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함수미 기자 |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수출 전망 조사 결과 이차전지, 자동차, 반도체, 선박, 자동차부품 등은 내년까지 수출 호조세 유지가 전망되는 반면 컴퓨터, 바이오·헬스 등은 올해 하반기에 수출 악화가 우려된다고 밝혔다. 전경련이 12개 증권사 리서치센터장들을 대상으로 15대 품목에 대한 수출 전망을 조사한 결과 수출 호조세가 유지될 것으로 전망되는 품목은 이차전지(22.0%), 자동차(13.6%), 반도체(12.0%), 선박(10.5%), 자동차 부품(9.4%) 순으로 조사됐다. 이들 품목의 수출 호조 지속 기간으로는 이차전지가 ‘2024년 이후’(40.0%), ‘2023년 하반기’(30.0%)로 수출 호조세가 가장 오래 지속될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글로벌 전기차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는 가운데 우리 기업들이 이미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어 주요 기업들의 해외 현지 진출 증가에도 불구하고 수출 호조세가 가장 오래 유지될 것으로 전망했다. 자동차와 자동차 부품은 ‘내년 하반기’까지라는 의견이 각각 62.5%, 57.1%로 조사됐으며 이는 기저효과, 코로나 이후 수요 회복, 전기차 시장 확대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의 수출 비중 1위인 반도체는
[헬로티] 한국경제연구원(이하 한경연)이 시장조사 전문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매출액 1000대 기업 중 12대 수출 주력 업종을 대상으로 '2021 하반기 수출 전망 조사'를 진행한 결과, 올해 하반기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2.3%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기업 수 기준으로는, 과반(55.2%)의 기업이 올해 하반기 수출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업종별로, ▲전기전자(감소 70.0%, 증가 30.0%) ▲자동차·자동차부품(63.0%, 37.0%) ▲바이오헬스(59.5%, 40.5%) ▲석유화학·석유제품(52.4%, 47.6%) 등은 수출 감소를 전망한 기업이 증가를 전망한 기업보다 많았고, ▲철강(46.2%, 53.8%) ▲일반기계·선박(31.8%, 68.2%) 등은 수출 증가를 전망한 기업이 감소를 전망한 기업보다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경연은 "하반기 수출 증가 기업보다 감소 기업이 더 많은 상황에서도 전체 수출이 증가한다는 것은 일부 업종과 기업이 전체 수출 증가세를 견인할 것이라는 의미"라며, "수출에서도 업종과 기업별로 실적이 갈리는 K자형 양극화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고 우려했다. 하반기 수출이 전년 동기 대비 감소할 것으로 전망한 기
[헬로티] 올해 반도체 시장 8~10%, 메모리 시장 13~20% 성장 예측 ▲산업통산자원부와 반도체협회가 '2020년 반도체 시장 동향 및 2021년 전망'을 발표했다. (이미지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가 지난해 반도체 수출이 여러 악조건에도 불구하고, 전년대비 5.6% 증가한 992억 달러를 달성하며 2018년의 1267억 수출 기록 이후 역대 두 번째로 높은 실적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반도체 수출은 팬데믹에 따른 글로벌 경기침체 상황에서도 회복세를 보이며 우리경제의 버팀목 역할을 담당한 것으로 평가된다. 모바일 분야의 수요는 비교적 부진했지만 비대면 경제 가속화에 따른 서버·노트북 분야 수요가 높은 수준을 유지하며 선방한 것으로 분석된다. 모바일 분야의 경우에도 5G 본격화, 중국 시장 스마트폰 점유율 확보 경쟁 등에 따라 하반기부터는 회복세를 보였다. 산업부에 따르면 시스템반도체 수출은 303억 달러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하며, 철강·석유제품을 넘어서(연간 기준) 5위 수출품목으로 도약했다. 비대면 경제 활성화에 따른 파운드리 위탁수요 확대, 5G 통신칩·이미지센서 등 제품의 수요 증가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