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함수미 기자 | 우주 인터넷 기업 원웹(OneWeb)이 태극기가 새겨진 로켓을 발사했다. 원웹은 14일 오후 6시 40분 러시아 보스토치니 우주기지에서 소유즈 로켓에 위성 36기를 실어 쏘아 올렸고, 4시간 뒤 교신에 성공했다고 15일 밝혔다. 원웹의 로켓 발사는 올해만 7번째다. 8월 한화시스템이 3억달 러(약 3450억원) 투자와 원웹 이사회에 합류를 발표한 뒤로 매달 한 번씩 로켓을 발사하고 있다. 이번 발사로 원웹의 위성 358기가 궤도에 자리를 잡았다. 내년까지 위성 648기로 저궤도 우주 인터넷망을 만들어 전 세계에 초고속 인터넷을 제공하는, 글로벌 우주 인터넷 서비스 계획의 약 55%를 달성했다. 원웹은 이사회에 합류한 기업들의 소속 국기를 로켓에 차례대로 새겨 넣는다. ▲영국 정부, 세계 3대 이동통신사 바르티(Bharti Global·인도) ▲세계 3대 통신위성 기업 유텔샛(Eutelsat·프랑스) ▲소프트뱅크(SoftBank·일본)에 이어 한화시스템이 합류해, 로켓에 태극기가 그려졌다. 원웹은 각 분야 세계 최고 기업들과 협력하고 있다. 위성은 유럽 최대 항공기 제조 기업 에어버스와 합작해 만든 ‘에어버스 원웹 새틀라이츠’가 만든다.
헬로티 함수미 기자 | 다쏘시스템은 연구기관 인터스텔라 랩이 '바이오팟(BioPod)'의 첫 시제품을 더욱 효율적으로 설계 및 개발하기 위해 클라우드 기반의 3D익스피리언스 플랫폼을 활용했다고 밝혔다. 인터스텔라 랩은 폐루프를 통해 식량, 물, 공기를 생성 및 재사용하는 서식지 및 생태계 재현 시스템을 연구하는 기업이다. 자급자족이 가능한 이 식량 생산 시스템은 지구, 달, 화성에서 인류의 지속가능한 삶을 위해 필요한 인프라와 자원을 지원하는 우주정거장을 구축하고자 하는 기업 미션의 일환으로 개발됐다. 인터스텔라 랩은 원활한 협업과 빠른 설계 최적화 및 검증을 위해 3D익스피리언스 플랫폼 기반 '리인벤트 더 스카이(Reinvent the Sky)' 산업솔루션을 도입했다. 프랑스와 미국 팀원들은 언제 어디서나 단일 디지털 환경에서 최신 프로젝트 데이터에 실시간으로 안전하게 접근할 수 있게 됐으며, 전문지식을 공유할 수 있게 됐다. 또한, 버추얼 트윈을 통해 극한기후에서 바이오팟의 구조와 식물이 자랄 수 있는 최적의 산소 및 이산화탄소 농도와 광도 등과 같은 생물학적 시스템의 성능을 시뮬레이션하고 테스트할 수 있었다. 인터스텔라 랩의 설립자이자 CEO인 바바라
헬로티 함수미 기자 | 특허청은 한국탄소산업진흥원과 미래차(전기차, 수소차) 혁신을 이끌 탄소소재 지식재산 전략포럼을 7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포럼은 전기차, 수소차 등 미래차 산업의 혁신을 견인할 탄소소재 분야의 지식재산기반 소재혁신을 위한 산·학·연·관 협력 및 의견교류의 장으로 마련됐다. ‘탄소소재’는 우리나라가 미래 먹거리로 삼고 있는 전기차, 수소차, 이차전지, 우주·항공 등 다양한 산업에 적용되는 첨단소재로서 최근에 그 수요가 커지고 있다. 이에 특허청은 지속적으로 관련 업계의 의견을 청취하고, 산업 관점의 심사혁신사업, 품목별 통계사업 등을 통해 현장에 맞는 심사기준을 수립하는 한편, 소재분야 지재권 경쟁력 강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번 포럼에서는 업계, 학계, 연구소 전문가가 모여 탄소소재 혁신 방악을 모색한다. 이날 특허청은 '이차전지 전극재료/수소저장탱크용 탄소소재 특허분석 결과', 한국탄소산업진흥원은 '탄소소재 산업지원 전담기관의 활동'. 더카본스튜디오는 '연료전지 분야에서의 탄소소재의 역할'에 대해 소개한다. 또한 이번 포럼을 계기로 특허청은 탄소소재 특허 동향 및 분석결과를 지속적으로 업계에 공유하고, 정부, 대·중소기업 및
[헬로티] SK텔레콤은 대한민국 대표 ICT체험관 '티움(T.um)'을 보다 많은 사람들이 체험할 수 있도록 온택트 투어 프로그램 '티움 유튜브 라이브 투어'를 시작한다고 26일 밝혔다. ▲출처 : SKT '티움'은 미래 ICT 비전 제시를 위해 SK텔레콤이 을지로 본사에 설립한 총 1370㎡(414평) 규모의 ICT체험관이다. '티움'은 ▲테크놀로지, 텔레커뮤니케이션 등의 '티(T)'와 ▲뮤지엄(museum), 싹을 띄움 등의 '움(um)'을 결합한 이름으로, New ICT 기술로 미래의 싹을 틔우겠다는 의미다. SKT는 코로나19 상황에서 ‘티움’ 방문이 어려운 고객들을 위해 이번 온택트 투어를 준비했다고 전했다. 특히 보다 많은 청소년들이 이번 기회를 통해 미래 ICT 기술을 체험하고 꿈을 키우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티움 유튜브 라이브 투어' 관람객은 약 30분간 실시간 중계 영상을 통해 2051년 미래도시를 배경으로 구현된 ▲초고속 네트워크와 인공지능 등을 이용한 우주와 지구 환경 모니터링 ▲드론, AR(증강현실) 등을 통한 조난자 구조 ▲원격 홀로그램 회의 등 미래 ICT 기술을 생생하게 체험할 수 있다. 특히 우주로 단숨에
[헬로티] 지멘스(Siemens)는 미 공군에 PLM 솔루션을 공급해 미 공군의 디지털화를 지원한다고 밝혔다. ▲Siemens_SGT_Teamcenter 출처 : 지멘스 지멘스는 미 공군이 서비스 전반에 걸친 주요 시스템과 기술에 대한 디지털 데이터 획득 및 유지 전략을 지원하기 위해 기본 기록 시스템으로 팀센터(Teamcenter) 소프트웨어를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지멘스 디지털 인더스트리 소프트웨어의 Xcelerator 포트폴리오의 일부인 팀센터는 혁신을 위한 디지털 스레드를 제공함으로써 여러 부서에 걸쳐 사람과 프로세스를 연결하는 데 도움을 주는 PLM(제품 수명주기 관리) 솔루션이다. 지멘스의 소프트웨어, 서비스 및 애플리케이션 개발 플랫폼의 통합 포트폴리오인 Xcelerator를 활용함으로써, 국방부와 항공 우주 및 방위 산업은 서로 다른 프로그램 데이터 저장소를 통합하고 언제 어디서든 제품 성능 세부 정보를 효과적으로 공유할 수 있다고 전했다. 티나 돌프(Tina Dolph) 지멘스 거버먼트 테크놀로지 사장 및 CEO는 “지멘스의 PLM 솔루션을 통해 미 공군의 디지털화를 지원한다. 이를 통해 공군 및 기타 국방 기관은 운영 비용과 비가
[헬로티] 머신러닝 추론 최초 지원 통해 모든 궤도에 걸친 완벽한 방사선 내성 제공 자일링스(Xilinx)는 위성 및 우주 애플리케이션을 타겟으로 방사선 내성과 초고 처리량 및 대역폭 성능을 제공하는 20nm 우주 품질등급의 FPGA 킨텍스 울트라스케일(Kintex UltraScale) XQRKU060을 출시했다. 킨텍스 울트라스케일 XQRKU060은 새로운 20nm 방사선 내성(RT: Radiation Tolerant) 기능을 궤도상에서 제한 없는 재구성이 가능하고, 페이로드 애플리케이션에 이상적인 10배 이상의 DSP(Digital Signal Processing) 성능을 비롯해 모든 궤도에 걸쳐 방사선 내성을 제공한다. 또한 XQRKU060은 처음으로 우주 애플리케이션에 고성능 머신러닝을 제공한다. 텐서플로우(TensorFlow) 및 파이토치(PyTorch)를 비롯한 업계 표준 프레임워크를 지원하는 다양한 머신러닝 개발 툴 포트폴리오를 통해 ‘프로세스 및 분석’ 솔루션을 구현하여 우주 공간에서 실시간 온보드 프로세싱을 위한 신경망 추론 가속화가 가능하다. XQRKU060은 고밀도의 전력 효율적인 컴퓨팅 성능과 확장 가능한 정밀도 및
[첨단 헬로티] 제3회 3D프린팅 유저 컨퍼런스 2019가 ‘스마트팩토리+오토메이션월드 2019’ 전시회가 열리는 오는 27일(수) 코엑스 컨퍼런스룸에서 개최된다. 3D프린팅은 플라스틱을 비롯해 석재, 유리, 금속 등 다양한 소재 활용이 가능해지면서 다양한 산업군으로부터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3D프린터의 활용은 적용되는 산업을 고려했을 때 매우 광범위하다. 지난해 금속 3D프린터 관련 기술 특허가 개방됨에 따라 산업계에서는 3D프린팅 기술이 급속히 보급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번 컨퍼런스에서 디엠지모리코리아는 '금속 3D프린팅의 도전, 좌절 그리고 새로운 도약'이라는 주제로 Track 1 다섯 번째 발표를 담당한다. 발표는 디엠지모리코리아의 김중경 기술이사가 맡아 진행할 예정이다. 김중경 기술이사는 "3D모델링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금속 제조 공정은 기존 제품의 설계 변경, 수리, 기계 가공, 시제품 개발, 설계 변경 등에 유연성을 부여한다. 이뿐 아니라 이종 금속 간의 분말 비율을 자유롭게 조정하면서 적층하기에 전혀 새로운 금속의 제품을 만들고, 물성을 변경할 수 있어 방산, 우주산업, 의료 분야 등에 폭넓은 도전을 가능하게 한
[첨단 헬로티] 제3회 3D프린팅 유저 컨퍼런스 2019가 ‘스마트팩토리+오토메이션월드 2019’ 전시회가 열리는 오는 27일(수) 코엑스 컨퍼런스룸에서 개최된다. 3D프린팅은 플라스틱을 비롯해 석재, 유리, 금속 등 다양한 소재 활용이 가능해지면서 다양한 산업군으로부터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3D프린터의 활용은 적용되는 산업을 고려했을 때 매우 광범위하다. 지난해 금속 3D프린터 관련 기술 특허가 개방됨에 따라 산업계에서는 3D프린팅 기술이 급속히 보급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번 컨퍼런스에서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항공우주 분야 국내외 금속 3D 프린팅 기술 동향'이라는 주제로 Track 1 두 번째 발표를 담당한다. 발표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안종기 수석연구원이 맡아 진행할 예정이다. 항공우주 분야는 금속 3D프린팅에 가장 적합한 산업으로 알려져 있다. 산업의 특성상 다품종 소량 생산 및 고성능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해외 선진사는 자체 개발이나 정부 지원으로 활발히 개발 중이며, FAA 승인부품이 점진적으로 확대되는 추세이다. 현재 레이저 적층 기술은 발전이 가속화됨에 따라 실제 부품 양산을 위한 준비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를
[첨단 헬로티] 델파이 테크놀로지스(Delphi Technologies)는 2019년 1월 7일자로 리처드 다우치(RICHARD F. DAUCH)를 회사의 새로운 최고 경영자로 임명했다. 리처드 다우치는 2018년 10월 5일부터 임시로 CEO를 맡고 있던 Hari N. Nair의 후임이다. 회사 이사회의 비상임 회장인 Timothy M. Manganello는 "우리는 CEO로서 리처드 다우치의 임명을 발표하게 돼 기쁘다. 그는 10년의 CEO 경력을 포함해 25년이 넘는 업계 경험을 가진 뛰어난 임원"이라며, "그의 뛰어난 업계 전문 지식, 리더십 자질 및 회사 운영 및 성장 실력은 역동적인 업계 변화의 시기에 델파이 테크놀로지스를 이끌어 갈 최상의 선택"이라고 말했다. ▲델파이 테크놀로지스의 새로운 CEO RICHARD F. DAUCH 다우치는 자동차 및 상업용 차량 산업의 경험을 갖춘 검증된 임원이다. 2011년 2월부터 그는 글로벌 상용차 업계에 휠 엔드 시스템을 공급하는 선도 업체인 애큐라이드 코퍼레이션(Accuride Corporation)의 사장 겸 CEO로 재직했다. 이전에는 항공 우주, 자동차, 대형 트럭, 산업 및 비 자동차 운송 시장의 F
[첨단 헬로티] HPE가 스페이스본 컴퓨터 (Spaceborne Computer) 프로젝트 실험의 일환으로 국제우주정거장(ISS) 우주비행사들에게 고성능 컴퓨팅(HPC)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스페이스본 컴퓨터는 HPE와 NASA가 1년 동안 복원력과 성능 테스트를 위해 우주로 발사한 최초의 상업용 기성 (commercial off-the-shelf; COTS) 컴퓨터로, 1테라 플롭(초당 1조 개의 부동 소수점 운영)에 해당하는 성능 달성 및 현재 국제우주정거장 에서 성공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무중력 상태, 예상치 못한 정전, 예측 불가능한 수준의 방사선 등 지난 1년간 혹독한 우주 환경을 견딜 수 있는 역량을 입증한 스페이스본 컴퓨터는 이제 국제우주정거장 최초의 슈퍼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게 됐다. "클라우드를 넘어선" 이 서비스는 우주비행사와 실험자가 인사이트 도출을 위해 지구까지 데이터를 전송하고 다시 전송 받는 절차를 거치는 대신 우주에서 바로 분석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HPE 고성능 컴퓨팅, 인공지능 담당 부사장이자 최고기술책임자인 엥림 고 박사(Dr. Eng Lim Goh)는 "우리의 임무는 지구에서든 우주에서든 다음 세대를 열어줄
▲NASA가 국제 우주 정거장에 물자를 보급하기 위한 SpaceX CRS-10 발사에 성공했다 <출처: NASA> [헬로티] 반도체 설계자산 기업 ARM이 VORAGO Techologies(이하 VORAGO)와 함께 우주 전자 장비 분야의 새로운 발전을 이뤄냈다고 발표했다. ARM은 미 항공우주국(NASA)이 국제 우주 정거장에 물자를 보급하기 위해 발사한 SpaceX CRS-10에 ARM Cortex-M0 프로세서 기반의 VORAGO 테크놀로지 마이크로컨트롤러(MCU)가 탑재됐다고 밝혔다. 이 MCU는 SpaceX CRS-10에 탑재된 중요한 실험용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데 사용된다. 최근 NASA는 차세대 우주 전자 장비를 개발하기 위해 ARM의 Cortex A-53 프로세서를 채택한 바 있다. NASA와 미국공군연구소가 지원하는 이번 실험 프로젝트는 ARM Cortex-M0 기반의 방사선에 내성을 가지게 개발된 MCU가 우주 사업에 채택된 첫 번째 사례이다. 우주 공간에서 메로리 기능을 모니터링하는 'RHEME(Radiation Hardened Electronic Memory Experiment)은 혹독한 우주 환경에서 직면하는 문제를 해결하
국립전파연구원이 한국전자파학회와 공동으로 5월 13일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2016년 우주전파 기술 및 환경 워크숍'을 개최한다. 이번 워크숍은 우주환경 변화 등에 따른 위성항법시스템(GPS) 분야의 대응방안 논의와 정보교류를 목적으로 관련 전문가 14명의 발표가 진행될 예정이다. ‘우주환경’은 우주 또는 지상에서 운영되는 첨단기술 시스템의 성능이나 인체·생활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태양, 태양풍, 지구 자기장, 전리층 및 대기권의 상태를 의미한다. 태양흑점 폭발 등 급격한 우주환경의 변화는 최근에 발생한 인위적인 GPS 전파교란처럼 GPS의 위치오차를 증가시키거나 인공위성의 오작동을 초래 할 수 있다. 4차 산업혁명, 사물인터넷(IoT) 등에 따라 각종 첨단 전자기기의 활용이 확산되면서 이러한 우주환경 변화에 따른 전파재난 가능성에도 대비해야 한다는 전망이 있다. 두 번째를 맞이하는「우주전파 기술 및 환경 워크숍」은 우주환경과 전파공학 분야 관계자의 정보교류를 위하여 국립전파연구원 우주전파센터와 한국전자파학회가 공동으로 개최하는 행사이다. 양 기관은 동 워크숍을 통해 창조경제 실현의 한 축인 우주개발과 ICT 분야의
내쇼날인스트루먼트(이하, NI)와 Astronics Corporation의 자회사인 에스트로닉스 테스트 시스템(이하, Astronics Test Systems, Inc.)은 항공 우주 산업용 PXI 기반 제품 개발을 위해 협력할 것을 발표했다. 테스트 시스템 통합에서 강점을 보이는 에스트로닉스(Astronics)와 PXI 기반 자동화 테스트 시스템 업계를 선도하는 NI가 손을 잡음으로써 자동화 테스트 장비(ATE) 어플리케이션 분야에서 동급 최강의 포트폴리오를 선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에스트로닉스 테스트 시스템 (Astronics Test Systems Inc.)의 짐 물루토(Jim Mulato) 사장은 “우리는 고객들에게 최신 기술을 제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VXI에서 PXI로의 이행을 통해 테스트 프로그램 세트(TPS)에 대한 기존 투자를 계속 활용하는 동시에 오래된 계측기를 원활하게 업그레이드할 수 있습니다. PXI 업계의 강자인 NI와 협력함으로써 상용과 군용 제품 사이의 간극을 줄이는 한편 DoD 테스트 시스템의 장기적인 지속 가능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라고 전했다. NI와 Astronics는 11월 2일부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