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김진희 기자 | 오므론(OMRON)이 대만의 협동로봇 전문기업 테크맨 로봇(Techman Robot)에 대한 자본투자 협약을 체결했다. 외신에 따르면, 투자는 12월까지 완료될 예정이며, 오므론은 테크맨 로봇의 지분 약 10%를 보유하게 된다. 2018년에 오므론은 증가하는 자동화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테크맨 로봇과 전략적 제휴를 체결했으며, 그 이후 테크맨 로봇의 TM 시리즈 협동로봇은 오므론의 유통 네트워크를 통해 전 세계적으로 공동 브랜드 제품으로 판매되었다. 오므론과 테크맨 로봇은 또한 인간과 기계가 협력하는 제조 현장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오므론의 모바일 로봇과 TM 시리즈를 결합한 모바일 작업 로봇인 ‘Mobile Manipulator’를 공동 개발하기도 했다. 이번 신규 투자를 통해 오므론은 공장자동화 장비와 테크맨 로봇의 협동로봇을 결합한 혁신적인 로봇 솔루션을 공동 개발하여 안전과 생산성을 모두 보장하고 제조 현장의 인력 부족 문제에 대한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헬로티 김진희 기자 | 3D 이미징 제품의 발전은 최종 사용자가 이 기술을 생산, 품질 관리 및 계측과 같은 머신비전 애플리케이션에 더 쉽게 통합할 수 있도록 하여 이를 산업 자동화의 주류 기술로 더욱 굳건히 하고 있다. 매트록스 이미징(Matrox Imaging)은 Matrox AltiZ 듀얼 카메라, 단일 레이저 3D 프로파일 센서를 출시하면서 3D 하드웨어 분야에 진출했다. 검사 작업을 대상으로 하는 이 센서는 매트록스 이미징 또는 타사 머신비전 소프트웨어와 함께 작동한다. 이 제품은 적색(660nm) 또는 청색(405)nm 레이저를 사용하며 GigE Vision 인터페이스에 구축된다. 센서 내부에서 실행되는 독점 알고리즘은 두 개의 통합 이미지 센서에서 픽셀 데이터를 결합하거나 선택하여 얻은 다양한 유형의 3D 데이터(개별 프로필, 깊이 맵 또는 포인트 클라우드)를 자동으로 생성하며, 일정한 수평 해상도를 위해 자동으로 샘플링된다. Matrox AltiZ는 IP67 등급, M12 커넥터, GenICam 확장 및 PoE(Power over Ethernet)를 제공한다. 매트록스 이미징 관계자는 “매트록스 이미징은 3D 센서 영역에 진입하기로 선택한 이유
[헬로티] 맥심 인터그레이티드 코리아가 글로벌 자동화 기술 업체 ‘오므론(OMRON)’의 NXR 시리즈 IO 링크 컨트롤러 및 IO 링크 I/O 허브에 맥심의 듀얼 IO 링크(IO-Link) 제품을 제공했다고 밝혔다. ▲맥심 인터그레이티드 맥심 제품이 오므론의 최초 원격 디지털 출력 IO 링크 I/O 허브(NXR-CD166C-IL2 모듈)에 추가됨으로써 오므론은 양방향 컨트롤러 및 디지털 입출력 기능을 확대하고 센서 분야에 국한됐던 IO 링크의 사용 범위를 넓혔다고 전했다. 맥심의 듀얼 IO 링크 제품이 장착된 NXR 시리즈는 생산 시설 내 생산 장비의 상태를 연속적으로 진단하고 모니터링 한다. 공장 자동화 시스템에 입출력 기능을 추가하는 새로운 방법을 자사 고객에게 제공하고, 맥심의 듀얼 IO 링크 컨트롤러 ‘MAX14819A’ 와 IO 링크 디바이스 ‘MAX14827A’, 디지털 출력 장치 ‘MAX14912’ 및 MAX14915’는 고객의 생산 라인에 인텔리전스를 제공한다. IO 링크의 양방향 링크는 센서와 액추에이터에 정보를 제공해 생산 장비가 제품 변화에
[헬로티] SK텔레콤이 공장 자동화 전문 기업 한국오므론제어기기(대표이사 김영호)와 함께 코로나19 방역로봇을 개발했다고 26일 밝혔다. ▲ 코로나19 방역로봇이 UV램프를 이용해 ATM기를 방역하고 있다. 양사는 사회적 가치 창출이라는 양사의 공통적인 기업 이념을 바탕으로 협업을 시작해 로봇을 개발했으며 체온 검사, UV램프를 이용한 방역 등 기존에 사람이 하던 업무를 로봇이 대신함으로써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코로나19 대응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코로나19 방역로봇은 26일부터 서울 중구 을지로 소재 SK텔레콤 본사에서 방역 활동 및 출입객 체온 검사, 마스크 착용과 사회적 거리두기 실천 권유 등 코로나19 확산 방지 활동을 시작한다. SK텔레콤과 오므론이 함께 개발한 코로나19 방역로봇에는 5G, AI 등 첨단 ICT 기술과 로봇 자율주행, IoT 센싱 등 공장 자동화 제어 기술이 적용됐다. 로봇은 5G 네트워크를 이용해 서버와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자율 주행, 체온 검사, 방역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로봇이 측정한 체온 검사 데이터를 5G 네트워크로 서버에 보내고 서버는 이를 분석해 체온이 높을 경우 현장에서 출
[첨단 헬로티] 글로벌 머신비전 공급업체들은 지속적을 혁신제품들을 발표하고 있다. 이들 혁신 제품은 새로운 산업영역에 적용됨으로써 머신비전 시장 확대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특히, 스마트공장의 프로세스에서 중요한 기능을 하는 머신비전 기술은 다양한 산업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글로벌 머신비전 공급업체들이 발표한 혁신제품들을 정리해봤다. AAEON, Jetson TX2 탑재한 새로운 AI 컨트롤러 AAEON의 에지 AI 애플리케이션용 BOXER-8120AI 컨트롤러는 NVIDIA Jetson TX2에 의해 구동되며, 256 CUDA 코어를 지원하며, TensorFlow, Caffe2 및 MXNet을 비롯한 여러 AI 프레임워크를 지원한다. BOXER-8120AI는 또한 8GB LPDDR4 메모리, 32GB eMMC 저장 장치 및 마이크로 SD 슬롯을 특징으로 한다. 이 시스템은 153 x 30 x 101mm 크기이며 4개의 LAN 포트, 2개의 USB 3.0 포트 및 USB OTG를 갖추고 있다. 이 제품은 알루미늄 섀시, 방진 방지, 넓은 작동 온도 범위 및 9-24 Vdc의 전원 입력 범위를 특징으로 한다. BOXER-8120AI는 LINUX Ub
[첨단 헬로티] 모든 종류의 표면에 가장 까다로운 DPM 캡처할 수 있도록 최적화 오므론 마이크로스캔 시스템즈(Omron Microscan Systems)가 자동차 및 중공업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초소형 DPM 핸드 헬드 장비인 'HS-360X'와 전자 및 의료 기기 제조의 DPM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MicroHAWK ID-45'를 출시했다. 두 리더는 모든 종류의 표면에 가장 까다로운 DPM(Direct Part Mark)을 캡처할 수 있도록 최적화되어 있다. 구부러진 반짝이는 불규칙한 기판은 'HS-360X' 및 'MicroHAWK ID-45' 내부의 고급 X-Mode 디코딩 알고리즘에 전혀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다. 디코딩 속도는 크기, 밀도 또는 명암에 관계없이 도트-핀(dot-peened), 레이저 에칭 및 잉크젯 코드에 대한 신속한 반응한다. 운영자는 ID-45의 직관적인 플러그 앤 플레이 설정의 원동력인 WebLinkPC를 통해 유연성을 높이고 설정을 쉽게 할 수 있다. 이 판독기는 전자, 의료 기기 제조 및 유사한 산업을 위한 생산 라인에 통합되어 있으며, 24개의 LED 배열로 인해 이전 세대의 MicroHAWK 보다 더 밝아졌다. TRUE
[첨단 헬로티] 윈드리버가 일본 오므론에 실시간운영체제(RTOS) VxWorks 및 리눅스를 공급했다고 4일 밝혔다. 오므론은 산업용 PC 플랫폼에 윈드리버 VxWorks와 리눅스를 적용함으로써 산업용 사물인터넷(IIoT) 비즈니스를 강화했다. 오므론은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일환으로 지능형 의사 결정이 가능한 산업 제어 시스템 최적화 작업을 계획했다. 이를 위해 공장 장비를 연결하여 데이터를 추출하고 데이터 분석을 제공하는 데 전문성을 보유한 윈드리버와의 협력을 결정하게 된 것. 공장에 대한 전체 시야를 확보함으로써 비즈니스 지향적인 의사결정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효율성 및 품질을 개선하는 한편 자동화 프로세스를 향상시키고자 했다. 오므론의 산업자동화사업부가 선보인 산업용 PC(IPC) 플랫폼은 IoT 기술을 활용하고 고속, 고정밀 자동화를 통해 제조 분야의 혁신을 견인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오므론은 실제 작업 현장에 IoT를 구현하고자 IPC가 실제 기계들을 제어하는 동시에 백 오피스 IT 네트워크와도 통신해야 하는 부분과 차세대 컨트롤러들이 복잡한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지원해야 하는 점, 그리고 고도의 산업 환경에서 성능과 신뢰성에 대한 오므론의 높은
[첨단 헬로티] 발루프와 오므론, 주요 업체 인수로 머신비전 사업 강화 최근 글로벌 머신비전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기 위한 전략적인 인수합병이 활발하다. 머신비전 시장으로 사업을 확장하거나 기존 시장에서의 입지를 높이기 위해 인수합병이 늘어나고 있다. 발루프 그룹은 매트릭스 비전의 지분 75%를 인수하면서 계열사로 합류시켰고, 오므론은 마이크로스캔을 전격적으로 인수했다. 스마트제조, 인더스트리4.0, 스마트팩토리가 제조업 혁신 혹은 제조업 경쟁력의 한 요소로 자리잡으면서 이를 구현하는 기술 요소 중 머신비전이 주목을 받고 있다. 글로벌 자동화 기업들 역시 이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기 위해 관련 기업의 인수합병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매트릭스 비전 인수로 세부 영역 강화 발루프 그룹(Balluff Group)이 매트릭스 비전(Matrix Vision)의 지분 75%를 인수하면서 계열사로 합류시켰다. 100명의 직원을 보유한 Matrix Vision은 여전히 ??독립적으로 작동하며 이미지 처리 분야의 브랜드는 변함이 없이 운영된다. 매트릭스 비전의 기술 이사인 Uwe Furtner는 “머신 비전은 Industry 4.0을 배경으로 미래에 중요성이
[첨단 헬로티] 스마트팩토리 전문기업인 어드밴텍(정준교 지사장)은 4차 산업혁명 주역 글로벌 기업들과 '엣지크로스((Edgecross) 컨소시엄'을 설립했다고 지난 15일 밝혔다. 이번 엣지크로스 컨소시엄은 어드밴텍을 포함해 미쓰비시 전기(Mitsubishi Electric), 오므론(OMRON), NEC, IBM 재팬 및 오라클(ORACLE) 재팬과 같은 유명 그룹이 참여하였으며, 공장 자동화(FA)와 IT를 결합해 산업 제조 현장 및 기업 관리 데이터의 격차를 해소할 전망이다. '엣지크로스'란 엣지 컴퓨팅을 기반으로 하는 개방형 소프트웨어 플랫폼으로, 생산 현장에서 취득된 데이터의 실시간 진단 및 대응, 응용과 같이 FA시스템과 IT 솔루션 간의 연계를 통해 공동작업을 실현하는 것이 목적이다. 어드밴텍은 이러한 개념의 엣지크로스 컨소시엄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맡는다. 어드밴텍은 엣지 지능형 WISE-PaaS 코어(Edge Intelligence WISE-PaaS Core)를 지원하는 IoT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솔루션을 통해 비즈니스 파트너와 고객에게 최상의 산업망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고객은 엣지 레이어(edge layer)에 장착된 엣지크로스 소
[첨단 헬로티] 맥심 코리아가 자동화 기술 업체 오므론 코퍼레이션(Omron Coporation)에 맥심 ‘MAX14827A’ 듀얼 IO-링크(IO-Link)를 공급한다. 맥심의 MAX14827A는 IO-링크 센서를 이용해 유지보수 시간은 줄이고 가동 시간은 늘려 주는 제품이다. 타사 제품과 비교해 열 방출이 50% 이상 적고 기존 솔루션 중 크기가 가장 작다. 오므론 고객들은 이 제품을 통해 생산 현장에서 지속적인 진단과 모니터링을 할 수 있다. ▲맥심 ‘MAX14827A’ 듀얼 IO-링크 IO-링크는 유럽이 빠르게 도입하고 있는 표준 IO 기술로, 일본에서도 빠르게 성장 중이다. 각종 공장 센서와 설비를 디지털 통신으로 원활하게 연결해 스마트 공장을 실현하는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이에 따라 맥심은 MAX14827A IO-링크 듀얼 채널 트랜시버를 포함한 다양한 관련 제품을 개발해오고 있다. 오므론은 주로 광전자 센서와 근접 센서에서 IO-링크 시리즈를 확장하고 있다. 오므론 IO-링크 센서는 개별 식별 확인 기능, 이상 현상 탐지 및 상황 모니터링이 가능한 고유 기능을 갖췄다. 이를 통해 장애 시간과 갑작스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