ 계획을 공고했다. (사진 : 게티이미지뱅크) 이번 사업은 유사 제조공정·업종 등을 가진 중소·중견기업들이 자동화 및 스마트공장 공통 솔루션을 구축하여 기업의 경쟁력 제고 및 연계성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이번 사업으로 자동차 및 기계부품, 전자부품 업종의 제조공정별 특화 솔루션 및 솔루션 연동 자동화장비, 제어기, 센서 등의 구축을 지원할 예정이다. 기존에 스마트공장을 구축하지 않았던 기업에게는 솔루션과 연동 설비 구축을 지원하고, 스마트공장을 고도화하려는 기업에게는 스마트공장 활용도와 보급수준 향상을 위한 연계시스템 등을 추가 구축 지원할 예정이다. 신규구축의 경우 총 사업비의 50% 이내로 최대 1억 원을 지원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