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S일렉트릭이 지난 2월 17일 델타로봇인 LS QuickMaster(퀵마스터) XDR 시리즈를 출시했다. XDR 시리즈는 높은 처리능력 및 다양한 비전시스템과의 호환성을 가지고 있다. 특히 쉬운 로봇 프로그램 방식을 제공하면서도 가격, 납기, A/S 부분에서 높은 경쟁력을 가지고 있어 국내 고객들에게 다양한 혜택을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LS일렉트릭 유병선 매니저(신사업 BU장)는 “LS 고유의 PLC, Servo 및 제어기술 등을 활용하여 통합 델타로봇 솔루션을 제공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XDR 시리즈는 1kg~3kg의 가반하중 처리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작업반경 600~1600mm, 150~190/min의 사이클 속도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Ethernet 통신으로 비전시스템과의 연결이 간단하고 XDR 시리즈 전용 비전솔루션도 함께 제공되어 쉽게 사용이 가능하다. 고객들은 LS QuickMaster를 델타로봇 단품뿐만 아니라 ‘델타로봇+비전시스템+공압+end effector’가 하나로 합쳐진 델타로봇시스템으로도 구매할 수 있어 손쉽게 토털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LS일렉트릭 김병균 상무(자동화솔루션국내사업부)는 “직교로봇, 스카라로봇, AGV
이송현 에디터, 마이로봇 솔루션 AIM FlexiBowl과 엡손 스카라로봇을 활용한 릴테입 패키징 릴테입을 패키징하는 작업은 8시간 동안 아주 핀셋으로 부품을 집고 옮겨야 한다. 마치 바느질 작업을 하듯이 눈도 아프고 손도 아픈 작업이다. 그렇기 때문에 공장에서 생산자들이 기피하는 공정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피로도가 높아 제조인력이 부족한 대표적인 단순 반복 작업이다. 이런 작업을 로봇 시스템으로 자동화하면 지치지도 않고 정확하게 무한반복하여 제조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이 공정은 이하의 4가지의 특장점을 가지고 있다. · 다품종 생산 : 다양한 품종을 소프트웨어 수정으로 빠르게 전환 · 제품 품질 향상 : 정전기, 스크레치, 제품 파손 및 손상 최소화 · 생산 효율 향상 : 엉킴, 꼬임으로 인한 생산 중 설비 멈춤 방지 · 좌우/앞뒤 구분 비전 : 앞뒤 및 좌우 구분 휴먼 에러 없는 시스템 그중에서도 먼저 다양한 품종을 소프트웨어 수정으로 빠르게 전환하여 다품종 생산에도 유리하다는 점이 눈에 띈다. 로봇, 비전, 플렉시블 피더의 통합 솔루션으로 빠르고, 프로젝트 리스크 없이 공정을 개선한 덕분에 다양한 제품군과 0.5~250mm의 다양한 사이즈를 모
[헬로티] 코로나로 인해 비대면 분야가 급부상하면서 로봇업계의 성장이 가파르다. 로봇 자동화 전문기업 나우테크닉스(대표 이종주)는 로봇 분야의 급성장에 대비하기 위해 IPO(기업상장)를 하기로 결정하고, 지난 29일 주관증권사로 하이투자증권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올해로 창업 6년차인 나우테크닉스는 2020년 86억 매출을 달성하면서, 2019년 32억 대비 168%의 급성장을 보였으며, 올해는 130억의 매출을 예상하고 있다. ▲ 29일 나우테크닉스는 하이투자증권과 코스닥 시장 상장을 위한 대표주관 계약을 체결했다. 이번 주관증권사 선정에는 3개의 증권사가 경합을 벌였으나 최종적으로 하이투자증권이 선정됐다. 나우테크닉스 이종주 대표는 “하이투자증권이 최근 급성장하는 중견증권사이고, 자기자본도 1조가 넘는 우량 기업으로 발전하고 있다. 하이투자증권은 우리 회사와 비슷한 성장 과정을 밟고 있는 것 같아 가장 잘 어울리는 증권사로 판단된다”며 주관증권사 최종 선정 배경에 대하여 설명했다. 이번 상장 주관사 선정에 따라 나우테크닉스는 절차를 밟아 내년 3월쯤 코스닥 상장을 추진하고 있으며, 성장성 특례로 상장할지 스팩으로 상장할지 여부는 증권사
[헬로티] 로봇 전문기업 민트로봇이 ‘2020 로보월드’에 참가해 산업용 로봇 ‘Pal A 시리즈’를 선보였다. Pal A 시리즈는 민트로봇의 대표적인 산업용 로봇으로, 비용 효율적이면서도 실용적인 측면을 강조한 제품이다. A 시리즈는 3축 평면 로봇(A3), 스카라로봇(A4), 6축 다관절로봇(A6) 등 3종류로 구성되어 있다. ▲ 스카라로봇 ‘Pal A4’. 사진은 비전 기술을 이용하여 사물의 형태 등을 실시간으로 인식하여 빠르게 목표 위치로 이동시키며, 부품이 겹쳐지거나 뒤집어야할 경우 플렉서블 피더에서 분산 및 반전시키는 모습을 시현해보이고 있다. 특히 스카라로봇 Pal A4는 민트로봇에서 독자적으로 특허 개발된 감속기를 사용하여 높은 토크출력과 정밀도를 구현했다. 주로 전자기기 부품이나 반도체 등 약 1mm 이하 초소형 공작물을 빠르게 적재하는 데 사용된다. 한편, 2020 로보월드는 28일부터 31일까지 킨텍스 1~2홀에서 진행되며,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로봇산업협회, 한국로봇산업진흥원, 제어로봇시스템학회 등 3개 기관의 공동 주관으로 열린다.
[첨단 헬로티] 미국의 자동차 생산량 증가와 관련 부품시장이 살아나면서 관련 시장에서의 로봇 도입도 높아질 전망이다. ResearchAndMarkets는 7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미국 SCARA 로보틱스 시장 전망 및 전망, 2019-2027’ 보고서가 추가됐다고 밝혔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에서 산업용 로봇의 보급 확대는 향후 몇 년 동안 시장 성장을 촉진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스카라(SCARA) 로봇과 같은 산업용 로봇들은 조립 라인에서 매우 힘들고 단조로운 일을 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때문에 제조의 효율성을 높이고 생산 공정에 필요한 시간을 줄이는 데 도움을 주고 있다. 이러한 산업용 로봇과 스카라 로봇의 장점으로 인해 이 보고서에서는 미국의 물류 산업 분야를 비롯해 특히 자동차 부문 및 식음료 산업에서 산업용 로봇의 배치가 증가함에 따라 시장 성장이 더욱 가속화 될 것으로 분석했다. 예를 들어, 미국 로봇 산업 협회 (US Robotic Industries Association)에 따르면 2018 년 소비재 및 식품 회사의 로봇 출하량은 48% 증가했다고 밝히고 있다. 또한 보고서에서는 “미국은 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