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 헬로티] 국산 시계열 데이터베이스(DB) 업체 인피니플럭스가 스마트 팩토리와 산업용 사물인터넷(IoT)용 DB 시장 공략에 본격적인 시동을 걸었다. 제조 데이터 분석에 있어 하둡이나 관계형 DB 등 기존 데이터베이스로는 제대로 채울 수 없는 공간을 시계열 DB가 메울 수 있다는 것을 명분으로 내세웠다. 시계열DB 시시각각 변하는 값 또는 시간에 따라 발생하는 사건의 순차(순서)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들 값은 보통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측정된다. 대표적 예로 증권시세, 각 지역별 교통량데이터, 다양한 종류의 센서로부터 발생되는 센서 데이터 등을 들 수 있다. 현재 시계열 분석을 이용하는 기업은 글로벌 전체에서 4% 미만으로 알려진다. 그러나 빅데이터에 대한 전략적 가치가 커지면서 시계열DB를 둘러싼 성장 잠재력도 커지고 있다는 것이 인피니플럭스 설명. 특히 데이터가 대량으로 발생하는 스마트팩토리 환경은 시계열DB 지분 확대를 이끌 매력적인 키워드 중 하나로 꼽힌다. 김성진 인피니플럭스 대표는 "공장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는 많은데, 지금까지는 복잡한 하둡이나 빅데이터 처리 역량이 부족한 상용 관계형 DB에 넣거나, 아니면 그냥 버리는 것이 현실"이라며 "시계
[첨단 헬로티] 인피니플럭스 (대표 김성진)는 티라유텍 (대표 김정하, 조원철)과 스마트 팩토리용 공동 솔루션 개발을 위한 업무 협약을 맺었다고 11일 밝혔다. 스마트팩토리를 위한 UX 통합 개발 플랫폼인 티라유텍 MICA 솔루션과 인피니플럭스 시계열데이터베이스 마크베이스 (MACHBASE)를 결합하는 것이 협력의 골자다. 공동 개발하는 솔루션을 통해 제조 현장의 스마트팩토리 진행속도가 가속화될 수 있을 것이라고 양사는 강조했다. 티라유텍은 MES (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 자동화 솔루션과 및 SCM (Supply Chain Management) 물류 솔루션 등을 제공해왔다. 산업용 IoT에서 예지보전에 이르는 공정과 생산관리 부문에서 고객 요구을 반영한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는게 인피니플러스 설명. MICA(Manufacturing Intelligence Canvas Application)는 HTML5 기반 사용자 정의 화면 구성이 가능한 UI/UX 플랫폼으로 다양한 IT환경을 적절히 활용해 제조 생산과정을 지능화, 최적화 해 급격한 비즈니스 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제조현장에 맞는 기능 템플릿은 물
[첨단 헬로티] 시계열 DB 개발 업체 인피니플럭스가 빅데이터 및 IoT에 적합한 모티프 디스커버리 플랫폼 업체 트렌달라이즈와 손을 잡았다. 이번 협력으로 트렌달라이즈는 인피니플럭스 시계열 데이터베이스 솔루션을 자사 플랫폼에 탑재했다. 영국에 본사를 둔 트렌달라이즈는 구글 검색 방식의 IoT 및 빅데이터 검색에 기반한 모니터링 엔진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기업들이 데이터에 담긴 가치를 발굴하고 수익을 창출해 낼 수 있도록 지원한다. 양사에 따르면 IoT 환경에선 다양한 기기와 장치들에 센서가 내장되고 세분화된 시계열 데이터는 운영 패턴을 감지한다. 분석 알고리즘으로 원인 및 트렌드가 규명되고 분석결과는 모니터링을 통해 관리된다. 인프리플럭스는 "방대한 양의 시계열 데이터에 대한 가치화를 통해 새로운 방식으로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으며, 세분화된 분석과 확장이 용이한 모니터링은 IoT의 가치를 강화할 수 있게 해준다"고 설명했다. 시계열데이터에 대한 중요성이 커지고 있지만, 현재 시계열 분석을 이용하는 기업은 글로벌 전체에서 4% 미만으로 알려진다. 양사에 따르면 시계열데이터와 관련한 IoT 사업 모델을 구체화하려면 새로운 분석 기법이 필요하다. 기존 BI 플
[첨단 헬로티] 인피니플럭스 (대표 김성진) 는 16일부터 18일까지 미국 산타클라라 컨벤션 센터에서 열리고 있는 IoT 월드 2017 전시회에 참석해 시계열 데이터베이스를 선보인다. 인피니플럭스는 이번 행사에서 IoT 게이트웨이에 탑재가 가능한 시계열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성능 소개는 물론 솔루션 파트너사인 삼성ARTIK과 함께 시연을 진행한다. 인피니플럭스 제품은 IoT 기기에서 나오는 센서 데이터를 초당 100만 건 단위로 수집할 수 있는 IoT 및 빅데이터 전용 데이터베이스이다. 기존 게이트웨이는 소프트웨어 레벨의 데이터 수집이 어려웠던 반면, 인피니플럭스 시계열 DBMS는 IoT 게이트웨이에 데이터베이스를 탑재하는 방식이어서, 실시간 초고속 데이터 수집과 저장을 통해 기본 분석을 위한 저장이 가능해진다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첨단 헬로티] DB엔진 기반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업체 인피니플럭스(대표 김성진) 쿠도커뮤니케이션(대표: 박기훈), 유니포인트(대표 권은영)와 각각 국내 총판 계약을 체결하고 시장 공략에 나선다고 24일 밝혔다. 인피니플럭스 시계열데이터베이스는 고속 데이터 입력과 분석에 적합하며 표준 SQL을 사용하여 쉬운 개발이 가능하다. 사물인터넷(IoT) 및 빅데이터 분야에 어울리는 DB 플랫폼이다. 시계열데이터는 초당 수 만 건에서 수백 만 건으로 생성되며, 스마트팩토리 분야 등에서 예지보전관리의 중요성이 커짐에 따라 고객의 니즈 역시 증가하고 있다고 회사측은 전했다. 쿠도커뮤니케이션과 유니포인트는 솔루션 판매 경험을 기반으로 IoT 기기들을 위한 전용 제품으로 대용량 데이터 처리에 적합한 시계열데이터베이스인 인피니플럭스를 파트너들을 통해 선보일 예정이다. /황치규 기자(delight@hellot.net)
[첨단 헬로티] 인피니플럭스(대표 김성진)가 정밀의학 생명공학기업 마크로젠(대표 정현용) 빅데이터 유전체 변이 분석 서비스에 자사 DBMS 엔터프라이즈 클러스터 버전이 도입됐다고 18일 밝혔다. 인피니플럭스에 따르면 마크로젠은 NGS(Next Generation Sequencing) 기반 시퀀싱 분야 유전체 분석 서비스 업체로 유전체 데이터가 증가하면서, 기존 DBMS 및 빅데이터 솔루션으로 모든 데이터를 처리하는데 어려움을 겪어왔다. 이에 2016년 하반기부터 수십 억 건에 이르는 유전 변이 데이터를 고속으로 저장, 분석 및 검증할 수 있는 솔루션을 검토해왔고, 인피니플럭스 엔터프라이즈 클러스터 버전을 도입하기로 결정했다. 인피니플럭스는 "빅데이터에 최적화된 시계열 DBMS는 센서 및 로그와 같은 IoT 빅데이터 처리에 최고의 성능을 발휘하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이번 마크로젠 케이스를 통해 바이오 빅데이터 처리 능력도 함께 증명했다는 점에 의미가 크다"고 강조했다. 김성진 인피니플럭스 대표는 "마크로젠을 통해 바이오 빅데이터 처리에 대한 검증 작업에 대해 많이 공부하고 제품을 개선할 수 있었다"면서 "바이오 분야에서 고객과의 소통을 넗혀나가겠다"고 말했다.
[헬로티] 인피니플럭스(주)(대표 김성진)는 자사 시계열 데이터베이스 3.0이 지난 1월 삼성 사물인터넷(IoT) 플랫폼인 아틱(ARTIK) 공식 파트너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이를 기반으로 인피니플럭스는 IoT용 DB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낸다는 전략이다. 아틱은 프로세서(AP), 메모리, 통신, 센서 등으로 구성된 초소형 IoT 모듈로, 소프트웨어/드라이버, 스토리지, 보안솔루션, 개발보드, 클라우드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개발자들이 아틱을 활용하면 IoT 기기를 보다 쉽게 제품화할 수 있다. 인피니플럭스는 지난해 3분기 데이터베이스 제품이 아틱 전용으로 동작하도록 관련 포팅 작업을 마무리했다. 작년말부터 올해 초까지 삼성 아틱 인증 과정도 통과한 것으로 알려졌다. 인피니플럭스는 아틱 파트너로 선정된 것과 관련해 스마트 팩토리가 대두되는 환경에서 아틱 장비에서 대규모 센서 빅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할 수 있는 IoT 핵심 기술이 글로벌하게 인정받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설명했다. 인피니플럭스 김성진 대표는 "현재 국내 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여러 파트너들과의 협업과 연동을 진행 중에 있으며, 1분기내에 가시적인 성과가 나올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인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