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임근난 기자 | 협업 애플리케이션용 툴 제조 전문기업 온로봇이 생산성 향상과 다운타임 최소화를 위해 구축된 생산 모니터링, 진단 및 데이터 분석 솔루션인 ‘웹리틱스(WebLytics)’를 출시했다. 이를 통해 온로봇은 소프트웨어 시장에 첫 발을 내딛게 됐다. 웹리틱스는 여러 협업 애플리케이션들의 성능을 실시간으로 동시에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로봇과 툴 모두의 장비 데이터를 수집한 후 데이터를 이해하기 쉽게 시각화된 장치 및 애플리케이션 레벨의 정보로 전환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 온로봇 CEO인 엔리코 크로그 이베르센은 “웹리틱스의 출시는 우리뿐만 아니라, 우리 고객과 글로벌 통합업체 네트워크에 있는 기업들 모두에게 중요한 의미가 있다”며, “웹리틱스는 주요 로봇 브랜드 전체를 대상으로 협업 애플리케이션에 실시간으로 애플리케이션 중심 데이터를 제공하는 최초의 소프트웨어 솔루션이자, 당사의 첫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로봇 소프트웨어 시장 진출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또한 “이를 통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모든 측면에서 협업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원 스톱 샵(One Stop Shop)을 제공하겠다는 당사 비전을 완성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웹리틱스를 이용함으
헬로티 임근난 기자 | 로봇 시스템은 설치 변경 및 전환 배치가 쉽고 적은 비용으로도 구축하기에 용이하다. 또한, 빠른 ROI가 가능하고 다품종 소량생산을 목표로 하기 때문에 중소기업에 적합하다. 특히, 협동로봇과 협동 애플리케이션은 협소한 공간에서도 구축이 가능하고 다양한 모양과 크기의 제품을 적재할 수 있어 생산 공정의 자동화뿐만 아니라 물류 자동화에도 적용이 이루어지고 있다. 로봇 시스템의 성공적인 도입을 위한 고려사항으로는 어떤 게 있는지, 지난 9월 8일 열린 ‘4차 산업혁명과 로보틱스 컨퍼런스 2021’에서 온로봇 코리아 최민석 대표가 제시한 성공 팁을 정리했다. 최근 시장 환경이 중소기업의 공장자동화 또는 스마트공장 도입 욕구를 가속화하고 있다. 지난 7월 1일부터 50인 이하 사업장까지 주 52시간 근무제가 시행된 가운데, 고령화 사회로 진입에 따른 인구 구조 변화는 생산 가능인구의 감소를 가져와 인건비 상승과 인력 부족을 더욱 심화시키고 있으며, 3D업종에 일했던 외국인 근로자마저 더 이상 어려운 일을 하지 않으려고 하고 있다. 더구나 코로나 팬데믹은 외국인 근로자의 인력 수급을 더욱 어렵게 했다. 결국 자동화나 로봇 시스템을 고려하지 않던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온로봇코리아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에서 온로봇 전동 그리퍼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온로봇은 로봇 앞단의 툴을 제조하는 전문 회사다. 협업 응용분야를 위한 완전한 플러그 앤 프로듀스 EoAT(end-of-arm tooling)를 제공한다. 온로봇의 모든 제품이 별도 에어라인 필요 없이 전기만으로 구동된다. 그립 시 너비, 포스 값과 그립 여/부를 리턴해 줄 수 있다. 온로봇의 대표 제품은 ▲2핑거, 3핑거 그리퍼 ▲컴프레셔가 내장된 전동식 진공그리퍼 ▲표면 연마나 폴리싱을 위한 샌더 ▲2.5D 비전 (2D+Depth) 등이 있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디지털뉴딜의 미래(The Future of Digital New Deal)’라는 주제 하에 약 500개사 스마트공장, 머신비전, 자동화 기업이 참가하여 1,800개 부스에서 최신 스마트 제조 기술을
헬로티 전자기술 기자 | 온로봇이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온로봇은 SF+AW 2021에서 전동 그리퍼 등 당사의 라인업을 선보일 예정이다. 온로봇이 갖춘 라인업은 모든 제품이 별도 에어라인 없이 전기만으로 구동된다. 그립 시 너비, 포스 값과 그립 여부를 리턴해 줄 수 있다. 대표 제품으로는 2핑거 및 3핑거 그리퍼, 컴프레셔가 내장된 전동식 진공그리퍼, 표면 연마나 폴리싱을 위한 샌더, 2.5D 비전(2D+Depth) 등이 있다. 온로봇은 협업 응용 분야를 위한 완전한 플러그 앤 프로듀스 EoAT(end-of-arm tooling)를 제공하는 기업이다. 당사의 그리퍼, 센서 및 툴 체인저는 제조업체가 작업자와 함께 협업 및 경량 산업용 로봇의 이점을 최대한 활용하게 해준다. 특히 당사의 EoAT 제품은 중소규모 제조업체가 유연성과 생산성을 높이고 품질을 개선해 제조 프로세스를 최적화할 뿐 아니라 고객사 비즈니스를 성장시키게 해준다. 한편, 스마트팩토리∙오토메이션월드 2021
[헬로티] ▲온로봇의 신제품 그리퍼 2FG7을 시연 중인 온로봇코리아 최민석 대표 온로봇(OnRobot)이 11월 13일 기자간담회를 가졌다. 이날 전동 그리퍼 신제품 ‘2FG7’ 출시를 알렸다. 온로봇은 협업 애플리케이션용 툴 전문 제조기업이다. 협동로봇, 스카라 로봇, 직교 로봇 등의 끝단에 장착되는 핑거 그리퍼, 진공 그리퍼, 샌더, 비전 카메라 등이 주요 제품이다. 온로봇은 EOAT(End Of Arm Tooling)가 향후 협동로봇의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제까지는 ‘사람과 함께 일한다’는 개념으로 협동로봇에만 초점이 맞춰졌는데, 작업의 정밀도를 높이고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실질적은 핵심은 EOAT이고, 작업 환경의 확장 가능성을 열어주는 것 역시 EOAT이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날 간담회 내용을 일문일답 형태로 정리한다. Q. 그리퍼 ‘2FG7’은? 2FG7 그리퍼는 ‘방수-방진 인증(IP67)과 ‘클린룸 인증(ISO Class 5)’을 받았다. 제약, 전자산업과 같은 첨단산업 분야에서는 방수-방진 인증과 클린룸 인증이 꼭 필요하다. 이번 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