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D현대의 전력기기 및 에너지 설루션 계열사 HD현대일렉트릭은 제61회 무역의 날 기념식에서 '10억불 수출의 탑'을 수상했다고 6일 밝혔다. 국내 전력기기 업계에서는 HD현대일렉트릭이 처음으로 이 상을 받았다. HD현대일렉트릭은 글로벌 전력 인프라 확대 추세에 힘입어 작년 7월 1일부터 올해 6월 30일까지 1년간 수출액 총 12억451만달러(약 1조7천억원)를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45.6% 증가한 수치다. 올해 3분기까지는 북미 및 중동 시장의 매출이 지난해 연간 매출 대비 각 113.2%, 98.1%를 기록하며 탄탄한 성장세를 이어갔다. 조석 HD현대일렉트릭 부회장은 "이번 10억불 수출의 탑 수상은 주력 시장 내 매출 확대와 유럽 등 신시장 개척에 힘써온 결과"라며 "해외 시장 공략에 역량을 집중해 국가대표 전력 기자재 기업을 넘어 글로벌 에너지 설루션 기업으로 도약하겠다"고 밝혔다. 오토메이션월드 김승준 기자 |
헬로티 김진희 기자 | 한국전기연구원(KERI)이 창립 45주년을 맞아 지난 28일, 전 임직원과 함께하는 온라인 창립기념식을 개최했다. 명성호 원장은 창립기념사를 통해 “원장으로 선임된 지 정확히 77일째가 되는 오늘에 이르기까지, 많은 지자체/유관기관/기업 관계자들을 만나면서 KERI의 새로운 포부를 알렸고, 이러한 과정에서 우리 연구원이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가다듬는 뜻깊은 성찰과 고민의 시간을 보냈다”며 “기관장으로서 3년간의 비전을 제시할 기관운영계획을 곧 수립하고, 연구원 사업 계획의 핵심인 주요사업을 선정하는 등 직원들과의 공감을 통해 새로운 미래를 함께 만들어가고자 한다”라고 전했다. 또한 명 원장은 “코로나19라는 한 번도 경험해보지 못한 국가적 위기 상황에서도 우리 연구원이 전년도 기술이전 실적 대비 무려 162% 이상(24억->63억) 상승을 달성하는 등 ‘조용하면서도 강한’ KERI의 강점을 유감없이 발휘하고 있다”며 임직원의 헌신과 노력에 대한 감사 인사를 전하기도 했다. 이어 “상향식 혁신을 기반으로 한 탄탄한 조직문화 구축은 급변하는 대내외 환경 변화라는 파고에 맞서 KERI호가 순항할 수 있는 강력한 추진체가 될 것”이
헬로티 이동재 기자 | 한국전기연구원(이하 KERI)이 차세대 전력전송 기술로 손꼽히는 ‘초고압 직류송전(High Voltage Direct Current, 이하 HVDC)’ 분야 전력기기를 시험·인증하는 초대형 인프라를 국내 최초로 경남 창원지역에 구축한다. HVDC는 발전소에서 생산된 대용량의 전력을 고압 직류로 변환해 원거리까지 전송하는 기술이다. 직류송전은 장거리 전력 공급 과정에서 지중과 가공 모두 교류 대비 선로 손실이 매우 작아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고, 위상과 주파수 등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기에 국가 및 이종 계통 간의 전력전송이 용이하다. 특히 비상상황 시 이웃 계통과의 연계로 블랙아웃의 위험성을 낮출 수 있고, 시간에 따른 전류의 변화가 없기 때문에 전자파의 발생이 매우 작아 사회적 수용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이러한 이유로 현재 전 세계에선 HVDC 기술 선점을 위한 노력이 지속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제8차, 9차 전력수급 기본계획에 HVDC 전력망 확대를 계획하는 등 2025년까지 11개 사업에 약 17조 원 규모의 투자가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HVDC는 아주 높은 전압을 멀리 보내야 해서 관련 전력기기 및
헬로티 김진희 기자 | 현대중공업그룹의 전력기기 및 에너지솔루션 계열사인 현대일렉트릭이 친환경 축발전기 상용화에 나섰다. 현대일렉트릭은 선박 대형엔진과 일체형으로 제작되는 엔진 일체형 축발전기(Engine Mounted Generator)를 국내 기업 처음으로 수주했다고 지난 10일 밝혔다. 이번에 수주된 엔진 일체형 축발전기는 총 2대로, 유럽 소재선사들이 발주한 9만 1천 입방미터급 LPG운반선 2척에 2022년부터 순차적으로 탑재될 예정이다. 이 축발전기는 한국조선해양, 현대중공업과 함께 독자기술로 만들어 낸 것이다. 이번에 개발한 엔진 일체형 축발전기는 선박 운항 시 추진용 엔진 축의 회전력을 이용해 선박에 필요한 전력을 생산, 연료 소모량과 유해 배기가스를 저감하는 친환경 제품으로, 국제해사기구(IMO)의 환경 규제인 에너지효율설계지수(EEDI)도 3~5%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대형엔진 전면부에 일체형으로 결합되는 구조로, 기존 방식 대비 설치 공간을 40%이상 줄일 수 있어 화물 공간을 그대로 유지한 채 연료비를 절감할 수 있게 했다. 현대일렉트릭은 3년여 노력 끝에 개발한 엔진 일체형 축발전기 제품을 포함, 기존 방식의 축발전기(In-line
[헬로티] LS ELECTRIC(일렉트릭)이 아세안 주요국 주한 대사들에게 스마트 팩토리 기술을 소개하고, 향후 해당 국가들에 대한 사업 확대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LS일렉트릭은 25일 아세안 국가 주한대사 10명으로 구성된 ‘아세안 커미티 인 서울(ASEAN Committee in Seoul ; 이하 ACS)’ 회원들을 자사 청주사업장을 방문, 국내 최고 수준의 스마트 팩토리 현장을 둘러보고 향후 아세안 지역에 대한 사업적, 기술적 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고 밝혔다. ▲ 구자균 LS일렉트릭 회장(왼쪽 첫번째)이 주한 아세안 대사들에게 LS일렉트릭 스마트팩토리 기술을 직접 설명하고 있는 모습. ACS는 브루나이, 캄보디아, 인도네시아, 라오스, 말레이시아, 미얀마, 필리핀, 싱가포르, 태국, 베트남 등 10개국 주한대사가 주요 회원으로, 지난 22일 LS그룹 초청으로 LS용산타워에서 LS와 아세안 국가 간 상호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한 바 있다. LS일렉트릭 구자균 회장은 이날 롬마니 카나누락 주한 태국 대사, 에릭 테오 주한 싱가포르 대사, 응웬 부 뚱 주한 베트남 대사 등 ACS 소속 주요 국가들 대사들을 청주사업장에서 영접하고,
[헬로티] 환태평양 1위 전력기기 국제공인 시험인증기관인 한국전기연구원(이하 KERI, 원장 최규하)이 스마트그리드 통신 분야 세계 유일의 시험인증기구인 UCAIug로부터 디지털변전소의 핵심 통신기술인 ‘IEC 61850 GOOSE’의 국제공인 시험인증기관 자격을 획득했다. ‘IEC 61850’은 변전소 및 전력유틸리티 자동화 분야에서 전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표준 전송 프로토콜(컴퓨터 간 정보를 주고받을 때 통신방법에 대한 규칙과 약속)이다. 지난 2003년 제1판 버전 발행 이후 2009년 성능이 향상된 제2판 발행을 통해 HVDC, 풍력, 태양광, 에너지저장장치 등 다양한 스마트그리드 분야에 활용되고 있으며, 현재는 일부 모델링 기능이 강화된 제2.1판이 발행되고 있다. 이번에 KERI가 자격을 획득한 GOOSE 성능시험은 UCAIug가 인정하는 IEC 61850 통신 적합성 7대 시험분야 중 하나로, 디지털변전소의 핵심 구성요소인 지능형 전력기기 간 상호 정보교환을 수행하는 ‘GOOSE 메시지’의 전송시간을 측정하는 것이다. 변전소에서 발생하는 계통 고장과도 같은 긴급 상황에서 인터로킹 신
[첨단 헬로티] LS산전이 이탈리아 최대 자동화 시스템 전시회에서 내달 출시될 G100 드라이브, 양산 예정인 Metasol VCB(진공차단기) 등 자동화와 전력기기 신제품을 대거 공개, 유럽 시장 공략을 본격화 한다. LS산전은 지난 28일부터 30일까지 이탈리아 북부 소재 파르마(Parma)에서 열리는 제9회 이탈리아 파르마 국제 자동화 시스템 박람회(SPS IPC Drives Italy 2019)에 참가, 자동화와 전력 사업이 공동으로 참가해 이 분야 토털 솔루션 역량을 선보였다. ▲ 제9회 이탈리아 파르마 국제 자동화 시스템 박람회에서의 LS산전 부스 현장 이탈리아 국제 자동화 전시회는 독일 뉴렌버그에서 개최되는 세계 최대 자동화 시스템 및 부품 전시회 SPS IPC Drives에서 분파돼 이탈리아에서 동일한 성격으로 개최되는 종합 자동화 전시회로, 매년 1,000개 이상의 업체가 참가하고 10만 명 이상의 참관객을 기록하고 있다. LS산전은 총 11부스 규모의 전시 공간에 △드라이브 △오토메이션 △전력 △전력·자동화 통합 솔루션 등 총 4개 테마로 글로벌 고객들이 자사 솔루션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전시를 구성했다. 특히 자동화 전시회로
[첨단 헬로티] LS산전이 태양광은 물론 DC(직류)·AC(교류) 전력 솔루션 등 신재생 발전시스템 전체를 아우르는 토털 솔루션을 앞세워 일본 시장 공략에 적극 나선다. LS산전은 27일부터 3월 1일까지 3일간 일본 도쿄 빅사이트에서 열리는 ‘PV System EXPO 2019’에 ‘신재생 발전 시스템 Total Solution Provider’를 메인 콘셉트로 스마트 에너지 분야 통합 솔루션 기술 역량을 선보였다. ▲ 'PV System EXPO 2019'의 LS산전 부스 모습 PV System Expo는 아시아 최대 규모의 에너지 전시회인 World Smart Energy Week 2019의 대표 전시회로 약 30개국 1,600여 개의 글로벌 에너지 기업이 참가했다. LS산전은 총 16.2부스 규모의 전시 공간에 △스마트 발전 솔루션 △스마트 직류 솔루션 △스마트 에너지 최적 관리 등 3개 테마를 중심으로 36kV 전력개폐장치(RMU), 수상 태양광 전용 모듈, 직류 전력기기 신제품, 초고압직류송전(HVDC )등 일본 스마트 에너지 시장 주도권 강화를 위한 핵심 솔루션을 선보였다. 전시장 전면에는
[첨단 헬로티] LS산전 전력솔루션 제품이 디자인 분야 오스카상으로 불리는 iF 디자인 어워드(Design Award)에서 2개의 본상(Winner)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 LS산전은 14일 자사 전력배전 솔루션 분야 대표 제품인 ‘GIMAC i EX’와 ‘DMP i’가 2019년 iF 디자인 어워드에서 ‘Product – Industry/Tools’ 부문 본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 디자인 분야 오스카상을 받은 LS산전의 ‘DMP I’(왼쪽)와 ‘GIMAC i EX’ 독일 하노버 소재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독립 디자인 기관인 iF 인터내셔널 포럼 디자인은 각국 전문가들로 구성된 70여 명의 심사위원단을 구성, 우수한 평가 디자인 결과물에 대해 매년 iF 디자인상을 수여하고 있다. 2019년 어워드에서는 50개국에서 접수된 6,400여 개 이상의 출품작이 수상을 위해 치열한 경쟁을 벌였다. 이번에 디자인상을 수상한 ‘GIMAC i EX’와 ‘DMP i’는 LS산전 전력 배전 솔루션을 대표하는 제
[첨단 헬로티] 한국전기연구원(원장 최규하, 이하 KERI)이 국내 중전기기 업체 수출 증대를 위해 시험성적서 글로벌 브랜드 가치 제고 활동을 한층 강화한다. KERI는 전력기기에 대한 국가공인 시험인증기관이자 세계 3대 국제공인 시험인증기관이다. KERI는 세계 최고 수준의 설비와 전문인력을 바탕으로 KERI의 시험성적서가 전세계 시장에서 통용되게 함으로써 국내 중전기기업체의 해외시장 개척에 기여하고 있다. 2011년 ‘세계단락시험협의체(STL)’ 정회원 자격을 획득했고, 2016년에는 중전기기산업계의 오랜 숙원이었던 ‘4,000MVA 대전력설비 증설’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함으로써 국내 중전기기업체들의 시험적체 문제를 해결했다. KERI는 4월 취임한 최규하 신임원장의 방침에 따라 올해부터 KERI 시험성적서 가치를 한층 강화하기 위한 글로벌 브랜드 강화를 위한 홍보마케팅 활동을 적극 추진한다. KERI의 시험성적서 글로벌 인지도 강화는 곧 이를 활용하는 국내 전력기기 업체의 수출경쟁력 강화로 이어질 전망이다. 우선 ‘두바이 MEE(Middle East Electricity Exhibition)&rsquo
[첨단 헬로티] 한국전기연구원(KERI)이 신재생에너지산업을 육성하고 국내 기업의 수출 활로를 모색하기 위해 오는 14일(수)부터 16일(금)까지 3일간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리는 국제 신재생에너지 전문 전시회 ‘SWEET 2018(Solar, Wind & Earth Energy Trade Fair 2018)’에 참가한다. 이번 전시회에서 한국전기연구원(이하 KERI)은 “빛고을 광주, 한국전기연구원을 품다!”라는 슬로건을 아래, 광주 시민들에게 2019년 설립 예정인 KERI 광주분원을 소개하고 연구원의 역할과 대표성과를 소개하는 자리가 마련된다. 국토 서남권역 전력기술과 유관 산업발전에 기여하게 될 KERI 광주분원은 2019년 하반기 광주 남구 도시첨단산업단지에 설립된다. 광주 지역의 전략산업인 대용량 전력변환, 고압직류송전(HVDC) 분야의 연구개발과 기업지원업무 등을 중점적으로 담당하며 지역산업 활성화 촉진 및 유관기업의 기술력 제고에 기여한다는 목표다. 전시 부스에서는 KERI 광주분원의 핵심 연구분야가 될 고압직류송전(HVDC) 및 신재생에너지 연구분야 성과가 소개된다. 신재생에너지 분야에서
[첨단 헬로티] 한국전기연구원(KERI)의 전력기기 시험인증 수수료 체계가 보다 합리적 형태로 변경돼 내년부터 반영된다. 한국전기연구원(KERI) 시험인증본부는 5년마다 실시하는 시험수수료의 원가분석 결과를 기초로 합리적이고 간편한 시험체제를 최근 확정하고, 오는 2018년 1월 1일부터 이를 적용한다는 방침이다. 전기연구원은 이와 관련, 11월 7일(화) 오후 2시 안산분원에서 기업 관계자 및 유관기관 관계자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시험수수료 개정 고객설명회를 열고, 내년부터 적용될 변경된 시험수수료 체계에 대해 설명했다. 이번 개정은 복잡한 시험수수료 구조를 개선하여 효율적인 시험수수료 관리 체계 마련하고 원내시험 기준으로 산정된 원외시험 입회수수료를 현실화하기 위한 것이다. 아울러 최근 시험 및 인증 수수료 원가 계산 결과를 근거로 물가 등 환경 변화 요인을 반영하고 대용량 대전력시험 요구 증가에 따른 대전력 시험수수료 합리화 방안을 적용하기 위해 마련됐다. 전기연구원은 이번 개정을 통해 시험수수료의 구조를 항목수수료, 입회수수료, 기본수수료 및 기타수수료로 명확하게 구분함으로써 수수료 계산 및 적용의 인적오류를 제거했다. 또한 입회시험(제조업체
[첨단 헬로티] 한국전기연구원은 오는 7일 오후 2시 안산시 상록구 항가울로 소재 안산분원 강당에서 '시험수수료 개정을 위한 고객 설명회'를 개최한다. 설명회에서 연구원은 내년 시험수수료 개정안을 소개하고 관련업계의 의견을 수렴할 예정이다. 전기연구원은 5년마다 실시하는 시험수수료 원가분석 결과를 토대로 국내외 환경변화에 따른 적정 전기기자재 시험료를 산정해 내년 1월 1일부터 이를 적용할 방침이다. 전기연구원은 이번에 시험료 개정을 통해 보다 고품질의 시험인증서비스를 제공하고 전력기기 제조사의 국제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한다는 방침이다. 이날 설명회에서는 또한 전기산업진흥회가 공인검수시험 면제 운영현황과 계획을 설명할 계획이다. 한편, 한국전기연구원은 전력기기에 대한 국가공인시험인증기관이자 세계 3대 국제공인시험인증기관으로서 세계적 경쟁력과 신뢰성을 확보하고 있다. 세계 중전기기 산업계의 'G10'이라 불리는 ‘세계단락시험협의체(STL)’ 정회원 자격 획득으로 KERI의 시험성적서가 전세계 시장에서 통용되게 함으로써 국내 중전기기업체의 해외시장 개척에 기여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중전기기산업계의 오랜 숙원이었던 4000
[첨단 헬로티] 한전 전력연구원(원장 배성환)은 물방물이 달라붙지 않고 흘러 떨어지는 연잎의 원리를 이용하여 도로나 해안가 등에 설치된 변압기 등 전력기기의 오염, 결빙, 부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생체모방 기능성 코팅 기술’ 개발에 착수했다. 해안가에 설치된 전력설비는 바다에서 날아오는 염분으로 인한 부식과 손상으로 정전 사고가 발생하며, 강원도 등 혹한 지역에서는 송전선 및 송전탑에 쌓이는 눈과 얼음으로 인한 사고가 발생한다. 전력연구원이 개발에 착수한 생체모방 기능성 코팅 기술은 SiO2, TiO2, ZrO2, Al2O3 등의 나노 물질과 표면제어 기술을 이용하여 전력기기 표면에 인공적으로 연잎의 구조를 만드는 신소재 코팅 기술로, 표면에 수 마이크로(백만분의 1미터) 크기의 돌기 구조가 물에 젖지 않는 물질로 구성되어 있어 표면장력과 소수성(수분이 달라붙지 않는 성질)이 극대화된 연잎 효과(Lotus effect)를 응용한 것. 생체모방 기능성 코팅 기술은 지상 변압기, 전선, 개폐기, 외함 등 전력기기의 표면에 적용하여 전력기기의 부식과 결빙을 방지하고 전력기기 고장 및 사고를 30% 이상 예방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간단한
(주)운영은 트랜스포머 전문 제조업체로, 이외에도 리액터, 고조파필터, 파워서플라이 등 전원 및 소음 관리를 위한 자동화 제품들을 개발하여 전력기기 종합생산업체로도 통한다. 뿐만 아니라 제어 분야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전력보호기기 제품을 개발해 국내 주요 플랜트 및 해외로 수출하고도 있다. 운영 관계자는 "최근에는 기후의 변화로 잦아지는 낙뢰에 대비하도록 서지 디바이스를 신제품으로 출시했다"고 강조했다. 정리 : 추경미 기자 (ckm@hellot.net) 동영상 : 천병록 PD (hbs@hellot.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