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서재창 기자 | 센스톤의 글로벌 비즈니스 헤드쿼터인 스위치(swIDch)가 영국 정부에서 지원하는 사이버 보안 엑셀러레이터 프로그램인 ‘사이버 런웨이’ 1기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플러그앤플레이, 사이버앳스테이션에프 바이 탈레스 등 세계 유수의 액셀러레이터 프로그램에 선정돼 글로벌 역량을 키우는 센스톤은 스위치의 이번 사이버 런웨이 합류로 총 10개의 글로벌 액셀러레이터 프로그램에 선정되는 쾌거를 이뤄냈다. 사이버 런웨이는 영국의 사이버 보안 분야 중소기업 및 스타트업의 성장을 돕기 위한 육성 프로그램으로, 영국 디지털문화미디어스포츠부(DCMS)에서 후원하고 런던의 혁신 허브 플렉설이 딜로이트, 사일란, CSIT와 협력 지원한다. 그동안 DCMS가 지원해 온 허트제로, 사이버101, 테크네이션 사이버 액셀러레이터는 사이버 런웨이로 통합 및 대체된다. 올해 처음 진행되는 사이버 런웨이는 영국 전역의 사이버 기업, 스타트업, 중소기업, 스케일업 기업 등 총 108개사가 최종 선정됐다. 각 기업의 비즈니스 성장 단계에 맞춰 출시, 성장, 규모확대, 총 3개 그룹으로 나뉘어 6개월간 지원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스위치는 108개사 가운데 총 20개사만이 선정된
헬로티 김진희 기자 | 오토닉스는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오토닉스(대표 박용진)는 SF+AW 2021에서 레이저 변위 센서 BD Series, 세이프티 라이트 커튼/컨트롤러/스위치, 그래픽 패널/로직 패널 GP/LP-A Series 등 차별화된 자동화솔루션을 선보일 예정이다. 레이저 변위 센서 BD 시리즈는 검출 대상의 색상이나 재질에 대한 영향이 적어 안정적인 변위량 측정을 통해 검출 대상의 두께, 폭, 단차, 들뜸, 굴곡, 평탄도 등의 측정이 가능하다. 특히 센서 헤드와 센서 앰프 유닛 분리형 구조로 유지 보수가 용이하며, 상호간섭방지기능 탑재로 최대 8대의 센서 앰프 유닛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번 전시회에 그래픽 패널/로직 패널 GP/LP-A Series도 전시된다. 그래픽 패널 GP-A 시리즈와 PLC/HMI/입출력 모듈 일체형 로직 패널 LP-A 시리즈는 10.4인치/7인치/5.7인치/4.6인치 TFT LCD 채용으로 뛰어난 시인성과 데이터 활용 범위 확장을
헬로티 서재창 기자 | 삼성전자가 스마트한 통신망 운영을 위한 ‘삼성 SDN 솔루션’을 출시했다. SDN(Software Defined Network)은 소프트웨어를 기반으로 통신망 내 분산된 스위치·라우터에 탑재된 제어기능을 중앙에서 통합관리하고, 자동화 및 실시간 최적화를 지원하는 기술이다. 이 기술은 원격 설정과 자동화로 통신망 운영비용 절감과 효율성 측면에서 우수하다. 특히, 최근 이동통신 네트워크가 복잡해지고, 통신 서비스의 품질과 속도가 강조되면서 SDN 기술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삼성 SDN 솔루션은 기업의 인터넷·시설관리 등을 위한 사설망과 기지국을 포함한 5G 전용망 및 5G 이동통신망에 일괄 적용이 가능한 통합 솔루션이다. 서버 1대에도 설치할 수 있지만 트래픽과 가입자 규모, 필요 솔루션 등에 따라 자유롭게 확장과 변경이 가능하다. 이를 활용하면 5G 기반 이동통신 서비스에 필수적인 ‘네트워크 슬라이싱’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네트워크 슬라이싱 기술은 1개의 물리적 네트워크를 여러 개의 가상 네트워크로 쪼개는 방식으로 다양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첨단 기술이다. 또한, 스위치, 라우터 등의 장비를 추가로 설치하고 설
[헬로티] 아틀라스랩스는 AI 전화 ‘스위치(Switch)’가 연동되는 웹 서비스 ‘스위치 커넥트(Switch Connect)’의 업그레이드 버전을 새롭게 런칭했다고 2일 밝혔다. ▲출처 : 아틀라스랩스 ‘스위치 커넥트’는 AI 전화 모바일 앱 ‘스위치’와 연결되어 음성 녹음은 물론, 실시간 문자화를 통한 전화 데이터를 편리하게 분석 및 관리할 수 있는 웹 서비스다. 아틀라스랩스에 따르면 스위치 커넥트는 이번에 업데이트된 추가 기능을 바탕으로 더욱 원활한 워크플로우를 지원하며 협업 툴 SaaS(서비스형 소프트웨어 서비스) 시장의 대표주자로 자리 잡을 전망이라고 밝혔다. 새로운 스위치 커넥트는 ▲전화 녹음 음성 및 텍스트 파일 다운로드 기능 ▲통화 노트 자동 생성 ▲통화 기록 공유 ▲필터 적용 ▲단축키 등의 기능 ▲검색 및 재생 ▲태그 기능이 업그레이드됐다. 스위치 커넥트 업데이트 버전은 스위치 계정이 있는 사용자라면 웹에 로그인해 즉시 사용할 수 있다. 통화 노트 기능을 활용하면 기록된 전화 내용 중 하이라이트 표시한 부분에 대해 자동으로 노트가 생성된다. 노트 클릭 시 해
[헬로티] 아틀라스랩스는 통화 데이터를 실시간 텍스트로 기록해주는 인공지능(AI) 전화 ‘스위치’가 정식 출시된다고 밝혔다. ▲AI 전화 '스위치' 화면 통화 내역을 손쉽게 녹음하고 텍스트로 저장할 수 있는 AI 전화 ‘스위치(Switch)’의 iOS 버전을 공식 런칭한다고 5일 밝혔다. 앱스토어를 통해 다운로드 받을 수 있으며 안드로이드 버전도 잇따라 출시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이번 스위치 iOS 정식 버전은 기본 전화 기능은 물론 전화 녹음, 통화 내용의 실시간 대화형 문자 기록, 통화 기록 조회 및 분석까지 지원한다. 단순히 통화 내용을 녹음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닌, 효율적인 전화 업무를 돕는 음성 데이터까지 하나의 앱으로 관리할 수 있다. 모바일 앱과 연동되는 웹 서비스 ‘스위치 커넥트(Switch Connect)’를 활용한 PC에서의 통화 관리 기능도 추가됐다. 스위치 앱과 웹 서비스가 실시간으로 연동돼 태그, 메모, 즐겨찾기, 통화 내용 검색 및 재생, 전화 녹음 음성 및 텍스트 파일 다운로드 등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아틀라스랩스는 AI 전화라는 새로운 지평을 연 스위치의 정
[헬로티] 슈나이더일렉트릭(한국지사 대표 김경록) 이 세계 최초의 이중 전력 접촉기(Double Throw Power Contactor)방식의 무정전 절체 스위치를 출시했다. 무정전 절체 스위치(CTTS: Closed Transition Transfer Swithes)는 특정한 이유로 한전에서 공급하는 전력이 끊기고 비상전원에서 전력을 공급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정전을 경험하지 않고 전기를 공급받을 수 있게 하는 장치다. ▲ 슈나이더일렉트릭 자회사 아스코의 7000 Series 5000A CTTS (사진 : 슈나이더일렉트릭) 정전이 일어나기 직전 한전과 비상용 발전기가 동시에 순간적으로 전기를 공급, 틈새를 완전히 매워 준다. 슈나이더일렉트릭의 자회사이자 국내 CTTS 시장의 선두 주자인 ‘아스코’가 출시한 5000A CTTS는 세계 최초의 이중 전력 접촉기 (Double Throw Power Contactor) 방식으로 두 전원 사이에서 하나의 스위치의 부하가 걸릴 경우 바로 전환이 가능하다. 또한 아크 (전기적 방전에 따라 전선에 불꽃이나 스파크가 발생하는 현상) 에 강해 중요 부하를 다루는 시설에 많이 공급될 것으로 기대된다. 50
[첨단 헬로티] KVM 스위치 및 디지털 영상 솔루션 전문기업 에이텐코리아(ATEN, 대표 첸순청, 이하 ATEN)가 소규모 회의 및 협업을 위한 쿼드 뷰 멀티 스트리밍 스위치 VP2120을 출시했다. 이 기기는 단 하나의 스위치로 업무기기나 거리에 상관없이 빠르게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협업할 수 있게 지원하는 것이 특징이다. ▲ 에이텐코리아가 쿼드 뷰 멀티 스트리밍 스위치 VP2120을 출시했다. (사진 : 에이텐코리아) 채널은 유선 1개, 무선 4개까지 가능하며 로컬디스플레이 2개에 매트릭스 및 미러 모드로 전송 출력한다. 스마트패드, 휴대폰, 랩톱, 데스크톱 등 운용방식과 구동 형태가 상이한 기기라도 QR 코드나 IP 기반으로 접속하고 연동되며, 실시간으로 화면을 스크린에 출력할 수 있다. 전담 담당자 없이도 누구나 사용 가능한 쉬운 사용성도 갖췄다. 빠르고 직관적인 심리스 스위칭 운용은 조작성 및 편의를 높이는 데 유리한 형태다. 다수 소스를 동시에 표시하는 멀티 뷰 지원 기능을 활용하면 최대 4개의 소스를 한 화면에 표시하거나 혹은 하나의 소스를 전체 화면으로 출력 할 수 있기에 메시지 전달력도 높일 수 있다. 스위치를 통한 조작뿐만 아니라 전용 앱을
[첨단 헬로티] 프랑스 스위치 전문 기업 ‘소코멕(SOCOMEC)’의 공식 대리점 소코코리아가 에너지플러스 2019에 참가했다. 소코코리아는 이번 전시회에서 UPS Bypass 스위치 등 소코멕의 대표 스위치를 전시했다. 소코멕은 소코멕은 프랑스 기업이다. 전기 저압 쪽으로 1995년부터 제품을 만들기 시작했다. ▲ 소코코리아가 에너지플러스 2019에 소코멕의 최신 스위치를 선보였다. <사진 : 김동원 기자> 유럽과 미국, 아시아 등 세계 각국에 스위치 등의 제품을 수출하고 있다. 이 회사는 프랑스에서 두 번째로 큰 연구소인 ‘테슬라 랩’을 운영하며 산업 성장 속도에 맞는 새로운 스위치를 계속 선보이고 있다. 소코멕은 보통 해외에 진출할 때 직영점을 두지만, 한국에는 대리점을 두었다. 경쟁업체가 많은 한국 시장에서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대리점이 유리하다는 판단에서였다. 소코멕은 업력이 높은 만큼, 내구성 면에서 큰 장점을 가지고 있다. 소코코리아 관계자는 “스위치를 제조하는 회사는 세계적으로 상당히 많다”면서 “가격을 중시하는 곳이 있고, 기능을 중시하는 곳도 있을 텐데
[첨단 헬로티] 용성전기주식회사가 지난 5월 29일(수)부터 31일(금)까지 사흘간 코엑스(C홀)에서 개최한 ‘2019 국제전기전력전시회(Global Electric Power Tech)’에 참가했다. 올해로 17회째를 맞는 ‘국제전기전력전시회’는 전기전력 분야의 신성장동력 발굴 및 국내외 수출 활성화를 위해 한국전기기술인협회가 주최하고 산업통상자원부가 후원하는 국제 전시회다. ▲ 용성전기주식회사가 국제전기전력전시회에서 자사의 신제품을 선보였다. <사진 : 김동원 기자> 이번 전시회에서 용성전기주식회사는 ‘CSA16 시리즈’, ‘CSA2X 시리즈’ 등 산업용 자동제어 스위치 신제품을 선보였다. CSA16 시리즈는 접점부와 홀더부가 분리되는 원터치 탈착방식으로 구성됐다. 별도의 Lock Ring을 사용하여 보수와 교체가 편리하고, 접점부가 판 스프링구조로 되어 있어 작동유무를 청각으로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SA2X 시리즈는 모듈타입으로 접점부의 추가 구성이 가능하고, 인체를 보호할 수 있도록 단자보호커버가 일체형 구조로 되어 있는 장점이 있다. 또, 단
[첨단 헬로티] 케이지오토는 2007년 설립된 산업용 자동제어기기 제조업체로서, 최근 출시한 다색표시등을 비롯해 제어용 스위치, 싸인타워 등을 생산하고 있다. 이 회사는 고객과의 소통을 통해 고객이 요구하는 스펙과 편의성 등을 제품에 반영하여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함으로써 탄탄한 구매층을 만들어가고 있다. ▲ 케이지오토 김기덕 대표 Q. 주력사업 및 경쟁력은. A. 케이지오토는 산업용 자동제어기기 제조업체로서, 주요 생산 품목으로는 제어용 스위치, 리미트 스위치, 호이스트 스위치, 싸인타워 등이다. 향후 전문적인 기술력과 오랜 경험을 바탕으로 더 다양하고 뛰어난 품질의 제품들을 선보일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 Q. ‘SF+AW 2018’ 이후, 지난해 비즈니스 성과는 어떠했나. A. 2018년 오토메이션 월드는 국내의 다양한 공장자동화와 관련된 업체들이 많이 참가해 현재 진행 중인 스마트공장에 대하여 시장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는 전시회였다. 우리 또한 부스를 찾은 많은 바이어들에게 신제품을 소개할 수 있었고, 이로 인한 시장 진입이 원활해 매출 증대가 이루어졌다. Q. 올해 역점 사업과 영업 전략은. A. 케이지오토는 스위치 라인들을 유저
[첨단 헬로티] 온세미컨덕터가 에너지 하베스팅만으로 구동되는 블루투스 저전력 스위치(Bluetooth Low Energy Switch) 레퍼런스 설계를 공개했다. 이 플랫폼은 RSL10 SIP가 배터리 없이 자체 구동되는 블루투스 5 장치를 추가 에너지원이 없이도 구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사물인터넷(IoT) 분야의 초저전력 구동을 새로운 수준으로 끌어올렸다. 적용 사례로는 벽 및 조명 제어, 빌딩 자동화, 자산 추적 등이다. 에너지 하베스팅 블루투스 저전력 스위치는 고도로 통합된 초저전력 RSL10 시스템-인-패키지(SIP)와 독일의 ZF Friedrichshafen AG이 개발한 혁신적인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을 결합해 다양한 IoT 애플리케이션에 이상적인 플랫폼을 제공한다. 완벽하게 통합된 안테나와 RSL10 무선, 그리고 모든 패시브 구성요소를 갖춘 RSL10 SIP는 시스템 설계를 단순화하며 BOM(Bill of Materials)을 최소화한다. 이 스위치 레퍼런스 설계는 완전한 BOM, 회로도, PCB 레이아웃, 거버(Gerber) 파일뿐 아니라, 스위치 펌웨어 무료 사용도 함께 지원된다. 포함된 소스 코드는 애플리케이션 코드를 개발할 수
[첨단 헬로티] MDT는 200 나노암페어의 극히 적은 전력을 소모하는 나노암페어 터널링 자기저항(TMR) 스위치 센서 신제품 3종 TMR1362, TMR1262, TMR1362를 출시했다. 이 신제품들은 시장에 나와 있는 다른 저 전력 자기 센서와 비교했을 때 가장 낮은 전력 소모와 50Hz 전력 사이클 하에서의 빠른 반응 속도, 1.8에서 5.5V에 이르는 더 넓은 범위의 공급 전압, 섭씨 영하 40도에서 영상 125도에 이르는 엄청난 온도 안정성을 구현한다. 따라서 스마트 유량계, 근접 스위치, 액체 레벨 센서, 접속 스위치, 전기 완구와 기타 다수의 산업, 소비자 및 의료 애플리케이션 등 배터리로 구동하는 다양한 센서 애플리케이션에 이상적이다. MultiDimension Technology의 사장 겸 CEO 쉐송생 박사는 "MDT의 새로운 나노암페어 TMR 스위치 센서들은 고속으로 운용되는 상황에서도 훨씬 더 적은 전력을 소모하는 제품으로써 우리의 기존 제품 라인을 확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쉐송생 박사는 “2에서 10Hz 정도의 아주 낮은 주파수에서 기기의 전력 사이클을 맞춰야하기 때문에 극히 늦은 반응 속도를 보이기 마련이다
[첨단 헬로티] 세계적 기업 소코멕(SOCOMEC), 한국 전기 안전 드높인다! 정부는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을 발표하며, 재생에너지 확대를 예고했다. 재생에너지 공급율을 높이는 건 현재와 미래를 위해 반드시 수행해야할 과제다. 그리고 이 계획에 꼭 필요한 존재가 ESS다. 솔라라이트는 올해 새롭게 ‘BREED TYPE ESS’를 공개했다. 이 ESS는 용량이 다양하고, 수명도 길어 향후 ESS 선택의 폭을 넓힐 것으로 기대 받고 있다. 한국 시장 노크하는 세계적 기업, 소코멕(SOCOMEC) 알렉산더 즈베레프. 세계적으로 유명한 테니스 선수다. 페더러와 나달 사이에서 차세대 테니스를 이끌어갈 주역으로 많은 사랑을 받는 이 선수는 사실 한국에선 찬밥신세다. 아는 사람이 별로 없다. 테니스는 한국에서 비인기 스포츠이기 때문이다. 중국 여자 탁구선수 딩닝도 마찬가지다. 딩닝은 세계선수권 단식 3연패를 달성한 세계적으로 유명한 탁구선수지만 한국에서는 유명하지 않다. 탁구도 한국에선 인기가 없는 스포츠여서다. 아는 만큼 보인다. 관심을 가지는 만큼 보이기 마련이다. 페이스북 CEO 마크 주커버그나 스타벅스 전 회장 하워드 슐츠도 모르면 지
[첨단 헬로티] 발루프(Balluff)가 최근 비접촉 RFID 세이프 가드 잠금 스위치를 출시하면서 안전 제품 라인을 확장했다. 이 스위치는 비접촉식 코드 트랜스폰더 안전 기술과 기계식 솔레노이드 잠금 기능을 결합해 국제표준에서 요구하는 안전 수준을 충족시켰다. 그리고 발루프의 IO-Link 안전 I/O 모듈 또는 표준 8핀 M12 커넥터를 사용해 안전 컨트롤에 직접 연결할 수 있다. RFID 기술을 통해 제공되는 높은 코딩 수준은 센서와 액추에이터를 고유코드와 결합하며, EN ISO 14119표준에 따라 위변조 방지와 높은 수준의 코딩을 제공한다. 회전축과 캡슐 손잡이는 프로세스가 아래로 진행돼 중지될 때가지 닫힌 위치로 고정될 수 있다. 통합 안전 처리 전자장치와 OSSD 출력을 사용하면 PLe(ENISO13849)및 SIL3(IEC61508)등급이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할 수 있다. 발루프에 따르면, 이 스위치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의 요구사항을 충족하도록 설계뙜다. 이 스위치는 잠재적 위험으로부터 개인을 보호하거나 프로세스의 중단을 방지하기 위해 가드 도어와 안전 플랩을 조겅하고 안전하게 감시하는데 적합하다. 가드 잠금 장치는 프로세
[첨단 헬로티] 지콤이 3월 28일(수)부터 3월 30일(금)까지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스마트팩토리+오토메이션 월드 2018'에 참가해 독일 RAFI의 스위치, 푸쉬버튼, 컨트롤 컴포넌트, 시그널 램프 등을 선보였다. 1999년에 설립된 지콤은 PCB, 반도체 IC, 검사장비 소모품 등을 수입해왔으며 최근에는 고객의 니즈에 맞춰 특수윤활제, 스위치류 비즈니스를 확장시켜나가고 있다. 특히 참관객들의 관심을 받은 RAFI의 스위치 및 푸쉬버튼은 기계공학, 신호구성, 측정, 제어 기술 분야에서 사용하기에 이상적이며 환경적 영향에도 강하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주)첨단, 코엑스, 스마트공장추진단, 한국스마트제조산업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가 공동 주최하는 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18에선 국제공장자동화전(aimex), 한국머신비전산업전(Korea Vision Show), 스마트공장 엑스포(Smart Factory Expo)로 구성된다. 올해는 스마트공장 관련 융합기술을 한눈에 볼 수 있는 ‘특별관’과, 4차 산업혁명 관련 전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다양한 컨퍼런스와 세미나도 준비되어 최신 기술 정보를 얻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