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조상록 기자 | 글로벌 반도체 칩 부족 현상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칩 주문 후 최종 인도까지 대기시간(리드타임)이 18주에 달하는 것으로 분석됐다고 블룸버그통신이 6월 23일 보도했다. 서스퀘하나 파이낸셜 그룹에 따르면 반도체 칩 주문에서 인도까지 걸리는 시간인 리드타임이 지난달 18주에 달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4월보다 7일가량 늘어난 것으로, 이 업체가 집계를 시작한 2017년 이후 최장 기록이다. 종전 2018년 최장 기록과 비교하면 4주 이상 늘어난 수준이다. 반도체 종류별로 보면 전력 흐름을 통제하는 전력관리 칩의 리드타임은 25.6주로 4월보다 약 2주가량 늘어났다. CNBC는 리드타임의 장기화는 최근 칩 부족으로 패닉에 빠진 수요자들이 너무 많은 물량을 주문하면서 향후 공급과잉의 신호가 될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헬로티] 대 정부 보고서에서 주장…철거시한 당초 2027년에서 2년 단축 주문 영국 의회가 오는 2027년까지 중국 통신장비업체인 화웨이 장비를 5G(5세대) 통신망에서 전면 퇴출하는 방안을 당초 계획보다 2년 앞당겨 마무리할 것을 정부에 요청했다. 블룸버그통신은 8일(현지시간) 이날 나온 영국 하원 국방위원회의 '5G 통신망 보안 보고서'를 인용해 이같이 보도했다. 보고서는 동맹국들이 중국의 위협에 대비해 보다 신속한 화웨이 장비 철거를 요구한다면 정부는 2025년까지 철거를 완료하는 방안의 타당성과 경제적 실행 가능 여부를 검토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 화웨이 장비 조기 철거가 통신 서비스 사업자와 경제 전반에 걸쳐 비용 부담을 늘릴 수 있지만, 현재의 국제적 긴장 상황은 정부의 선택을 강하게 요구하고 있다고 이 보고서는 전했다. 아울러 보고서는 정부가 주요 경제 영역에서 중국의 비중을 보다 면밀히 들여다보는 한편 외교적 긴장이 심화하면 적극적으로 개입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사진. 화웨이 5G통신망 퇴출 밝히는 영국 문화장관(출처: EPA=연합뉴스 자료사진) 앞서 지난 7월 영국 정부는 미국의 화웨이 제재 방침에 따라 이동통신사들이 화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