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Google DeepMind의 AlphaGo가 인간 프로 바둑 기사에게 핸디캡 없이 이긴 전후로 AI 기술은 다양한 분야에 많이 적용되게 됐으며, 그 결과 현재 많은 성과가 보고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igital Transformation, 이후 DX라고 한다)의 필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DX를 실현하기 위한 핵심 기술 중 하나로 AI 기술이 항상 주목받고 있으며, 진화를 계속하고 있다. 최근에는 2022년 말경부터 시작된 ChatGPT로 대표되는 생성형 AI의 출현에 의한 진화가 기억에 새롭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플랜트 분야에서도 AI 기술의 적용이 진행되고 있다. AI 기술의 플랜트 분야에 대한 적용은 플랜트 유지보수 분야에서 시작됐다. 설비의 이상 전조 검지를 AI 기술로 하는 것이다. 이것에는 많은 플랜트 사업자가 도전하고 있으며, 많은 성과를 내고 있다. 이 분야에서는 요꼬가와전기(横河電機) 주식회사 그룹(이하 당사라고 한다)도 많은 실적을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플랜트 제어 분야에 AI 기술을 적용한 사례는 플랜트 유지보수 분야에 비해 상당히 적은 상태이다. 특히 강화학습을 사용한 사례나 AI가 직접 제어한
요꼬가와전기는 재생 에너지 관리 솔루션(REMS)의 선도적인 공급업체인 BaxEnergy를 인수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인수를 통해 요꼬가와는 유럽 전역의 주요 전력 회사에서 이미 채택한 검증된 솔루션을 제공받게 된다. 요꼬가와는 글로벌 네트워크를 통해 구현 및 애프터서비스를 제공하며 이를 글로벌 에너지 자산 소유자에게 확대 적용할 계획이다. 재생 가능한 발전 시설을 운영하는 전력 회사들은 각 자산의 출력을 극대화하고 유지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여 운영의 수익성을 확보해야 하는 과제에 직면해 있다. BaxEnergy는 2010년에 설립된 회사로, 핵심 IT 및 비즈니스 시스템을 수정할 필요 없이 유연하고 확장 가능한 REMS를 제공한다. 이 솔루션은 다양한 재생 가능 발전 시설의 관리를 통합할 수 있는 고유한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다양한 제조업체의 터빈, 인버터 및 기타 발전 장비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발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BaxEnergy 솔루션은 플랜트 가용성을 최대 10% 향상시키는 능력을 입증했으며, 클라우드 환경에서 데이터 관리를 통합함으로써 고객은 스마트폰, 태블릿을 포함한 모든 종류의 장치에서 맞춤형 KPI 및 알람 정보를 볼 수 있다
헬로티 임근난 기자 | 요꼬가와가 공초점 현미경으로 확보한 고해상도 이미지를 활용해 특정 세포와 세포 내 물질의 샘플을 자동으로 정확하게 수집하는 단일 세포 분석 솔루션 ‘싱글 셀롬 시스템 SS2000’을 개발했다고 발표했다. SS2000은 2022년 2월 일본, 미국, 중국을 시작으로 유럽 등 기타 시장에 순차 출시될 예정이다. 싱글 셀롬 시스템 SS2000은 살아있는 세포의 미세한 현상을 실시간으로 분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요꼬가와의 코어 이미징 기술을 기반으로 샘플링 작업을 자동으로 정확하게 제어하는 새로운 기술을 통합해 첨단 생명 과학 연구의 성과를 든든히 뒷받침한다. 또한, 고해상도 3D 이미지의 고감도 분석을 기반으로 정밀 포지셔닝 기술을 활용해 세포를 자동으로 정확하게 샘플링한다. 특징을 보면 첫째, SS2000은 표적 범위 내에서 많은 세포의 이미지를 분석하고, 세포질 영역이나 핵 크기 등 규정된 기준을 이용해 분석한 이미지를 분류한다. 이후 어떤 세포가 분석에 적합한지 식별하여 샘플링 위치를 결정한다. 이미지를 분석하면 핵과의 거리와 같은 기준을 활용해 개별 세포 내 최적의 영역도 규명할 수 있다. 둘째, SS2000은 세포를 박리하지 않고
헬로티 임근난 기자 | 요꼬가와는 유틸리티 기업 및 기타 전력 공급 기업들이 재생 에너지 및 분산 에너지 자원을 실시간으로 관리하여 안정적인 전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샌디에고 소재 소프트웨어 개발업체 PXiSE Energy Solutions LLC.의 전체 발행주식을 인수했다고 발표했다. 요꼬가와는 이번 인수를 통해 발전설비 모니터링 및 제어 역량을 구축하고 송배전 분야 고객들이 청정에너지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풍력, 태양광 등 재생 가능 에너지는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는 데 필수적이지만, 생성되는 전력은 기상조건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예측이 불가능하다. 또한 기존 발전소와 동일한 양의 전력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발전소가 더 넓은 지역에 분산되어 있어야 한다. 여기에 태양광 및 배터리 저장 시스템을 설치하면서 에너지 소비자 스스로가 에너지 자원이 되고 있다. 이러한 요인들은 유틸리티 기업이 관리하는 그리드의 본질을 변화시키고 있다. PXiSE(‘Pice’로 발음)는 인공지능과 결합된 그리드의 실시간 데이터를 활용하여 매년 급증하는 분산 에너지 자원을 유틸리티 기업이 관리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생각에 착안해 2016년에
헬로티 임근난 기자 | 요꼬가와전기는 OpreX 라인업에 추가로 OpreX 멀티-센싱 리모트 I/O를 개발했다고 발표했다. OpreX 멀티-센싱 리모트 I/O 장치는 여러 센서에서 데이터를 정확하게 가져와 디지털 형식으로 변환하고 모니터링을 위해 상위 수준 시스템으로 전송한다. 이 첫 번째 모델은 VZ20X 아날로그 센싱 유닛이다. 동급 최소형 VZ20X는 최대 120채널의 아날로그 센서에서 동시에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고속, 고정밀, 높은 내소음성 장치다. 일반 명함보다 높이와 너비가 작고 무게가 200g 미만으로 생산설비 등 공간이 협소한 곳에 설치하기에 적합하다. VZ20X 사용자는 요꼬가와 AI 기술의 이러한 특성과 기능을 활용하여 생산라인에서 이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시점을 감지하여 적절한 시기에 상태 기반 유지보수(CBM)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VZ20X는 전기차(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차(PHV), 연료전지차(FCV) 등 부품개발에 필요한 데이터도 정확하게 수집할 수 있다. 개발배경 물류·생산시설 인건비 절감을 위해 무인 운송 등의 첨단 기술이 점차 활용되고 있지만, 아날로그 기술을 활용한 장비 및 공정 관리 분야에서의 변화는 아직
헬로티 임근난 기자 | 요꼬가와전기가 OpreX Connected Intelligence 라인업의 플랜트 데이터 변환 플랫폼인 OpreX Data Model Broker를 개발, 출시했다. OpreX Data Model Broker는 다양한 플랜트 설계 및 계측 시스템에서 데이터의 일관성을 자동으로 확인하고 데이터베이스 운영 및 관리에 AI 기술인 온톨로지(ontology)를 적용하여 상호 활용을 할 수 있다. 이 플랫폼을 위해 요꼬가와가 출시한 첫 번째 구성 요소인 설계 데이터 검증은 배관과 기기 다이어그램(P&ID) 및 3D 배관 다이어그램 간의 불일치를 체계적으로 식별하고 확인하는 복잡하고 시간 소모적인 작업을 지원한다. 이 구성 요소는 방대한 양의 데이터에서 이러한 불일치를 자동으로 식별함으로써 작업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작업에 필요한 공수를 대폭 줄여준다. 최근 몇 년간 플랜트의 규모가 증가하고 정교해짐에 따라 플랜트 내 설비는 더욱 복잡해지고 있다. 플랜트를 구축하거나 증설할 때 각 작업 영역을 담당하는 부서는 서로 다른 설계 도구를 사용한다. 설계 및 사양 문서뿐만 아니라 장치 및 장비 공급 업체의 다이어그램과 서로 다른 시스템 제품군
헬로티 임근난 기자 | 요꼬가와전기는 요꼬가와와 세계적인 정유회사 쉘(Shell)이 PACE R5.03을 공동으로 개발했으며 OpreX Asset Operations and Optimization 제품군의 솔루션으로 출시했다. PACE는 쉘의 고급 플랜트 공정 제어 기술과 요꼬가와의 실시간 제어 기술을 결합하여 고객이 제품 수율을 높이고 에너지 소비를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지원하는 소프트웨어 제품군이다. 이 버전의 업그레이드는 플랜트 시스템 상호 운용성과 보안을 개선하고 고객이 산업 자율성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디지털 전환의 기반을 제공하는 최신 버전의 통신 표준인 OPC UA를 지원한다. OPC는 산업 자동화 공간 및 기타 산업에서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교환을 위한 상호 운용성 표준이다. OPC UA는 인더스트리 4.0의 통신 표준으로 인식되어 하드웨어 또는 OS 의존성이 없는 높은 보안 및 확장성의 혜택을 받는다. 개발 배경 고급 공정 제어(APC) 시스템은 온도, 유속, 압력 및 기타 공정 값을 설정 범위 내에서 유지하고 최적 설정점에 최대한 가깝게 유지함으로써 제품 수율을 개선하고 에너지 소비를 줄인다. 이러한 시스템은 정유,
헬로티 임근난 기자 | 요꼬가와전기는 OpreXTM 제어 및 안전 시스템 제품군의 제품인 ProSafeTM-RS 안전 계장 시스템에 대해 ISA Security Compliance Institute(ISCI)로부터 ISASecure CSA 레벨1 인증을 획득했다고 밝혔다. 안전 계장 시스템이 이 인증을 획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요꼬가와는 안전 계측 시스템을 통해 사이버 보안의 중요성을 오랫동안 강조해 왔으며, 이 인증을 통해 고객은 이 제품을 사용하는데 큰 신뢰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사이버 공격은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점점 더 정교해지고 있다. 최근 몇 년 동안 수많은 공격이 산업용 제어 장치를 표적으로 생산에 손실을 일으키고 정보를 도난 하는 등 문제를 초래했다. 2017년 8월경 안전 계장 시스템에 대한 악성 코드 공격이 보고됐으며, 이로 인해 플랜트의 안전을 보장하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이러한 시스템에 대한 위협을 처리하기 위한 강화된 사이버 보안 조치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요꼬가와의 ProSafe-RS 안전 계장 시스템은 SIL3(Safety Integrity Level 3)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하도록 인증되
[헬로티] 요꼬가와전기는 산업 플랜트를 위한 CENTUM VP 통합 생산 제어 시스템의 향상된 버전인 ‘CENTUM VP R6.08’을 출시했다고 발표했다. CENTUM VP는 OpreX Control and Safety 시스템 솔루션 제품군의 핵심 제품이다. 이번 버전은 새로 개발된 유틸리티 키트 및 개별 CPU 모듈에 대한 표준 인증을 포함하여 제어 시스템의 CPU 모듈을 업그레이드하는데 필요한 작업량을 대폭 줄이는 향상된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공정 제어를 중단하지 않고 기존의 CENTUM VP 시스템을 업그레이드하는 것이 가능하다. 고객은 원활한 업그레이드 프로세스를 통해 플랜트 운영에서 장기적인 안정성을 달성하고 자산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됐다. 개발 배경 가용성과 효율성은 항상 플랜트 운영에서 주요한 관심사다. 10년에서 20년 또는 그 이상의 기간 동안 가동한 공장을 보유하고, 회사의 경우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최신 기술을 사용하는 새로운 장비를 설치해야 한다. 2014년 CENTUM VP (R6.01)의 첫 번째 버전을 출시한 이후 요꼬가와는 고객이 시스템 운영에서 장기적인 안정성을 누릴 수 있도록 플랫폼을
[헬로티] 요꼬가와전기는 3월 17일부터 OpreXTM 배치 솔루션(OpreXTM Batch Solution)을 제공한다고 발표했다. 배치 제조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이 솔루션은 프로세스 제어 시스템(PCS)과 제조 실행 시스템(MES) 관련 작업의 중복을 제거하고 설계, 엔지니어링에서 실제 운영, 수정 및 확장에 이르기까지 공장 생산주기의 모든 단계에서 효율성을 향상하는 데 도움이 된다. 요꼬가와는 이 새로운 솔루션의 핵심적인 부분인 Integrated Recipe Manager(IRM)도 개발했으며, 같은 날짜에 이 제품을 출시할 예정이다. 특수 화학, 제약 및 식음료 산업의 많은 영역에서 제품 수명주기가 단축되는 동시에 제품 다양성이 증가하고 있다. 새로운 제품을 신속하게 개발하고 제공해야 하는 것 외에도 배치 제조업체는 숙련된 인력이 부족한 환경 속에서도 안정적인 운영을 유지해야 하는 문제에 직면해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요꼬가와는 ISA-88 배치 제어 표준 및 ISA-95 엔터프라이즈 제어 시스템 통합 표준 모두에 부합하는 배치 제조 프로세스용 통합 포트폴리오인 OpreX 배치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배치 작업의 비용 효율성 증가 제품
[헬로티] 요꼬가와전기는 글로벌 환경 비영리 CDP가 다루는 세 가지 환경 테마 중 수자원 안전을 보전하는데 기여하고 기후 변화에 대처함으로써 A 리스트에 이름을 올렸으며 CDP로부터 기업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리더십을 인정받았다고 발표했다. 요꼬가와전기는 평가된 580여 개 사업체 중 더블 A를 달성한 소수의 기업 중 하나이다. 이는 기후 변화와 수자원 안전에 대한 위험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써 도전적인 목표, 행동 설정 그리고 투명성 유지 등을 통해 회사가 글로벌 리더십을 보여줬음을 증명한다. CDP의 연례 환경 발표 및 평가 절차는 기업의 환경부문 투명성 분야에 공신력 높은 표준으로 인정받고 있다. 2020년 자산 106조 달러 이상을 보유한 515명 이상의 투자자와 4조 달러 조달 지출을 보유한 150명 이상의 주요 구매자가 기업에 CDP 플랫폼을 통해 환경 영향, 위험 및 기회에 대한 데이터를 공개할 것을 요청한 바 있다. 9,600명 이상이 응답했으며 이는 역대 최대 규모다. CDP는 이러한 기업을 평가하기 위해 상세하고 독립적인 방법론을 사용하며, 야심차고 의미 있는 목표를 설정하는 등 환경 리더십과 관련된 발표, 환경 분야 내 위험성에 대한 인
[헬로티] 요꼬가와전기가 전 세계 프로세스 산업계 기업을 대상으로 산업 자율화에 대한 설문조사를 시행한 결과에 따르면 응답 기업의 64%가 2030년까지 전 공정 자율화를 예상하고 있다. 이번 설문조사에는 원유, 가스, 제약, 화학, 석유화학, 발전 등 주요 프로세스 산업계에서 배치되고 있는 자동화와 자율화, 사업 우선순위, 기술에 대한 미래 동향을 엿볼 수 있는 깊이 있는 내용이 담겨 있다. 주요 내용을 보면, 기업들은 2030년까지 전 공정 자율화를 꾀하고 있었으며 의사 결정을 돕는 기술에 투자할 예정인 것으로 조사됐다. 2030년경에는 1차 공정 전면 자율화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 응답 기업이 64%였으며, 공정 자율화 수준을 높일 계획을 가지고 있는 기업은 89%로 나타났다. 또 현재 64%는 반 자율화 및 자율화 공정을 시험하거나 시행하고 있었으며, 67%는 2023년경 플랜트 운영에 대한 의사결정 과정이 상당 부분 자동화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답했다. 기업들이 향후 3년간 계획하고 있는 주요 투자 부문은 보안(51%)과 클라우드·애널리틱스·빅데이터(47%), 인공지능 (42%)로 나타났다. 세 부문 모두 광범위한 범
[헬로티] 요꼬가와전기는 플랜트 시운전 및 유지보수를 수행하는 데 사용되는 OpreX 자산 관리 및 무결성 제품군 솔루션인 PRM Commissioning Support Package(PRMCSP)의 기능을 강화하여 ‘PRM Commissioning Support Package R1.02’를 출시했다. PRMCSP R1.02는 필드 디지털 기술을 사용하여 시운전 및 주기적인 유지보수 업무의 효율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최신 운영체제를 지원하며, 루프 테스트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기능이 추가됐다. ▲ PRM Commissioning Support Package R1.02 개발 배경 플랜트에 HART 및 파운데이션 필드버스와 같은 개방형 필드 디지털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필드 디지털 기술의 사용이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필드 디지털 기술을 통해 측정값뿐만 아니라 플랜트 장비를 유지보수 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필드 계기의 정보를 제어 시스템과 공유가 가능해졌다. PRMCSP는 필드 디지털 기술을 사용하여 계기와 시스템 간의 연결을 확인하고 루프 테스트를 자동화하여 플랜트 시운전기간에 현장 공수를 줄이고 업무의 효율성을 향상시킨
[헬로티] 요꼬가와전기는 독창적인 케미컬 재활용 기술을 갖춘 폴리에스테르 소재 재활용 회사인 JEPLAN과 투자 및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최근 신흥 국가의 인구 증가와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병, 포장, 의류 및 기타 제품 생산에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대한 전 세계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자원의 재활용 및 재사용과 같은 환경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이 가속화되고 있다.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재료로 사용하는 회사들 또한 제품 내 재활용 재료의 비율을 점차 높이는 추세다. JEPLAN사의 경우 BRING Technology를 사용하여 생산된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기존 석유계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동일한 품질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지속해서 재사용 및 재활용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재활용 과정에서는 어려운 불순물 제거도 가능하다. JEPLAN사는 이 재활용 기술의 활용을 성공적으로 입증한 바 있는 시범공장(Pilot Plant)에서 테스트를 시행했으며, 재활용 플라스틱 수지생산과 공급을 대규모로 확대할 계획이다. 또한 이러한 신기술로 기존 생산 시설을 스마트 공장으로 전환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정보 기술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2050년
[첨단 헬로티] 요꼬가와전기가 패널 장착형 전자기록계인 GX 시리즈, 휴대용 전자기록계인 GP 시리즈, 데이터 로깅 소프트웨어인 GA10의 인공지능(AI) 버전을 출시한다고 발표했다. GX/GP 시리즈, GA10 소프트웨어는 모두 작동성과 확장성이 높은 데이터 수집·제어 시스템 SMARTDAC+의 구성품이다. ▲ (위에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GA10 화면, e-RT3 Plus, GX/GP 새로 추가한 AI 기능에는 요꼬가와가 개발한 '퓨처 팬(future pen)'을 포함하는데, 퓨처 팬은 파형을 예측해 그리는 기능이다. 요꼬가와는 엣지 컴퓨팅 플랫폼인 e-RT3 Plus의 새로운 CPU 모듈도 선보일 예정이다. 새로운 CPU 모듈은 환경 저항이 뛰어날 뿐 아니라 파이썬(Python)과도 호환한다. 요꼬가와 관계자는 GX/GP 시리즈와 e-RT3 Plus는 4월 8일, GA10 소프트웨어는 5월 13일 각각 출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SMARTDAC+ 시스템은 OpreX 데이터 수집 제품군에, e-RT3 Plus는 OpreX 제어기기 제품군에 속한다. 산업용 기록계 사상 처음으로 도입되는 퓨처 팬 등의 AI 기능을 활용하면 사전에 문제를 인지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