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김진희 기자 | 국내 기업들이 내년도 설비투자 규모를 올해보다 3.6% 늘릴 것으로 전망된다고 산업은행이 29일 밝혔다. 산은이 지난 10월 14일부터 이달 3일까지 국내 3천700개 대·중·소기업을 상대로 설비투자 실적 및 계획을 조사한 결과 내년도 국내 기업의 설비투자 계획은 186조9천억원으로, 올해(180조4천억원·잠정치)보다 6조5천억원(3.6%) 늘어날 것으로 예상됐다. 산은은 "제조업 경기 회복세 지속 및 민간 소비 회복 등으로 설비투자 증가세가 지속되는 것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업종별로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철강 업종 등이 설비투자를 주도할 것으로 전망됐다. 반도체는 미세공정 투자 확대로 올해(55조4천억원)보다 3.0% 늘어난 57조1천억원, 디스플레이는 차세대 디스플레이 전환 등으로 올해(8조7천억원)보다 35.8% 늘어난 11조8천억원이 투자될 것으로 분석됐다. 자동차와 운수 업종의 내년 설비투자는 각 7조7천억원, 13조3천억원으로 올해보다 6.3%, 17.2%씩 증가할 것으로 조사됐다.
헬로티 김진희 기자 | 제조업과 서비스업 생산이 모두 감소하면서 10월 전 산업생산이 1년 6개월만의 최대폭으로 감소했다. 대체공휴일에 따른 조업일수가 감소하고, 부품 수급에 차질이 생긴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통계청이 30일 발표한 ‘10월 산업활동동향’을 보면 지난달 전산업생산(농림어업 제외) 지수는 110.8(2015년=100)로 전월대비 1.9% 감소했다. 지난달 산업활동은 대체공휴일 영향이 크게 작용한 가운데 분기말 기저효과, 공급망 차질 등으로 생산·투자지표가 모두 감소했다. 통계청은 다만, 이달은 단계적 일상회복 등에 따른 내수여건 개선, 수출 호조, 지난달 낮은 기저영향 등으로 비교적 양호한 흐름을 예상했다. 전산업 생산은 올해 1월(-0.5%) 감소했지만 2월(2.0%), 3월(0.9%)에는 두 달 연속 오름세를 보였다. 4월(-1.3%)과 5월(-0.2%) 감소했다가 6월(1.6%) 증가세로 전환됐다. 이후 7월(-0.7%)과 8월(-0.1%) 두 달 연속 감소하다가 9월(1.1%) 3개월 만에 증가로 돌아섰지만 지난달 다시 내림세를 보였다. 어운선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전월 증가에 따른 기저효과, 지난달 대체 공휴일 지
헬로티 김진희 기자 | 정부가 국내 백신·원부자재 산업을 ‘제2의 반도체 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약 6조 3000억 원 규모의 민간 설비투자를 적극 지원한다. 또한 백신 위탁생산과 자체 생산 지원을 위해 올해 추경 예산으로 확보한 180억원을 활용하기로 하면서 최종 지원대상 기업 14개사를 선정했다. 김부겸 국무총리는 2일 ‘제2차 글로벌 백신 허브화 추진위원회’를 주재, 정부가 중점 추진 중인 ‘K-글로벌 백신 허브화’ 정책 추진상황을 점검하고 분야별 세부 계획을 논의했다. 한편 정부는 이날 회의에 앞서 사전행사로 백신 원부자재·장비 분야 글로벌 기업인 독일의 싸토리우스 사와 향후 3년간 인천 송도에 3억불을 투자하는 것을 주 내용으로 하는 MOU를 체결했다. 아울러 백신·원부자재 대·중소기업 상생협력 민관 공동 협약식과 글로벌 백신 허브화 조기 달성을 위한 10대 유관기관간 업무협약식도 함께 개최해 글로벌 백신 허브화의 조기 달성을 지원하기로 했다. 이날 정부는 투자 계획은 있으나 자금력이 부족한 백신·원부자재 기업을 대상으로 백신 위탁생산과 자체 생산 지원을 위해 추경 예산으로 확보한 180억원을 활용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최종 지원대상 기업 14개
헬로티 김진희 기자 | 지난달 산업생산이 1.3% 증가하면서 3개월 만에 증가세로 돌아섰다. 소비도 2.5% 증가해 6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늘었다. 서비스업 호조세가 전체 산업생산 지수를 끌어올리고, 소비 개선도 회복 흐름에 한몫했다. 통계청이 29일 발표한 9월 산업활동동향을 보면 지난달 전산업생산(농림어업 제외) 지수는 113.1(2015년=100)로 지난달보다 1.3%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전산업생산은 1월(-0.5%) 감소했다가 2월(2.0%)과 3월(0.9%)에는 증가한 뒤 4월 다시 -1.3%로 떨어졌다. 이어 5월에는 보합세를 나타냈고, 6월에 1.6%로 증가로 전환했으나 7~8월에는 각각 -0.7%, -0.2%로 2개월 연속 감소했다. 광공업은 기계장비(3.6%) 등에서 생산이 늘었으나, 자동차(-9.8%), 전기장비(-5.2%) 등에서 생산이 줄어 지난달보다 0.8% 감소했다. 제조업 평균가동률은 73.5%로 지난달보다 0.6%p 하락했고 제조업 재고는 지난달보다 1.2%, 출하는 0.2% 증가했으며 제조업 재고/출하 비율(재고율)은 113.2%로 지난달보다 1.1%p 상승했다. 서비스업 생산은 금융·보험(-0.6%) 등에서 줄었으나
헬로티 김진희 기자 | 올해 상반기 대기업들의 투자가 작년보다 3조6천억원 이상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코로나19 이후 반도체와 제약·유통 기업들이 작년보다 투자를 늘린 영향이라는 분석이다. 그러나 전체로 볼 때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제외하면 작년보다 오히려 투자가 감소했고, 업종별·기업별 양극화도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기업평가사이트 CEO스코어와 연합뉴스가 국내 500대 기업 중 반기보고서를 제출한 332개 기업을 조사한 결과 올해 상반기 이들 기업의 총 투자액(유·무형자산 취득)은 82조8천102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작년 상반기(79조1천623억원)보다 4.6%(3조6천479억원) 늘어난 것이면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상반기 대비 12.6%(9조2천396억원) 증가한 수치다. 업종별로는 IT전기전자의 투자액이 지난해 상반기 30조6천123억원에서 올해 상반기 37조8천25억원으로 23.5%(7조1천902억원) 늘었다. 글로벌 반도체 시장의 호황으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시설 투자를 대폭 확대한 영향이 크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상반기(19조8천213억원)보다 26.7%(5조2천936억원) 늘어난
헬로티 서재창 기자 | 5G 가입자의 증가와 함께 통신 3사 실적이 매 분기 급등하고 있다. 비대면 추세 확산과 기업간거래(B2B) 중심의 신사업까지 성장하면서 3사 합산 영업이익은 2분기 연속 1조 원을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마케팅 및 설비 투자 비용까지 감소세여서 앞으로도 이런 호실적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11일 통신 업계에 따르면 KT와 LG유플러스는 2분기 각각 4758억 원, 2684억 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KT는 2분기 연속 4000억 원대 영업익이고, LG유플러스도 전분기 역대 최고 실적에 이어 이번 분기에도 이에 근접한 실적을 남겼다. 이날 실적을 발표할 예정인 SK텔레콤 역시 4050억 원 수준의 영업익이 예상되어, 이들 3사를 모두 합친 영업익이 1조1500억 원에 육박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1분기 3사가 합산 영업익 1조1086억 원을 기록해 14분기 만에 1조 원을 넘긴 것을 뛰어넘는 결과다. 업체별로 2분기 실적을 살펴보면 KT는 B2B 사업에서 기업회선 및 인공지능(AI)·디지털전환(DX) 사업의 매출 증가세가 이어졌다. 기업회선 매출은 기업의 비대면 업무 확대 등으로 트래픽이 증가하면서 전년 동기 대비 4%
헬로티 김진희 기자 | 우리나라의 6월 전산업생산은 제조업과 서비스업 생산이 늘고, 소비도 반등하면서 4개월 만에 가장 많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는 증가세로 돌아섰지만, 투자는 2개월 연속 내림세를 지속했다. 다만 코로나 4차 확산·거리두기 강화 등에 따른 소비자·기업 심리 위축 등으로 소비 등 내수부문 영향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통계청이 30일 발표한 ‘6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전산업생산지수(계절조정·농림어업 제외)는 112.9(2015=100)로 2000년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높고, 증가 폭 역시 지난 2월(2.0%) 이후 가장 크다. 전산업생산은 올해 1월(-0.5%) 감소했지만 2월(2.0), 3월(0.9%)에는 두 달 연속 오름세를 보였다. 4월(-1.3%) 감소했다가 5월(0.0%) 보합에 이어 지난달 다시 증가세로 전환됐다. 광공업 생산은 통신·방송장비(-8.9%) 등에서 생산이 줄었으나 반도체(8.6%) 자동차(6.4%) 등에서 생산이 늘면서 전월보다 2.2% 증가하며 4개월 만에 오름세를 보였다. 제조업 생산은 통신·방송장비, 기타운송장비에서 줄었으나 반도체, 자동차 등이 늘어 전월보다 2.3% 증가했다. 생산능력 대비
[헬로티] 최근 10년 간 한국, 중국, 일본의 설비투자 동향에서 한국의 설비투자 증가율이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그에 반해 해외직접투자 증가율은 가장 높았다. 전경련이 최근 10년 간 한국, 중국, 일본의 국내 설비투자와 해외직접투자 동향을 비교․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국내 설비투자 연평균 증가율은 한국 2.5%, 중국 4.3%, 일본 3.9%로 한국의 설비투자 증가율이 가장 저조했다. 반면, 같은 기간 해외직접투자 연평균 증가율은 한국 7.1%, 중국 6.6%, 일본 5.2%로 한국이 가장 높았다. 전경련 측은 지난 10년 동안 한국의 설비투자 증가율이 중국, 일본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진했던 것을 “중국이 헬스케어․전자상거래 등 신성장분야 투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일본이 기업 감세정책과 적극적 산업정책으로 민간 혁신투자가 활발했던 반면, 한국은 반도체 외 신성장동력에 대한 투자가 저조했던 결과”라고 분석했다. 2018년부터 미중 무역전쟁으로 촉발된 국내외 경기 악화, 일부 산업 구조조정 지연에 따른 비효율성 지속과 이에 따른 기업 투자여력 축소 등의 영향으로 한국의 설비투자 증가율이 2018년, 2019년 마이너스로 전환함에 따라 민간부문 투
[헬로티]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중국에 진출한 한국 제조 기업들의 1분기 매출 현황이 2분기 연속 하락했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산업연구원과 대한상공회의소 북경사무소 및 중국한국상회가 공동으로, 중국에 진출해 있는 한국 기업들을 대상으로 제 25차 정기 설문 조사를 수행했다고 밝혔다. 조사에서는 총 7개 업종의 212개 기업이 경영실적, 판매, 비용, 경영환경, 애로요인 등에 대해 응답했다. 조사 결과에 사용된 경기실사지수(BSI) 지수는 200을 기준으로 100을 초과 시 긍정적으로 응답한 업체 수가 많음을, 100 미만이면 그 반대를 의미한다. ▲전체 기업의 시황 및 매출 현황 BSI 추이. (출처 : 산업연구원) 전체 기업들의 2021년 1분기 현황 BSI 지수는 시황(89)이 4분기 만에 하락세를 보이고, 매출(84)도 전분기에 이어 추가 하락했다. 현지판매(86)가 전분기보다 감소한 반면에, 설비투자(104)는 3분기 연속 100을 상회, 영업환경(77)은 전분기 대비 하락을 지속했다. 경영애로사항으로 현지수요 부진(22.6%) 응답은 감소하고, 수출 부진(17%) 응답이 증가, 원자재 문제(11.8%)는 전분기보다 증가했다. 전체 기업들
[헬로티] 산은 분석…"내년 설비투자 소폭 증가 예상"... 올해 자동차·석유화학, 9%이상 감소…건설·부동산 29%↑ 올해 국내 기업의 설비투자 규모는 작년보다 1.1% 줄어든 164조4천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따른 세계적 경기 침체로 산업 전반에서 설비 투자가 위축된 가운데 반도체 등 일부 비대면 수혜 업종만 작년보다 설비 투자가 늘었다. 내년 국내 기업들은 올해보다 약간 많지만 작년 실적(166조2천억원)에는 다소 못 미치는 165조7천억원을 설비 투자에 쓸 계획이다. 산업은행이 22일 공개한 '2020년 하반기 설비투자 계획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기업의 올해 설비투자 잠정 집행액은 작년보다 1조8천억원 줄어 164조4천억원을 기록했다. 업종별로 보면 자동차와 석유화학, 제조업 기타 부문에서 작년보다 9.5%, 9.6%, 9.8%씩 설비 투자가 줄었다. 비제조업에서도 전기·가스, 기타(숙박·음식업 등) 업종에 속하는 기업의 투자가 9.9%, 26.7%씩 감소했다. 운수업의 경우 항공운송업 투자가 크게 줄었지만, 수상운송업
[첨단 헬로티] 반도체·디스플레이 등 전자부품 중심의 설비투자 편중 여전히 높다...신성장 동력 분야 발굴해야 산업은행이 국내 3,700개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비투자계획 조사결과, 2019년 잠정실적은 2018년 167.7조원 대비 1.4% 감소한 165.3조원, 2020년 전망은 전년대비 2.2% 증가한 169.0조원으로 조사되어 3년만에 증가세로 전환되었다. 이는 그간 설비투자 감소에 따른 기저효과와 국내외 경기가 다소 나아질 것이라는 주요기관의 전망 속에 향후 기업들이 설비투자를 증가시킬 것이라는 것을 예상할 수 있으나, 추세적인 상승으로 이어질지는 시간을 두고 관찰할 필요가 있다. 전기차, 수소차 등 미래형 자동차 개발과 신재생에너지와 관련한 투자, 석유화학업계의 원료 다변화를 위한 설비투자 증가가 주요 산업별 상승요인으로 예상되며, 반도체의 경우 2020년에는 메모리 가격의 하락세 진정과 비메모리 반도체 투자추진, 5G서비스 확대 등으로 전년 수준의 설비투자가 진행될 전망이다. 또한, 디스플레이의 경우 중국의 LCD 공급과잉으로 인한 가격조정으로 그간 설비투자 규모 감소하였으나, QD-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등 신제품 생산을
[첨단 헬로티] 반도체, 자동차, 화학제품, 기계장비, 1차 금속 등은 2년 연속 설비투자 감소할 전망 2019년 국내 기업의 설비투자는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축소세가 예상되며 설비투자규모는 170조원으로 전망됐다. 2018년 설비투자액은 2017년 대비 4.4% 감소한 181.5조원이었다. 2018년 설비투자액은 상반기 조사 계획치인 197.8조원 대비 91.8% 수준에 그쳤다. KDB 산업은행은 매년 상반기와 하반기 두차례 ‘설비투자계획조사’ 보고서를 발표하고 있다. 이번 조사의 대상은 대기업 849개, 중견기업 1066개, 중소기업 1,785개 등 3,700개 기업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기업규모별 2019년 설비투자액은 대기업이 143.7조원, 중견기업 12.5조원, 중소기업 13.8조원으로 집계됐다. 대기업은 2018년의 3.7% 감소에 이어 2019년에도 0.9% 감소할 것으로 조사됐다. 중견기업은 2018년 1.1% 소폭 증가에서 2019년에는 전년 대비 31.3% 크게 감소할 전망이다. 중소기업 역시 2018년 14.1% 감소에 이어 2019년에도 24.6% 줄어들 것으로 조사됐다. 전 업종에서 중견기업과 중소기업의 설
[첨단 헬로티] 설비투자 제한적인 증가세 예상...대외 불확실성과 대내 구조적 취약성 등의 영향 2019년 국내경제는 수출과 투자가 글로벌 경기 둔화 등의 영향으로 소폭 증가에 그치고, 소비가 전년대비 둔화세를 보이면서 2018년보다 약간 낮은 2.6%의 성장률이 예상되고 있다. 설비투자는 대외 불확실성과 대내 구조적 취약성 등의 영향으로 인해 제한적인 증가세가 예상된다. 2019년 수출은 세계경기 성장세 둔화로 인해 수출물량이 소폭 증가에 그치고, 반도체 가격 하락과 국제유가의 횡보 전망 등으로 수출단가도 하락 압력이 커지면서 연간 증가율이 2018년보다 낮은 3.7% 전망된다. 수입은 유가 상승폭 둔화에 따른 에너지 자원의 수입 증가세 둔화와 국내경기 성장세 약화 등으로 연간 증가율이 4%대 중반 수준이 예상되면서, 수출보다는 수입이 약간 더 높은 증가율을 기록하면서 무역수지 흑자 규모는 2018년보다 다소 줄어들 전망이다. 표1. 2019년 산업전망 기상도 수출, 증가폭 둔화하여 3.6% 증가에 그칠듯 13대 주력산업의 2019년 수출은 선진권의 경기 둔화와 개도권의 성장 정체가 예상되는 가운데 보호무역주의 강화, 국제유가 횡보에 따른 수출단가 상승폭
2018년 전기산업…신재생에너지 생산 수요 증가속, 보호무역주의 확산 움직임 우려 2018년 국내 생산규모는 2.7% 증가한 40.7조원으로 전망된다. 2017년 수출 분야 기저효과와 설비투자 개선 효과 그리고 세계 경기 및 내수 회복 국면으로 신재생에너지 생산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보이지만, 건설투자 경기의 급랭 및 수출 리스크, 경제 심리의 비관론 등 다양한 리스크가 존재한다. 2018년 수출은 3.5% 증가한 129.5억불로 전망되는 가운데, 세계 경기의 회복세로 글로벌 수입 수요 확대와 국가 유가 상승으로 신흥국 중심으로 중동 및 남미 자원부국의 인프라 투자가 확대되는 반면 미국, 유럽 등 선진국의 통화긴축 기조, 대중국 교역여건 악화 등 불확실한 수출 여건이 조성되어 있다. 미국 등 일부 동남아 국가의 보호무역주의 확산 움직임 등 부정적 요인도 산재하고 있다. 2018년 수입은 2.8% 증가한 118.5억불로 전망되며 설비투자 증가 및 연관 산업의 수출 개선으로 증가할 전망이고 수출경기 회복세로 중간재 부품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2018년 무역수지는 11억불로 흑자 기조를 유지할 전망이다. <자료: 한국전기산업진흥회>
[첨단 헬로티] 2017년 수출이 전년 대비 15.8% 증가한 5739억 달러를 기록, 1956년 무역통계 작성 이래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특히 반도체는 단일품목 사상 최초로 연간 수출액 900억 달러를 돌파하며 974억 4천만 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1994년 우리나라 총 수출액인 960억 1천 달러를 넘는 기록이다. 수입은 17.7% 증가한 4781억 달러였으며, 무역수지는 958억 달러 흑자였다. 반도체는 메모리 수요 증가와 가격 상승세로 전년 대비 57.4% 증가했다. 석유제품·석유화학은 유가 상승에 따른 단가 상승, 신증설 설비 가동에 따른 생산 확대 등으로 각각 31.7%, 23.5% 늘었다. 선박은 2016년 기저효과와 10억 달러 이상 고가의 해양플랜트 수출 등으로 23.6% 증가했다. 철강은 단가 상승과 고부가 철강재의 수출 증가, 해양플랜트용 철 구조물 수출 확대 등으로 20% 늘었다. 일반기계는 주요국의 건설경기 회복과 신흥국 설비투자 확대로 10.2% 증가한 486억 6천만 달러였다. 이는 반도체에 이어 수출 2위 기록이다. 컴퓨터는 차세대저장장치(SSD) 수요 확대로 9.6% 증가했다. 디스플레이는 국내기업의 해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