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 헬로티] 시스코 수지 위(Susie Wee) 데브넷 CTO 등 방한해 디지털 혁신을 위한 시스코 전략 공유 시스코 시스템즈는 오는 11월 25일과 26일 양일간 강남구 삼성동 코엑스 그랜드볼룸 및 오디토리움 일대에서 ‘시스코 커넥트 코리아 2019’를 개최한다. 4년 만에 국내에서 열리는 이번 행사에서는 ‘You Make Possible’을 주제로, 미래를 선도할 시스코의 다양한 기술이 기조 연설과 데모, 기술 심화 세션 등을 통해 소개된다. 첫날인 11월 25일에는 ‘테크놀로지 데이(Technology Day)’를 개최하고, 시스코 전문가들이 나서 20여 개의 기술 심화 세션과 핸즈온 세션을 진행한다. 네트워크, 멀티클라우드, 보안, 5G 등과 관련된 새로운 기술, 다양한 적용 예시, 시스코 솔루션 구축으로 고객이 누릴 수 있는 장점 등 시스코 전문가들이 현장을 누비며 습득한 노하우를 생생하게 전달할 예정이다. 이튿날인 11월 26일에는 기조 연설과 부스 투어가 준비돼 있다. 이번 행사를 위해 방한한 시스코 데브넷(DevNet) 최고 기술 책임자(CTO) 수지 위(Susie Wee) 수
[첨단 헬로티] 시스코코리아가 SK브로드밴드와 함께 맞춤형 통합 정보 보안 'SKB 클라우드 시큐리티 안심인터넷 서비스’를 출시하고 하반기부터 본격 판매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해당 서비스는 SKB의 클라우드 시큐리티 플랫폼과 시스코의 기술력이 합쳐진 단일 플랫폼을 통해 웹 상의 다양한 공격을 예방·대응할 수 있으며, 저비용의 쉬운 구축을 통해 네트워크 전체를 보호하는 강력한 보안을 구현한다. 이번 출시된 클라우드 시큐리티 서비스인 안심인터넷은 인터넷 게이트웨이 보안 솔루션인 시스코 엄브렐라를 통해 별도의 에이전트 설치 없이도 APT, 랜섬웨어·멀웨어, 피싱 등 유해서비스 및 바이러스 차단까지 광범위한 기능을 제공하는 차세대 보안 시스템이다. 특히 SKB의 클라우드 시큐리티 플랫폼을 통해 수분 내 전사적 범위에 구축이 가능해 설치가 용이하며, 단일 장비로 다양한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어 합리적인 가격에 강력한 보안 솔루션을 찾는 중소기업 및 소규모 사업장이나 프랜차이즈 등 다지점 사업장에 적합한 상품이다. 시스코와 SKB는 지난 1년간 간편하면서도 높은 수준의 통합 정보 보안 서비스를 제공할 방안을 모색해 왔으며, 이에 인터
글로벌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 전망 시스코 코리아는 전 세계 모바일 트렌드를 분석한 2015-2020 ‘비주얼 네트워킹 인덱스(VNI)’ 글로벌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 전망 보고서를 발표했다. 시스코는 이 보고서를 통해 향후 5년간 전 세계 모바일 기기 수용, 증가된 모바일 커버리지, 모바일 콘텐츠 수요로 인한 성장세가 세계 인구 증가보다 2배 빠를 것으로 전망했다. 또한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은 모바일 기기, 스마트 기기, 모바일 비디오, 4G 네트워크 사용 급증에 의해 전 세계적으로 8배가 증가할 것으로 예측했다. 시스코에서 실시한 VNI 글로벌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카메라 폰이 처음 출시된 2000년 이래, 전 세계 모바일 사용자 수는 5배 증가했으며, 오는 2020년에는 55억 명으로 늘어나 전 세계 인구의 70%를 차지하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그리고 한국의 2020년 모바일 사용자 수는 4,610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90%에 달하며, 연간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은 7.8엑사바이트를 기록해 향후 5년간 5배 가까이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또한 2020년에는 전 세계 스마트 모바일 기기 및 연결이 전체 모바일
ⓒGetty images Bank 시스코 코리아(대표 정경원)가 전세계 모바일 트렌드를 분석한 2015-2020‘비주얼 네트워킹 인덱스(VNI)’글로벌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 전망 보고서를 발표했는데, 한국의 2020년 모바일 사용자 수는 4,610만명으로 전체 인구의 90%에 달할 것이다. 연간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은 7.8엑사바이트를 기록하며 향후 5년간 5배 가까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보고서를 통해 시스코는 향후 5년간 전세계의 ▲모바일 기기 수용 ▲증가된 모바일 커버리지 ▲모바일 컨텐츠 수요로 인해 생성되는 성장세가 세계 인구 증가보다 2배 빠를 것으로 전망했다. 또한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은 ▲모바일 기기 ▲스마트 기기 ▲모바일 비디오 ▲4G 네트워크 사용 급증에 따라 전세계적으로 8배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2020년에는 전세계 스마트 모바일 기기 및 연결이 전체 모바일 연결의 72%를 차지하면서, 2015년 36% 대비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또한 2020년까지 전세계적으로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의 98%가 ‘스마트’ 트래픽 일 것으로 예상된다. 특정 디바이스로 조사해 볼 때, 전세계적으로 대다수의
시스코 코리아는 지난 2013년 10월 인천 송도에 공식 개소한 ‘GCoE(Global Center of Excellence)’가 ▲국내 16개 스타트업과의 솔루션 개발 협력 ▲2천 5백여 방문자 대상의 기술 시연을 통한 만물인터넷 청사진 제시 ▲‘IoE코드페스트’ 개최를 통한 솔루션 개발 독려의 행보 지속 등 국내 만물인터넷 산업 활성화에 힘쓰고 있다고 밝혔다. 시스코GCoE는 시스코가 전세계 7곳의 주요 도시에서 운영하고 있는 만물인터넷 솔루션 혁신센터 중 하나로서 한국 송도에 소재한 센터를 지칭한다. 시스코 GCoE는 개소한 이래 지난 1년 6개월여간 동안 N3N, 넥스파, 나무아이앤씨 등16개의 국내 스타트업과 함께 만물인터넷 솔루션 개발을 위해 긴밀히 협력해 왔다. 이러한 노력 가운데, N3N과 협력하여 ‘시스코 스마트+커넥티드 시티 오퍼레이션스 센터’ 솔루션을 세계 시장에 출시하는 쾌거도 올렸다. N3N은 만물인터넷 시각화 및 관제시스템 개발 스타트업으로 지난해 시스코 글로벌 만물인터넷 펀드의 투자를 받은 바 있다. 김혜숙 기자 (atided@hellot.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