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큐비스타가 조사한 통계에 따르면 지난 5년간 발생한 사이버 침해사고 중 중소기업 피해 비중이 매년 80% 이상을 차지했다. 전체 사이버 침해 신고 건수 4080건 중 82.5%에 달하는 공격 피해 3364건이 중소기업에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작년 105억 원이던 정보보호 지원 예산이 내년에는 1/4 수준인 26억 원으로 축소돼 대비의 중요성은 더욱 커졌다. 씨큐비스타는 ‘보안 전담 인력 결여’,‘공격 사실 여부 인지 부족’,‘오래된 소프트웨어 버전’ 등 중소기업이 겪고 있는 보안의 어려움을 꼽으며, 사이버공격을 당할 경우 금전적 피해뿐 아니라 업무적 피해가 상당한 만큼 사전 점검과 체계적인 데이터 보호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씨큐비스타는 파트너사와 협력해 중소기업용 지능형 위협 탐지 및 대응 기능을 탑재한 차세대 NDR·FDR 보안솔루션 ‘패킷사이버’를 중심으로, 보안솔루션 및 전문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는 ‘중소기업용 매니지드 보안 서비스’를 제공한다. 전덕조 씨큐비스타 대표는 “중소기업 보안 수준은 언제 침해사고가 터져도 이상하지 않다”며 “인프라 및 전문인력 문제를 해결할 중소기업용 매니지드 보안 서비스를 개발해 취약한 국내
국내 보안기업 씨큐비스타는 차세대 보안솔루션 ‘패킷사이버(PacketCYBER)’의 국내 최초 네트워크 위협 탐지 및 대응(NDR) 부문 국가용 보안기능확인서 취득을 기념해 지난 11일 ‘씨큐비스타 파트너스데이’를 성황리에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에는 전덕조 씨큐비스타 대표를 비롯해 아이플래넷 이승열 대표, 이베이테크 황경구 대표, 한기술 박진수 상무, 티사이언티픽 김주형 상무, 나일소프트 김원규 전무, 엘세븐시큐리티 원찬영 상무, 에이스네트피아 최웅석 본부장, DB Inc 신성수 부장 등 파트너사와 총판기업, 잠재고객, 보안전문가 등 150여 명이 참석해 ‘패킷사이버’의 ‘새로운 시작’을 함께 축하했다. 특히 이베이테크, 아이플래넷, 티사이언티픽, 한기술 등 4개 총판기업이 특별 후원했다. 전덕조 대표는 행사에서 NDR의 등장 배경과 정의, 현존하는 NDR 기술 비교, 패킷사이버의 차별성과 경쟁력 등을 발표했다. 또한 조달청 디지털서비스몰에 유일하게 등록된 NDR 보안솔루션이자, 국내 최초로 NDR 유형의 국가용 보안기능확인서를 획득한 패킷사이버를 기반으로 파트너사와 함께 동반 성장할 것을 강조했다. 패킷사이버 데모 세션에서는 씨큐비스타 김백운 기술개
위협헌팅 보안기업 씨큐비스타(대표 전덕조)가 자사의 NDR·FDR 기반 보안솔루션 ‘패킷사이버’가 국내 최초로 ‘네트워크 위협 탐지 및 대응(NDR)’ 부문 보안기능확인서 인증을 취득했다고 23일 밝혔다. 공공 및 국방기관들은 2~3년 전부터 NDR 제품 도입을 적극 추진해 왔지만, 최상위 보안관리기관 인증을 받은 제품이 전무해 제품 도입에 어려움을 겪어 왔다. 이번 씨큐비스타의 인증 획득으로 정부부처와 주요 NDR 수요처들이 별도의 보안적합성 검증 절차 없이 NDR을 신속하게 도입할 수 있어 NDR 시장이 본격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패킷사이버는 국내 NDR 업계 최초이자 유일하게 최상위 보안관리기관의 ‘보안기능확인서’를 취득한 솔루션이다. 이 확인서는 국가·공공기관이 도입하는 정보보호시스템, 네트워크 장비 등의 안전성과 보안적합성을 검증하는 제도로, 국가정보원의 공인시험기관으로 지정된 한국아이티평가원(KSEL) 등 6개 기관에서 보안기능시험을 통과한 후 최상위 보안관리기관의 검증을 거쳐 최종 확정된다. 확인서의 유효기간은 5년이다. 패킷사이버는 위협·악성 여부와 관계없이 주요 프로토콜에 대한 양방향 통신 및 30여 종의 파일기록을 실시간으로 수집 및 분석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