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센터 및 AI 서버 운영자가 시스템 냉각에 필요한 에너지 소비 줄이도록 지원 AI의 영향으로 전 세계 데이터 센터의 에너지 수요가 증가하면서 서버를 위한 효율적인 에너지 공급이 중요하게 됐다.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이하 인피니언)는 AI 데이터 센터의 현재 및 미래의 에너지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특별히 설계된 전원공급장치(PSU) 로드맵을 발표했다. 인피니언은 전례 없이 높은 PSU 성능을 제공함으로써 클라우드 데이터 센터 및 AI 서버 운영자가 시스템 냉각에 필요한 에너지 소비를 줄이도록 지원한다. 혁신적인 PSU는 전력 소비와 CO2 배출을 줄여 수명 기간 동안 운영 비용을 절감하도록 한다. 이 PSU는 미래의 데이터 센터에 적합할 뿐 아니라, 서버의 기존 전원공급장치를 대체해서 효율을 높인다. 이미 출시된 3kW 및 3.3kW 출력의 PSU와 더불어, 새로운 8KW 및 12kW PSU는 AI 데이터 센터의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인피니언은 시스템 효율을 높이고 다운타임을 최소화하고자 하는 데이터 센터 운영자들의 요구에 대응하고 있다. 서버 및 데이터 센터 애플리케이션의 성장으로 전력 요구량이 증가하게 됐으며, 800W에서
헬로티 서재창 기자 | 요약 이 글에서는 설계에 전원 공급장치의 적정 허용오차를 선택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특히 LTpowerCAD 저항 분배기 툴박스를 이용해 소자 허용오차를 사용하고 출력 전압에서 대응하는 오차를 추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설계자는 이러한 정보를 이용해 애플리케이션에 수용 가능한 허용오차를 적절하게 결정할 수 있다. 들어가며 전원 공급장치는 거의 모든 회로에서 볼 수 있다. 무선 트랜시버에서부터 마이크로프로세서, FPGA 및 증폭기에 이르기까지 전원 공급장치는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회로 어디에나 항상 있는 핵심 부품이다. 다른 소자들과 마찬가지로 전원 공급장치는 다양한 형태와 유형으로 제공된다. 선형 레귤레이터 또는 스위칭 모드 레귤레이터와 같은 서로 다른 아키텍처는 저마다의 장단점을 갖고 있어 특정 애플리케이션에서 하나의 아키텍처는 다른 아키텍처에 비해 더 적합하다. 이러한 모든 아키텍처에서 한 가지 공통분모는 출력이 외부 부품, 특히 피드백 저항의 조합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이다. 시뮬레이션 툴을 활용하면, 전원 공급장치를 필요한 규격에 맞춰 설계하고, 이를 만족하는 소자 값을 찾는다. 시뮬레이션 결과가 만족스럽게 보여도 실제 설정에는
헬로티 임근난 기자 | 산업용 결선 솔루션을 제공하는 바이드뮬러가 10월 19일부터 22일까지 나흘간 부산 벡스코에서 열리는 국제 조선해양 전시회인 ‘Kormarine 2021’에 참가한다(부스위치: 2H43). 신임 한국지사장 선임과 함께 새로운 도약을 준비하고 있는 바이드뮬러코리아는 이번 Kormarine 전시회를 통해 조선해양 산업에 특화된 솔루션을 선보일 계획이다. 특히 바이드뮬러의 u-remote는 고성능 자동화와 최적의 시스템 처리를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선박 시장에서 사용이 용이한 I/O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또 서비스 및 유지 관리와 관련된 시간과 노력을 최소화하여 광범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바이드뮬러의 전원공급장치 제품군 중 PROtop 시리즈는 다이오드 모듈 없이 직접 병렬연결을 통해 콤팩트한 하우징이 가능하다. 또한, 비용을 절감하고 캐비닛에 여유 공간을 만들어내며, DCL 기술로 인해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어 사용자들로부터 많은 호응을 얻고 있다.
헬로티 김진희 기자 | 솔루엠은 자사가 인텔에 공급하는 서버용 전원공급장치의 매출이 2019년부터 연평균 50% 이상 고성장을 하고 있다고 28일 밝혔다. 인텔은 전 세계 서버 시스템용 CPU의 90% 이상을 점유하고 있는 기업으로, 솔루엠의 CPU를 적용한 서버 시스템 사업도 꾸준히 확대하고 있다. 솔루엠은 인텔이 사업을 확장 중인 서버 시스템의 전원공급장치(Power)를 생산, 공급하는 것은 물론, 타 미국 IT 회사들에도 서버와 네트워크 장비용 전원공급장치를 납품하고 있다. 솔루엠은 당사 서버용 전원공급장치는 기본적인 성능은 물론, 고효율 및 고밀도의 제품이라는 특징을 갖고 있으며, 인텔은 당사의 기술력과 생산 대응력을 높게 평가해 서버용 전원공급장치에 대한 수주 물량을 매년 늘리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서버용 및 네트워크 장비용 전원공급장치는 동종 산업 분야로 분류되며, 국내에서는 솔루엠만이 기술력을 쌓아가며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그 결과 미국, 중국 등의 글로벌 IT 회사들에서도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어 꾸준한 매출 성장과 더불어 고부가가치 사업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실제 회사의 서버용 전원공급장치 매출은 2019년 2140만달러(약 250억원
헬로티 서재창 기자 | Moxa 스위치기어와 UPS의 중요성 갈수록 더 많은 전자 장비가 산업용 애플리케이션에 사용되면서 장비의 중요 시스템을 보호해야 할 필요성도 증가하고 있다. 예기치 않은 정전은 전자 장비의 유지관리 비용을 증가시키는 것은 물론, 운영 효율성 및 생산성 저하, 그리고 전체 비즈니스의 수익 감소로 이어진다. 안정적인 전원공급장치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애플리케이션의 전력 품질을 모니터링해 원치 않는 중단이나 손상으로부터 전자 장비를 보호해야 한다. 종합적 전력 품질 모니터링 계획을 수립할 때 고려해야 할 두 가지 필수 장비는 스위치기어와 UPS다. 일반적으로 스위치기어는 유틸리티 전력이 공장과 데이터센터로 유입될 때 가장 먼저 도달하는 곳이다. 이 장치는 전압을 변환하고, 전력 전류를 모니터링하며, 비정상적인 전기 변동으로부터 산업용 장비를 보호한다. 따라서 스위치기어 내부에 사용되는 회로 차단기와 서지 보호기, 전류 변압기, 전력 품질 미터기 등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한다. UPS는 메인 전원에 장애가 발생했으나 발전기와 같은 예비 전원공급장치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 즉각적인 전원공급을 위해 사용된다. 애플리케이션의 전력 품질 상
헬로티 조상록 기자 | 텔콤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에서 산업용 전원공급장치, 파워 서플라이, 모터 등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텔콤이 공급하는 몬선(MORNSUN)의 산업용 전원공급장치는 고품질의 AC/DC 컨버터, DC/DC 컨버터, IGBT 드라이버용 파워, LED 드라이버 등이다. 또한 산요덴키(SANYO DENKI) 제품은 서보시스템, 파워시스템, 쿨링시스템 제품군으로 구성돼 있으며, 고효율·고품질이 특징이다. 특히 쿨링시스템은 일반 AC팬 외에 방수/방진, 원심, 이중반전, 장수명팬 등 다양한 라인업을 보유하고 있다. 델타(Delta) 파워 서플라이는 딘레일(Din Rail), 패널 마운트(Panel Mount), 오픈 프레임(Open Frame) 등의 제품으로 구성돼 있으며, 컴팩트 한 크기, 고효율 및 극도의 무부하 전력 소비를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헬로티] ▲소형 고전압 컨버터 IC VIPer31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ST Microelectronics, 이하 ST)가 자사의 VIPerPlus 시리즈에 소형 고전압 컨버터 IC인 VIPer31를 추가했다고 9일 밝혔다. ST 측은 "이번에 출시된 전력 컨버터가 에너지 절약을 위한 친환경 설계 표준을 충족하는 동시에, 부품원가를 절감하도록 해줄 것"이라고 말했다. ST 측에 따르면, 절연 및 비절연 플라이백, 벅, 벅-부스트 컨버터를 비롯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오프라인 AC/DC 컨버터 토폴로지에 최적화되어 있는 VIPer31은 외부 부품이 거의 필요하지 않아 소형 및 저비용의 PCB를 사용해 비용 효율적인 설계를 구현할 수 있다. 또 230VAC 입력 및 20mW 미만의 무부하 전력소비가 가능해 대형 또는 소형 가전, 에어컨, 스마트 홈 또는 스마트 빌딩 자동화, 조명, 계량기, 모터 제어 애플리케이션의 스위치 모드 전원공급장치에 적합할 것으로 보인다. 출시된 IC는 30kHz, 60kHz, 132kHz 옵션의 PWM 지터 컨트롤러를 비롯해 800V의 견고한 애벌런치(Avalanche) 성능의 MOSFET 전력단, 고전압 시동 회로, 감지 FET,
[헬로티]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STMicroelectronics, 이하 ST)가 2채널 인터리브 부스트-PFC(Interleaved Boost-PFC) 토폴로지를 지원하는 STNRGPF02를 출시해 디지털 전원공급장치 컨트롤러 제품을 확대한다고 밝혔다. 신속하게 회로 설계를 완료하고 외부 부품을 선택하게 해주는 소프트웨어 eDesignSuite를 이용해 손쉽게 디바이스를 구성할 수 있다. STNRGPF02는 일반 아날로그 방식에 비해 탁월한 유연성과 빠른 설계 주기를 제공하는 등 600W - 6kW에 이르는 애플리케이션에서 디지털 파워의 장점을 구현해준다. 동시에 다른 디지털 솔루션보다 훨씬 더 뛰어난 시스템 집적도를 갖춰 별도의 DSP나 마이크로컨트롤러가 필요하지 않다. STNRGPF02의 대표적인 애플리케이션으로는 산업용 모터, 에어컨, 가정용 및 상업용 가전기기, 셀룰러 기지국, 통신 인프라, 데이터센터 장비, UPS(Uninterruptible Power Supplies) 등이 있다. STNRGPF02는 평균 전류 모드 제어 기능으로 고정 주파수에서 CCM(Continuous-Conduction Mode)으로 동작한다. 내부 전류 루프에 하드웨어
[첨단 헬로티] 탈원전, 탈석탄 등 새 정부의 에너지 정책으로 LED 조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LED 조명 기업 레드밴스에서 뛰어난 광효율과 편리한 설치 방법을 갖춘 실내용 조명 ‘LED PL 등기구’를 출시해 화제다. 신제품은 일자형 ‘리니어(Linear)’와 십자형 ‘크로스(Cross)’ 두 가지 타입으로 공개됐다. 소비전력은 각 21W, 42W이며 광색은 두 제품 모두 4000K, 6500K를 제공한다. 일반 가정뿐만 아니라 사무실, 레스토랑, 매장 등 상업공간에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LED PL 등기구’는 SMPS(전원공급장치, Switch Mode Power Supply)를 장착해 높은 회로 안정성을 갖춘 것이 특징이다. 또한, 레드밴스의 LED 기술력으로 최대 110lm/W의 뛰어난 조명 효율성과 긴 수명을 갖췄다. 기존 형광램프보다 최대 70% 이상 적은 에너지를 소비해 경제성도 높다. 신제품은 고품질 LED 사용으로 플리커(flicker) 없는 편안한 빛을 제공해 눈의 피로도를 크게 낮춘 것이 특징이다. 설치방법도 간편하다. 나사로 브래
[헬로티] 리니어 테크놀로지 코리아는 고집적, 고전압, 저잡음 듀얼 출력 전원공급장치(LTC3256)를 출시했다. 이 제품은 단일 양극 입력에서 인덕터 없이도 고효율로 5V와 3.3V 스텝다운 공급 전압을 제공한다. 이 디바이스는 5.5V~38V에 이르는 폭넓은 입력전압 범위가 특징이며, 독립적으로 이네이블 가능한 듀얼 출력을 포함하고 있다. 5V 100mA 및 250mA 3.3V LDO(Low-dropout) 레귤레이터로, 총 최대 출력 전류는 350mA이다. 이러한 레귤레이터 조합은 듀얼 LDO 솔루션에 비해 전력 소모가 훨씬 낮다. 예를 들어, 12V 입력에서 두개의 출력에 최대 부하 조건인 경우 LTC3256을 이용하면 전력 소모는 2W 이상 감소되므로 발열과 입력 전류를 대폭 줄일 수 있다. LTC3256은 ISO26262 진단 범위(Diagnostic Coverage)를 위해 설계됐으며, 수많은 안전 및 시스템 모니터링 특성을 지원한다. 이 디바이스는 자동차용 ECU/CAN 트랜시버 전원, 산업용 및 텔레콤 하우스키핑 전원, 12V를 5V 및 3.3V로 변환하는 범용 저전압 변환과 같이 고전압 입력으로부터 저잡음, 낮은 전력레일을 요구하는 다양한
티제이텍은 전원 안정화 공급장치 분야에만 주력해 왔으며, 장인정신을 바탕으로 외길을 걸어 왔다. 티제이텍은 전원 장치 전문업체로서 그 기술과 품질을 인정받고 있으며 ALL-IGBT형 신개념 무정전전원장치(UPS)를 개발했고, 아날로그 계측 메타형 자동전압조정기(AVR)를 LCD 계측형 인공지능 AVR로 개발 및 공급하고 있다. 급변하는 정보화 시대를 맞이해 국내외에서는 산업장비, 각종 자동화 설비, 컴퓨터, 정밀산업 장비가 확산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해 전원의 안정성이 요구되고 있다. 장비의 안정성,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전원공급장치가 중시되는 요즘, 티제이텍은 25년간 쌓아 온 축적된 기술을 바탕으로 계속 성장하고 있다. 빠르게 변동하는 기술의 추이를 분석해 무소음, 빠른 응답속도, 고효율, 미려한 디자인, 높은 신뢰성 등 탁월한 성능을 발휘하는 AVR, UPS 등 전원장치를 적극 개발하고 있으며, ISO 9001 인증 SYSTEM의 절차에 따라 생산, 검사, 품질보증, 납품, 설치 서비스가 원만히 이루어지는 품질보증체제를 갖추고 있다. 티제이텍이 국내에서 직접 제작하는 대표 UPS 모델인 MPS103은 내구성이 강하고 AVR 기능이 내장돼 있으며 정전
피닉스컨택트는 고객 요청에 따라 미리 설정된 상태로 제공하거나 고객 스스로 맞춤 설정을 할 수 있는 전원 공급 장치 Quint Power 4를 선보인다. 이 제품은 NFC 인터페이스를 통해 알람 모니터링 임계값과 출력 특성을 조정할 수 있다. SFB(Selective Fuse Breaking) 기술은 부하단에 단락이 발생할 경우, 최대 15ms 동안 정격 전류의 6배에 해당하는 전류를 흘려보내 단락이 발생한 라인의 회로 차단기를 선별적으로 빠른 시간 내에 트리거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병렬로 연결된 전기 장치들은 지속적으로 작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정격 전류의 최대 125%를 제공하는 정적 부스트를 항상 사용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시스템을 편리하게 확장할 수 있다. 과부하 시작 시 최대 5초 동안 정격 전류의 최대 200%를 제공하는 동적 부스트도 제공되고 있다. 피닉스는 예방적 기능의 고급 모니터링 시스템은 오류가 발생하기 전에 각 시스템별로 위험한 작동 상태를 탐지한 후 조기에 경고해 준다고 말했다. 입력 측에는 가스 봉입형 통합 서지 보호 장치가 장착되어 있고, 전파 방해에 관한 내성이 강화됐으며 20ms가 넘는 주전원 오류 브리징 시간을 보장한다
유니온전자통신은 1995년 설립 이후, 지속적으로 국내 전원공급장치를 선도해 온 기업이다. 최근에는 전원공급장치 이외에도 무접점 릴레이, 노이즈 필터, LED 조명 실내외용 컨버터 등 다양한 신제품을 지속적으로 출시하고 있다. 유니온전자통신은 이러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국내 시장을 넘어 해외 시장 진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일본 및 유럽에서 제품에 대한 호평을 받은 바 있으며, 향후 러시아, 체코, 인도, 이집트, 불가리아, 터키 등 다양한 국가로 진출할 계획이다. 또한 생산 제품의 품질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UL, TUV, CE에 대한 제품 인증을 획득했고, ISO9001, ISO14001에 대한 인증을 획득했다. 이솔이 기자
DIN 레일용 AC-DC 파워 서플라이는 고효율의 전원 공급 장치로서, 이산화탄소 배출량과 전기 사용량을 줄여 주는 제품이다. Remote On/Off 기능과 과전류, 과전압, 과열 보호 기능을 탑재했으며, 출력 전압 확인을 위한 알람 기능 역시 탑재돼 있다. Euro Style과 Barrier Blocks Style의 2가지 타입으로 구성돼 있다. 이솔이 기자
사진. 후지전기코리아 호소야 유지 대표이사 Q. 후지전기코리아의 기업 경쟁력은 A. 전기 분야에서 90년간 쌓아온 기술력을 바탕으로, 대리점과의 긴밀한 관계 유지 및 현장 고객의 불만 사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또한, 회사 내 네트워크를 활성화하여 개별 담당 제품뿐만 아니라, 정보 공유를 통해 다양한 제품 대응으로 고객 니즈를 충족시키고 있다. 이러한 유기적인 대응력으로 2014년에는 전년 대비 16% 성장한 430억원 매출을 달성했다. Q. 한국 시장 확대를 위한 전략은 A. 후지전기코리아는 ICT 융합시대의 데이터 단절을 대비하기 위한 UPS와 같은 전원공급장치를 적극적으로 전개할 계획이다. 뿐만 아니라 공조설비 등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한 플랫폼을 제공하여 스마트 빌딩 등 에너지 절약이 절실한 다양한 분야로 사업을 확장할 계획이다. Q. 전시 계획은 A. 2년에 한 번씩 오토메이션 월드에 참가하고 있으므로, 일회성 전시회가 아닌 지속적으로 고객에게 어필할 수 있는 행사를 할 예정이다. Q. 어떤 신제품들을 만나볼 수 있나 A. 이번 전시회는 단순한 신제품 소개가 아닌 후지전기코리아에서 다루고 있는 모든 아이템을 전반적으로 알리는 것을 그 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