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 전력 반도체 기술로 막대한 에너지 절감과 최대 10테라와트의 전력 절감 효과 기대 지능형 전력 및 센싱 기술의 선도 기업인 온세미는 T10 파워트렌치(T10 PowerTrench) 제품군과 엘리트 실리콘 카바이드(이하 EliteSiC) 650V MOSFET를 발표했다. 데이터센터가 AI 워크로드의 엄청난 처리요구를 지원하기 위해 점점 더 많은 전력을 소비함에 따라 에너지 효율성의 증대가 무엇보다 중요해졌다. 해당 제품의 강력한 조합은 데이터센터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작은 설치 공간에서도 탁월한 효율성과 높은 방열 성능을 제공하는 솔루션을 만들었다. 일반적인 검색 엔진과 비교했을 때, AI 지원 엔진은 10배 이상의 전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전 세계적으로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가 2년 이내에 약 1,000TWh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나의 AI요청사항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그리드로 부터 프로세서로 에너지가 4번 변환되며, 이로 인해 약 12%의 에너지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데이터센터에서는 T10 파워트렌치 MOSFET 제품군과 EliteSiC 650V MOSFET 솔루션을 사용해 전력 손실을 약 1%만큼 줄일 수 있다. 해당 솔루션을 전 세계 데이터센터
하나의 카메라에 통합된 운전자 및 탑승자 모니터링 분석으로 향상된 사용자 경험 제공 온세미(onsemi)가 카메라 기반 자동차 실내 분석 소프트웨어 공급업체인 이모션3D와 운전자 및 탑승자 모니터링 시스템(DOMS)을 위한 공동 레퍼런스 설계를 발표했다. 이번에 발표된 최신 설계는 하나의 카메라에 운전자와 탑승자 모니터링을 결합된 형태로 다양한 안전 기능과 수준 높은 사용자 경험을 제공한다. 자동차 OEM은 보다 안전하고 편리한 운전을 위한 고성능, 저비용, 차세대 차량 내 이미징 솔루션을 배포할 수 있게 될 것으로 보인다. AR0820AT 8.3MP 이미지 센서 기반의 DOMS 솔루션은 단일 작업 운전자 모니터링 모노/IR 카메라를 대체할 뿐만 아니라 단일 컬러/IR 카메라를 채택해 안전과 편의를 위한 다양한 사용 사례를 가능케 한다. AR0820AT 이미지 센서의 높은 다이내믹 레인지는 까다로운 조명 조건을 쉽게 처리하며, 높은 감도는 극도로 낮은 조명 조건에서 성능을 향상시켜 차량 내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하다. 플로리안 세이트너 이모션3D CEO는 “온세미의 이미지 전문 지식과 광범위한 오토모티브 경험을 바탕으로 유로 NCAP 및 일반 안전 규정 2019
헬로티 서재창 기자 | 완전한 전기차 구현을 위한 변화가 지속되면서, 자동차 산업은 48V 시스템 기반의 마일드 하이브리드 전기차(MHEV) 아키텍처가 제공하는 잠재력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있다. 자동차 업계는 향후 5년 동안 도로 위의 마일드 하이브리드 전기차 수가 매년 30%씩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며, 주요 자동차 제조사 중 다수는 이미 마일드 하이브리드 전기차를 판매하거나 가까운 미래에 출시를 앞두고 있다. 2025년 이후에는 마일드 하이브리드 전기차가 전체 차량의 약 10%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림 1과 같이 마일드 하이브리드 전기차는 전체 환경차의 일부 시장을 형성하고, 기존 12V 내연기관 자동차(ICE)와 배터리식 전기차(BEV) 사이의 간격을 채운다. 마일드 하이브리드 전기차와 같은 저전압 기술은 폭넓은 이점을 제공한다. 내연기관을 보완할 뿐 아니라 48V 버스를 추가해 전기 펌프와 같은 엔진 베이의 다양한 기능을 전장화할 수 있다. 48V는 저전압 시스템으로 분류되므로 배선 요구 사항이 줄어드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이점과 더불어, 합리적인 비용으로 기존 ICE가 배출하는 오염물질을 줄여 관련 법률의 강화에 대응 가능한 점 또한 마일드
헬로티 임근난 기자 | 지능형 전력 및 센싱 기술의 선도기업인 온세미가 AR0820AT 8.3 메가픽셀(MP) CMOS 디지털 이미지센서로 ‘CES 2022’ 혁신상을 수상했다. CES 혁신상은 미국소비자기술협회(CTA)가 매년 27개 소비자 기술 제품군에서 우수한 디자인과 엔지니어링이 뛰어난 제품에 수여하는 상이다. 온세미의 오토모티브 애플리케이션용 디지털 이미지센서 AR0820AT는 차량지능 및 운송부문에서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ADAS)를 위해 특별히 설계된 AR0820AT는 보행자 및 차량을 포함해 차량 경로에 있는 물체를 탐지해 도로 안전을 높이는 비전 시스템의 핵심을 담당하고 있다. 하이 다이나믹 레인지(HDR), 향상된 저조도 성능, 실시간 기능 안전 메커니즘 및 고장 감지와 같은 기능을 제공하는 이 제품은 운전자를 지원하는데 주력하고, 궁극적으로 360도 시야를 가진 새로운 완전 자율주행차 개발을 가능하게 한다. 온세미 지능형 센싱 그룹 수석 부사장 로스 자투는 “이번 수상은 CTA와 고객으로부터 지능형 센싱기술의 혁신을 이끌어낸 것에 대해 인정받은 결과”라며 “완전한 자율주행차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자동차 이동성 경험을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온세미(onsemi)가 실리콘 카바이드 생산업체 GT 어드밴스드 테크놀로지스(이하 GTAT)를 4억1천5백만달러(약 4천853억원)에 인수하는 최종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1994년 설립된 GTAT는 SiC 결정성장 기술 분야에서 뛰어난 전문성을 보유하고 있다. SiC 전력 스위칭 소자에 기술적 이점을 제공하는 차세대 반도체의 핵심 소재인 SiC는 전기차 및 전기차 충전, 에너지 인프라의 시스템 효율성을 대폭 향상시킨다. 이번 인수를 계기로 온세미는 SiC의 원활한 공급과 성장을 위한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하고, 전기차 및 전기차 충전, 에너지 인프라를 아울러 지속 가능한 생태계와 관련해 빠르게 증가하는 SiC 기반 솔루션의 수요를 충족할 수 있게 된다. 온세미는 자사의 제조 역량과 GTAT의 기술력을 결합해 SiC 기술 개발 가속화와 더불어 향후 10년간 빠르게 성장할 지속가능한 생태계를 통해 고객에게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으로 발돋움하고자 한다. 온세미는 강화된 SiC 생산능력을 통해 핵심 부품 공급을 보장하고 지능형 전력 기술을 더욱 폭넓게 상용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하싼 알커리(Hassane El-Khoury) 온세미
헬로티 이동재 기자 | 온세미컨덕터가 ‘온세미(onsemi)’로 상호를 변경한다. 6일 온세미컨덕터는 온세미로 상호를 변경하겠다고 전하면서 지능형 전력 및 센싱 기술의 선도 업체로 자리매김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온세미는 자동차 및 산업 관련 시장에 주력하며, 차량 전장화, 첨단 안전 기술, 대체 에너지, 공장 자동화를 비롯한 고성장 분야에서 지속 가능한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한 혁신적 전략을 제시해왔다. 오늘날 전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3분의 2가 자동차 및 산업 관련 시장에서 발생하는 가운데, 온세미는 지능형 전력 및 센싱 기술을 통해 넷제로(net-zero) 경제 달성을 위해 기여한다는 계획이다. 기후변화는 환경에 위험을 초래하지만, 동시에 혁신적인 비즈니스 솔루션을 도입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온세미는 연구 및 설계에 대한 고유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운영 방식을 조정해 2040년까지 넷제로를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지능형 기술, 더 나은 미래’라는 새로운 슬로건을 통해 온세미는 복잡한 설계 과제를 해결하고 기후 계획을 달성토록 하는 혁신적인 솔루션을 구축하며, 시장 내 고정관념 및 장벽의 극복에 주력할 예정이다. 이처럼 지속 가능한 에너지
온세미컨덕터와 페어차일드 세미컨덕터 인터내셔널은 온세미컨덕터가 페어차일드를 주당 20 달러, 현금으로 약 24억 달러(약 2조 8020억원)에 인수한다는 결정적 합의에 들어갔다고 발표했다. 이번 인수를 통해 온세미컨덕터는 약 50억 달러의 수익을 내는 자동차, 산업용 및 스마트폰 엔드 마켓 등 여러 시장에서 다각적으로 전략적인 집중을 하게 됨으로써 파워 반도체 시장의 리더로서 자리매김을 하게 되었다. 온세미컨덕터의 회장 겸 CEO인 키스 잭슨(Keith Jackson)은 “양사의 합병은 빠르게 통합되는 반도체 산업에서 당사를 파워 반도체의 강자로 등극시키게 되리라고 본다. 이를 계기로 당사는 향후 양사의 고객들에게 상호보완적인 제품 라인을 고, 중, 저전압 제품군별로 다양하게 제공할 것"이라며 “온세미컨덕터의 즉각적인 주당 순이익(EPS) 증가와 가시적인 잉여현금흐름(FCF) 증가 가능성 역시 이번 인수를 통해 당사 주주들에게 좋은 수익성을 가져다 줄 것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그는 “온세미컨덕터의 일부가 된 페어차일드는 에너지 소비 효율의 기술 개척과 설계 혁신을 지속해 앞으로도 고객사들의 성공적 비즈니스를 돕
온세미컨덕터가 고성능 LED 조명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PFC (power factor corrected) 오프라인 AC-DC 드라이버 시리즈 2종을 출시했다. NCL3008x 제품군을 확장한 NCL30085, NCL30086, NCL30088는 고역률을 요구하는 최고 60W까지 수행 가능한 싱글 스테이지가 설계 가능하다. NCL30030은 낮은 광학 리플과 광범위한 LED 순방향 전압 변화를 요구하는 고출력(최고 150W까지) 투 스테이지 토폴로지를 지원하는 기존 솔루션을 확대한 것이다. 온세미컨덕터의 Ac-Dc 전력변환 사업부 선임 이사인 셰인 칠튼(Shane Chilton)은 “이번에 출시된 안정적인 기능의 소형 신제품 PFC 컨트롤러는 LED 램프와 드라이버 시장에서 필수적인 고성능 솔루션 요구에 부합한다”며 “이러한 솔루션은 당사의 독자적인 아키텍처에 기반한 것으로 정밀한 전류 레귤레이션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LED 조명 설계의 제어를 더욱 유연하고도 확실하게 할 수 있게 된다”고 말했다.NCL30085, NCL-30086, NCL30088은 PFC 제어 알고리즘을 활용해 플라이백 벅 부스트와 SEPIC 토폴로지에 적합하도록 설계됐다. 공명방식 모드
온세미컨덕터가 방사선 방지 기능을 가진 ASIC(주문형 반도체) 시장 확대를 위해 ICs LLC사와 라이선싱 개발 분야에 협력한다. 이번 협력을 통해 선보이게 될 RHBD (Radiation Hardened By Design) ASIC의 설계와 생산은 온세미컨덕터의 ONC110 110nm 공정을 기반으로 한다. 이 칩의 방사선 테스트 결과, 100 MeV㎠/mg 이상의 ASIC뿐 아니라 더블비트 업셋 면역 40MeVcm2/mg 이상의 이중 포트 SRAM의 선형 에너지 전송량에 강력한 SEU(Single Event Upset)와 SEL(과전류로 인한 전자 기기의 파괴 현상) 내구성을 보였다. RHBD 플립 플롭 아키텍처는 SRL(자기 회복 논리)에 속한다. SRL 플립플롭은 최고 700MHz의 주파수에서 방사선 노출 시에 강력한 회복력을 보여 준다. 이 새로운 RHBD IC는 우주 탐사·위성 통신·감시·항공 전자·무인 항공기·상업용 항공기·핵에너지·소립자 물리학 연구·군사 장비 등과 같은 애플리케이션에 적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