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호 손실 없는 차세대 스핀 전자소자 개발...“포스트 실리콘 시대의 첫 걸음” 기존 전자소자의 물리적 한계 극복 현재 사용하고 있는 전자소자는 실리콘을 기본으로 하여 괄목할 만한 발전을 하고 있는데 물리적으로 스케일링의 한계에 가까워져 새로운 패러다임의 소자가 필요하게 되었다. 스핀트로닉스 소자는 전자의 전기적 특성과 자기적 특성을 모두 이용하는 차세대 전자소자로, 실리콘 이후 차세대 반도체 소자분야에서 가장 주목받는 후보이다. 스핀이 시계 방향으로 돌면 ‘0’, 반대방향으로 돌면 ‘1’로 인식하여 전자 하나가 1비트가 되는 것인데, 전자의 스핀은 제어하기 어려운 특성이 있어 스핀 정보를 전압으로 제어하고 전기신호로 바꾸는 것이 스핀트로닉스 소자의 활용 여부를 가늠하는 핵심이 된다. 신호 손실이 없는 스핀-전기 전환 소자 개발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스핀융합연구단은 2000년대 초반부터 차세대 반도체 소자에 응용하기 위해 스핀을 제어하고 전기신호로 바꾸는 스핀트랜지스터, 스핀 홀 소자, 스핀논리소자, 스핀메모리 분야에 대한 연구를 시작해 세계적인 성과를 창출하였다. 기존 반도체 스핀소자는 스핀 정보
정부는 국가 경제발전의 핵심 열쇠인 우수 과학기술 성과의 창출과 활용을 촉진하고, 국민들에게 과학기술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2006년부터 매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에 대한 사례집을 발간하고 있다. 우수성과 100선을 통해 지난 10여 년 동안 1,000여건의 우수한 성과들이 선정되었고, 선정된 연구 과제는 논문·특허·기술료 징수액 등에서 다른 국가연구개발 과제에 비해 높은 성과를 보였다. 본지는 지난 한 해 동안 수행된 5만 4천여 개의 국가연구개발 과제 중 산·학·연 전문가들의 객관적이고 엄정한 심사를 통해 선정된 100개의 우수성과 중 정보/전자와 관련된 30개 국가연구개발 과제를 총 6회에 걸쳐 소개한다. 슈퍼컴퓨터와 유전체 분석 솔루션 결합 맞춤형 개인 의료 서비스 실현 눈앞 “유전체 분석용 슈퍼컴퓨팅 시스템 기술 개발” 유전체 데이터 고속 분석 처리하는 고성능컴퓨팅 시스템 미래는 유전체 기반으로 병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개인 맞춤 시대로 진화할 것이다. 인간 유전체 정보는 개인의 생명체 관련 모든 정보를 갖고 있으므로 발병 원인이나 질병치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