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조상록 기자 | 한화가 11월 18일 충북 보은사업장에 13만㎡ 규모(약 3.9만평)의 첨단 정밀유도무기 개발·제조 시설을 준공했다. 이번 준공으로 한화 보은사업장은 유도탄의 핵심 구성품인 탄두, 추진기관 등의 개발·생산, 체계 종합을 단일 장소에서 수행할 수 있는 국내 유일의 정밀 유도무기 생산 시설로 거듭났다. 한화는 대규모 유도무기 생산을 위한 첨단 설비를 갖추기 위해 2019년부터 신규 시설 증설을 추진해왔다. 공정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무인화, 원격화, 자동화 기술도 도입됐다. 앞으로 보은사업장에서는 소구경형에서 대구경형까지 다양한 탄종의 유도무기가 복합적으로 생산될 예정이다. 대한민국 영공 수십Km 위에서 적의 탄도미사일을 직격요격(Hit to Kill)하는 장거리지대공유도무기(L-SAM) ABM도 이곳에서 개발이 진행된다. 현재 군은 하층방어를 할 수 있는 천궁-II, 패트리어트를 운용 중이다. 상층방어를 담당할 L-SAM이 성공적으로 전력화되어야 한국형미사일방어체계(KAMD)를 완성할 수 있다. 한화는 지난해 12월 국방과학연구소로부터 L-SAM ABM 유도탄 종합 체계개발 시제업체로 지정됐다.
헬로티 이동재 기자 | 전차, 유도탄, 탄약 등 방위산업 제조공정에 로봇 보급이 본격적으로 추진된다. 산업통상자원부와 방위사업청은 17일 서울 밀레니엄힐튼호텔에서 로봇·방산 분야 유관기관이 참여한 가운데 '방위산업 분야 로봇 확산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식'을 열었다. 이날 행사에서는 산업부, 방위사업청 출연기관인 로봇산업진흥원과 국방기술품질원, 유관 단체인 로봇산업협회와 방위산업진흥회가 각각 업무협약을 맺었다. 이들 기관은 방위산업 분야 로봇 활용 공정 및 수요기업 발굴, 기술 및 기업 지원, 로봇기업과 방산기업 간 정보 교류, 공동사업 기획 등에서 협력할 계획이다. 그간 방위산업 분야는 다품종 소량생산, 수작업 위주의 공정 등으로 인해 로봇 활용이 미흡했다. 또한 다양한 업종과 공정으로 구성돼 있어 로봇을 확산하기가 어려웠다. 이에 정부는 로봇 활용이 미흡한 뿌리산업 등의 공정을 대상으로 개발해 보급 중인 로봇 활용 표준공정 모델을 방위산업 분야로 확산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구체적으로 2019년부터 개발·보급을 추진 중인 뿌리·섬유·식음료 분야 108개의 표준공정 모델과 올해부터 개발에 착수한 항공·조선·바이오·화학 분야 27개의 표준공정 모델을 방위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