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이동재 기자 | 자율주행 이야기를 할 때마다 항상 도돌이표처럼 돌아가게 되는 그 말, ‘아 그래서 완전자율주행, 언제쯤 된다는 거야?’ 과학기술의 발전... 4차 산업혁명... 넘치는 예찬들에 떠밀려 잔뜩 부풀어버린 기대감에 영화에서만 봤던 자율주행 시대가 이미 코앞에 와 있는 양 설레발을 치다가도, 뉴스에서 들려오는 자율주행 차량 사고 소식에 화들짝 단꿈에서 깨기를 여러 번이다. 지금의 운전면허가 쓸모없어지고, 자동차가 소유가 아닌 공유의 대상이 된다는 ‘완전 자율주행 시대’. 말은 그럴 듯한데 정말 그대로 이뤄질까 하는 의문이 들기도 한다. 도심에서 이뤄지는 자율주행 자동차 테스트에 대한 뉴스들이 꽤 자주 들려오고 있지만, 대부분의 평범한 일반인들이 그것을 실제로 경험해 볼 일은 별로 없다. 손꼽히는 국내 대표 여행지 제주도에는 일반인들에게 열려 있는 자율주행 시범 서비스가 있다. 시범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는 회사는 ‘라이드플럭스’, 자율주행이라는 꿈에 진심인 사람들이 모여 분투하고 있는 스타트업이다. 제주도 지역 유상 자율주행 운송 서비스 론칭을 시작으로 전국 각지에 회사 로고가 새겨진 자율주행 차량을 다니게 하는 것이 목표다. 매사추세츠 공과대
[헬로티=이동재 기자] ▲국제물류산업대전 전시회장 VisionNav 부스. (출처 :첨단) VisionNav(비전나브)가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KOREA MAT 2021(국제물류산업대전’에서 자사 무인 지게차와 자동화 솔루션을 선보였다. 비전나브는 중국 선전에 본사를 두고 있는 무인 지게차 전문 기업으로, 2016년 홍콩 중문 대학과 일본 동경 대학의 박사팀이 모여 설립됐다. 중국은 일찍이 물류 자동화 분야에 막대한 자금을 투자해 해당 분야에 상당한 진전을 이뤄냈다. 비전나브는 AI, 환경 감지, 딥러닝, 서보제어 등 기술을 적용한 지게차뿐 아니라 RCS(Robot Control System)소프트웨어와 CCTV 환경 측정 시스템 등 자동화 솔루션을 통해 재고관리를 포함한 전체적인 물류 솔루션을 제공한다. 전시회장 비전나브 부스에선 포크리프트를 단 무인 지게차가 사람의 조작 없이 2T 가량의 화물을 지상 1M 위의 팔레트에 올려놓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별도의 QR코드나 마커 없이 차량 전면과 앞단 포크에 탑재된 3D 비전 카메라와 센서만을 사용해 이동하고 작업을 수행하는 완전자율주행 방식이다. ▲VisionNav의 무인지게차가 사람의 조작 없이 2톤
[헬로티=이동재 기자]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최근 자율주행 기술 분야에서 가장 앞서있다고 평가받는 웨이모의 최고경영자 존 크래프칙이 일선에서 후퇴하며 화제가 됐다. 그의 퇴임은 자율주행차 개발 전망에 대해 열광적이었던 분위기에 찬물을 끼얹었다. 자율주행 분야의 전문가들은 자율주행차에 대한 과대광고를 조심해야 한다며, 자율주행 개발의 어려움을 이야기했다. 인류는 언제쯤 완전한 자율주행차를 탈 수 있을까? 자율주행 개념의 등장 미래차를 대표하는 키워드 두 가지는 친환경, 그리고 자율주행이다. 자율주행 기술은 1960년대 유럽 완성차 업체에서 최초로 제안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후 1977년 일본의 쓰쿠바 기계공학 연구실에서 최초의 자율주행 연구가 성공을 거뒀다는 기록이 있으나, 일반 도로에서의 주행이 아닌 장애 요소가 배제된 시험 주행장에서의 연구였다. 어쨌든 이를 계기로 여러 국가에서 자율주행차 개발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다. 1980년대에는 미국 카네기멜론대학 자율주행 연구팀이 쉐보레 밴을 개조한 자율주행차 ‘내브랩1’을 선보였고, 메르세데스 벤츠가 ‘유레카 프로메테우스 프로젝트’라는 자율주행 기술 개발 프로
[헬로티] 차량 부품·ICT·도로교통·서비스 등 분야에서 전방위적 지원 ▲완전자율주행인 레벨4 수준에 도달하려면, 차량, 부품, ICT, 도로교통의 혁신적 변화가 요구된다.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산업통상자원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토교통부, 경찰청이 범부처 ‘자율주행기술개발혁신사업’의 2021년 신규과제를 공고한다고 15일 밝혔다. 이 사업은 BIG 3 산업(시스템반도체, 바이오헬스, 미래차) 중 하나인 미래차 분야에서 1등 국가로 도약하기 위해 4개 부처가 공동 추진하는 사업으로, 올해부터 시작해 2027년까지 총 1조974억 원의 사업비가 투입될 예정이다. 현재 운전자의 주행을 보조해주는 수준의 레벨2 단계에서 차량이 스스로 상황을 판단해 비상시에도 운전자의 개입이 불필요한 수준 즉, 완전자율주행이라고 할 수 있는 레벨4 수준에 도달하려면, 차량·부품뿐 아니라 ICT·도로교통 등의 혁신적 변화가 요구된다. 이에 산업부 등 4개 부처는 2027년 융합형 레벨4 완전자율주행 기반 완성을 목표로 ▲차량융합 신기술 ▲ICT융합 신기술 ▲도로교통융합 신기술 ▲서비스창출 ▲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