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함수미 기자 | 물류자동화 ICT기업 아세테크가 중소벤처기업부에서 주관하는 ‘2022 중소기업 스마트서비스 지원 사업’에 참여할 파트너기업을 찾는다고 밝혔다. ‘2022 중소기업 스마트서비스 지원 사업’은 온라인경제 활성화, 공공문제 해결, 업무 혁신 등을 위해 AI 등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스마트서비스 도입을 장려하는 것으로 선정 기업 당 50% 이내에서 최대 6000만 원을 지원한다. 이 사업의 목적은 중소 및 벤처기업이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 첨단 ICT를 활용해 서비스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신규 BM을 창출하는 것을 지원하는 것이다. 지원 분야는 ▲기업 혁신 서비스 ▲온라인 경제 서비스 ▲공공 서비스 등이다. 특히 기업 혁신 서비스 분야에 창고 관리가 포함돼 중소기업의 물류혁신 지원이 가능하다. 신청 자격은 솔루션 공급기업과 컨소시엄을 구성한 중소기업 및 협업체이다. 신청 방법은 온라인 신청을 통해 이뤄지며 한국경영혁신중소기업협회로 문의하면 된다. 아세테크는 현재 ‘넥소스(neXos)’라는 명칭의 WMS 솔루션을 다양한 기업에 공급하고 있는데, 이 솔루션은 고객의 요구에 맞게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하다. 한편, 아세테크는 WMS, WCS, DPS/D
헬로티 김진희 기자 | 물류자동화 ICT기업 ㈜아세테크가 지난 5월말, 노르웨이 물류로봇 기업 오토스토어와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오토스토어 본사는 소프트뱅크 로보틱스와 아세테크가 동반으로 오토스토어와 글로벌 파트너십을 획득했다고 발표했다. 오토스토어 시스템을 이용하면 기존의 4배의 달하는 공간에 물건을 적재할 수 있고 빠른 입고와 출고를 통해 효율성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다. 오토스토어의 소프트웨어를 통해 물류 로봇의 동작을 최적화하기 때문이다. 오토스토어 김경수 한국지사장은 “오토스토어를 통해 물류 패러다임이 바뀔 것이다. 이커머스 성장과 함께 폭발적으로 늘고 있는 물류센터의 경우, 오토스토어 시스템을 통해 작은 공간에 더 많은 양의 물건을 적재할 수 있다”며 “오토스토어 시스템이 비싸다는 인식이 있는데, 생각보다 적은 금액으로도 시스템을 설치할 수도 있다”고 강조했다. 김 지사장은 “최근 중소기업 문의도 늘어나고 있는 추세다. 물류사업자가 대기업에서 중소기업 그리고 일인기업으로 확장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아세테크 관계자는 “이번 계약을 통해 아세테크는 한 단계 더 도약하게 됐다. 물류자동화를 원하는 고객에게 오토스토어 제품을
[헬로티] 모션투에이아이와 아세테크는 ‘인공지능 기반 물류센터 관제 솔루션 고도화’ 업무협약(MOU)를 체결했다고 18일 밝혔다. ▲ 모션투에이아이-아세테크 MOU 체결식 (사진 제공:모션투에이아이) 실리콘밸리에 본사를 둔 인공지능 스타트업 모션투에이아이는 탈부착이 가능한 센서 키트인 MotionKitTM를 통해, 물류 창고에 별도의 통신 설비 없이 비전 기술로만 실내 위치파악이 가능하고, 물류센터의 유/무인 모빌리티 자원 최적화와 효율성을 실시간 통합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물류 모빌리티 관제 서비스(MotionFMSTM)를 제공한다. MotionFMSTM 는 다양한 형태의 유인 지게차 및 지게차와 로봇 간의 상호 작업 프로세스를 프로그래밍 할 수 있고, 실시간 및 축적 데이터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대시보드도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경쟁 기술 대비 매우 저렴한 월 이용료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물류자동화 ICT 전문기업 아세테크는 WMS, DPS, DAS, 보이스솔루션 등의 공급과 물류컨설팅을 통해 국내외 물류 자동화를 선도하고 있다. 아세테크 박종석 대표는 “ 모션투에이아이와의 협력을 통해 앞으로 기존 및 신규 고객
[첨단 헬로티] 물류자동화 ICT 전문기업 아세테크(대표 박종석)가 HR컨설팅을 통해 내실 다지기와 조직문화 개선에 나선다. 아세테크는 올해 3월부터 12월까지 HR컨설팅 전문 홍석환 대표를 초빙해 임직원 모두 체계적인 컨설팅을 받는다고 전했다. HR(Human Resource)컨설팅은 인력자원 컨설팅을 의미하는데 조직이나 기업이 한 단계 더 성장하는데 있어 전략적으로 큰 도움을 주는 컨설팅을 말한다. 삼성그룹과 GS칼텍스 등에서 인사 및 기획과 관련된 다양한 업무로 내공을 닦은 홍석환 대표는 지난 2017년부터 찾아가는 HR 원포인트 레슨을 기업과 기관 등에 펼치고 있다. 홍석환 대표는 지난 3월 26일 아세테크 임직원이 모인 첫 자리에서 리더의 역량으로 무엇보다도‘성과'를 강조했다. 홍 대표는 “리더는 사업과 연계해 방향과 전략 그리고 중점과제를 결정하는 사람이다”며 “리더가 되기 위해선 올바른 가치관, 전문능력, 소통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성과창출이 우선이다”고 설명했다. 아세테크 임직원들은 올해 말까지 인터뷰 및 설문조사 등을 토대로 체계적인 HR컨설팅을 받을 예정이다. 컨설팅에 참여한 아세테크 관
[첨단 헬로티] 현대중공업지주, 물류 자회사 현대L&S 신설 후 자회사 편입 현대중공업지주는 지난 2일, 국내 물류시스템 전문기업인 아세테크와 스마트물류 자동화 회사인 '현대L&S(대표이사: 서유성, 박종석)'를 설립하고, 자회사로 편입했다. 모바일/온라인 유통 시장의 가파른 성장과 대형화 패러다임 변화에 따라 물류자동화 시장의 성장 가능성을 확인한 현대중공업그룹은 로봇과 자율주행 설비가 갖춰진 신규 물류자동화 시장 개척을 위해 위와 같은 결정을 내린 것으로 보인다. 현대L&S는 현대로보틱스의 로봇과 현대 L&S의 물류 자동화설비 연계를 통해 기존 업체들과 차별화된 솔루션을 고객에게 제공할 계획이다. 특히, 피킹/하역/상차/검수/포장 등의 모든 물류 업무를 핸들링 로봇과 AGV를 활용하여 무인화, 스마트화 된 솔루션을 개발, 적용할 예정이다. 이로써 현대로보틱스는 제조업뿐만 아니라 물류관련 S/W부터 H/W까지 공급할 수 있게 되었다. 현대로보틱스 서유성 사업대표는 ‘로봇자동화 시장은 거대 잠재력을 갖춘 시장으로서 현대로보틱스가 보유한 로봇과 물류자동화 솔루션을 통해 스마트물류 사업을 선도하는 기업으로 만들겠다&rsqu
[첨단 헬로티] 오늘날의 소매 업체는 소비자 중심적이고 경쟁이 치열한 소매 환경에서 필요로하는 재고 및 가시성 요구 사항을 따라잡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의류 뿐만 아니라 여러 소매업체가 RFID를 사용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있으며, RFID는 특히 효과적인 무기로 입증되고 있다. 작년 5월 커트 새먼(Kurt Salmon)이 60개 소매 업체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실제로 재고 정확도는 25.4% 향상됐고, 고객만족도는 11% 나아졌으며, 재고부족율은 40.6% 낮아졌다. 뿐만 아니라 결품률 역시 감소했으며,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수익률이 60.7% 증가한 것이다. 85% 응답자들이 재고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RFID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따라 기업들은 2018년까지 RFID 기술에 대한 투자를 지금보다 매년 22%씩 확대할 것으로 조사됐다. 따라서 여전히 재고가 문제인 의류산업에서 RFID는 재고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답이 될 수 있다. (주)첨단은 오는 9월 22일 삼성동 섬유센터빌딩 2층 컨퍼런스홀에서 '의류산업 RFID 구축전략 세미나(https://goo.gl/rE2Azx)'를 통해 의류산업에서 재고정확도를 높일
<출처: Avery dennison> [첨단 헬로티] 2016년 북미와 유럽의 소매, 의류, 신발, 액세서리 시장의 73%가 RFID를 도입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2014년에 비해 두배 이상 증가한 수치다. 이런 놀라운 증가율은 의류 등의 시장에서 RFID 도입으로 인한 명확한 ROI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RFID 도입 후 개선된 수치를 보면 더욱 놀랍다. 재고정확도 25.4% 증가, 고객만족도 11%, 매장 결품률 40.6% 감소, 수익률 60.7% 증가 등의 효과를 가져온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첨단은 의류분야의 RFID 도입 사례를 통해 RFID를 도입하고자하는, 혹은 도입을 검토 중인 의류업체에 도움이 '의류 RFID 구축 전략 세미나(https://goo.gl/rE2Azx)'를 개최한다. 전세계적으로 대표적인 SPA 브랜드인 자라(ZARA)와 유니클로가 RFID 도입을 발표했거나 현재 도입 중이며, 국내에서도 의류산업의 RFID 도입 1세대로, 베이직하우스, 스쿨룩스를 비롯, 신세계, 크리스패션 등이 RFID 시스템을 도입한 바 있다. 업계에 따르면, 최근에는 MK트렌드, 영원무역, 이랜드가 RFID 시스템 구축을 진행하고 있
[헬로티]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제조-유통-물류 등 이종 산업간 융합이 일상화되며 세계 각국은 산업인터넷, 인더스트리4.0, 로봇신전략, 제조2025, 스마트 네이션 등 제조업 및 서비스업 고도화에 국가적 지원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이렇듯 제4차산업혁명의 시대에 접어들면서 기업의 공급망은 어떠한 변화가 있어야 하며, 어떤 대비가 필요할까? 한국하니웰이 오는 30일(목) 서울 코엑스 컨퍼런스룸 308호에서 '보이스를 활용한 물류경쟁력 확보 세미나((https://goo.gl/9vD8Fs)'를 개최한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제4차산업혁명의 시대에서 기업의 스마트SCM을 논하고, 기업의 스마트SCM 구현을 위해 하니웰이 제공하는 다양한 솔루션을 직접 체험해볼 수 있는 장도 마련된다. 기조강연을 맡은 인천대학교 송상화 교수는 스마트 팩토리 등 산업현장에서 디지털 기술의 적용 현황을 살펴보고, 스마트 SCM 개념 도입의 필요성과 과제에 대해 발표할 예정이다. 이어지는 세션에서 한국하니웰은 S&SP 사업부의 전략과 함께 하니웰이 인수한 보콜렉트의 음성 피킹 솔루션에 대해 살펴볼 예정이다. 하니웰에 따르면, 보콜렉트의 음성 기술은 데이터 시스템 통합을 위한 헤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