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서재창 기자 | 중국 정부의 '반도체 굴기' 정책 등에 힘입어 증가세를 보이던 중국의 반도체 생산량이 두 달 연속으로 하락했다. 홍콩의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16일 중국 국가통계국 발표 자료를 인용해 "중국의 반도체 생산량이 10월에 다시 하락했다"며, "이는 세계 반도체 공급 부족 사태 속에 병목현상이 일어나는 신호"라고 해석했다. 중국 국가통계국이 전날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중국의 10월 반도체 집적회로 생산량은 지난 9월의 304억 개보다 줄어든 301억 개에 그쳤다. 중국의 반도체 칩 생산량은 지난 8월 321억 개로 고점을 찍은 뒤 두 달 연속으로 줄어들었다. 물론 중국의 10월 반도체 칩 생산량은 작년 동기 대비 22.2% 증가한 수치다. 중국 국가통계국은 반도체 칩 생산량 감소에 관한 구체적인 통계나 원인에 대해 밝히지 않았다. 전문가들은 공급망 병목현상으로 파운드리 능력을 키우려는 중국 정부의 시도가 차질을 빚은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반도체 자립을 국가의 주요 정책 목표로 세운 중국 정부는 세제 지원 보조금 지급 등의 형태로 반도체 분야를 측면 지원하고 있다. 이에 중국 정부의 반도체 산업 육성에 올인하는 정책에 힘입어
헬로티 이동재 기자 | 엔비디아가 오는 27일 ‘엔비디아 AI 개발자 밋업’을 진행한다. 엔비디아는 본 행사에서 '엔비디아 멀린(Merlin)' 추천 시스템 프레임워크에 대한 소개 및 분야별 활용사례를 공유한다. 맞춤형 검색 기능을 가능하게 하는 추천 알고리즘은 수억 명에 달하는 개인 인터넷 이용자들이 구매하고 싶은 콘텐츠를 찾을 수 있도록 해준다.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한 맞춤형 추천 시스템은 넷플릭스, 아마존, 페이스북, 바이두, 알리바바와 같은 인터넷 기업이 성공할 수 있었던 결정적 요소지만, 모든 추천 시스템이 이에 필요한 데이터를 잘 처리하지는 못하므로, 훈련 속도가 저하되고 사용자의 편안한 인터넷 경험이 저해되는 문제가 있다. 엔비디아는 기업에서 스마트한 추천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도록 AI 기반 추천 시스템인 멀린 프레임워크를 오픈 소스로 제공하고 있다. 사용하기 쉬운 API로 되어 있으며, GPU 가속 추천 시스템의 수집, 훈련, 배포를 위한 엔드-투-엔드 파이프라인을 통해 GPU 가속 추천 시스템을 보다 쉽게 적용할 수 있는 기업용 딥 러닝 추천 시스템 프레임워크다. 미디어, 엔터테인먼트, 온라인 상품 판매업 등 다양한 분야의 업체들이 GPU
헬로티 서재창 기자 | 바이두가 자율주행 택시 애플리케이션(앱) 사업 계획을 공개했다. 지난 18일 중국증권망 등 매체들에 따르면, 리옌훙(李彦宏) 바이두 회장은 이날 개최한 '바이두 세계대회 2021'에서 자율주행차 택시 서비스 플랫폼 '뤄보콰이파오'(萝卜快跑)를 소개했다. 바이두가 개발한 자율주행차 '아폴로'를 활용한 이 서비스는 도로에서 뤄보콰이파오 표시를 한 아폴로 차량을 발견하면 앱으로 예약해 탈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아폴로 차량은 최근 2년간 베이징(北京), 광저우(廣州) 등 4개 도시에서 시범적으로 승객을 실어 날랐다. 올해 상반기까지 40만 명 이상을 태웠으며, 시범주행 누적거리는 1400만km에 달했다고 바이두는 밝혔다. 아폴로의 자율주행 관련 특허 건 수는 2900건이 넘는다고 소개했다. 리 회장은 앞으로 3년 안에 30개 도시에서 자율주행차 택시 서비스가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와 함께 바이두는 개발 중인 '아폴로 자동차 로봇' 개념을 이날 처음 제시했다. 이는 중국 정부가 설정한 자율주행의 최고등급인 'L5' 기능을 갖춰 사람이 운전하는 것 이상의 안전성을 담보하고, 음성과 안면 인식 등 기능을 탑재해 사용자의 잠재적
[첨단 헬로티] 자일링스(Xilinx)는 자동 주차 대행(AVP: Automated Valet Parking) 시스템을 위한 바이두(Baidu)의 프로덕션-레디 ACU(Apollo Computing Unit) 첨단 플랫폼에 자일링스 자동차 등급(XA: Xilinx Automotive) 징크 울트라스케일+(Zynq UltraScale+) MPSoC(XAZU5EV)가 채택됐다고 밝혔다. ACU는 자율 주행을 위한 바이두의 차량 내 첨단 플랫폼으로, 첨단 ACU는 XA 징크 울트라스케일+ MPSoC로 구현된 최초의 프로덕션-레디 AVP 컨트롤러다. 복잡한 주행 환경을 처리할 수 있는 정교하고 강력한 딥러닝 추론이 요구되는 자동 주차 대행의 특정 시나리오와 기능을 위해 설계된 AVP용 프로덕션-레디 ACU 첨단 플랫폼은 개념 검증에 사용된 GPU 대신, 센서 융합 및 AI 프로세싱을 위해 XA 징크 울트라스케일+ MPSoC를 적용했다. 이 플랫폼은 바이두의 딥러닝 프레임 워크인 ‘패들패들(PaddlePaddle)’과 완벽하게 호환되며, 5대의 카메라와 12개의 초음파 레이더, -40℃ ~ 85℃에 이르는 동작온도 범위를 지원함에 따라 자동차 레
[첨단 헬로티] 삼성전자가 중국의 대형 인터넷 검색엔진 기업 바이두(Baidu)의 14나노 공정 기반 AI 칩 ‘쿤룬(KUNLUN)’을 2020년 초에 양산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삼성전자와 바이두의 첫 파운드리 협력으로 삼성전자는 클라우드, 엣지컴퓨팅 등에 활용될 수 있는 AI 칩까지 파운드리 사업의 영역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특히 양사는 이번 제품의 개발부터 생산까지 긴밀하게 협조했다. ▲바이두(Baidu)의 14나노 공정 기반 AI 칩 ‘쿤룬(KUNLUN)’ 바이두의 ‘KUNLUN(818-300, 818-100)’은 클라우드부터 엣지컴퓨팅까지 다양한 분야의 AI에 활용될 수 있는 인공지능 칩으로, 바이두의 자체 아키텍처 ‘XPU’와 삼성전자의 14나노 공정, I-Cube(Interposer-Cube) 패키징 기술을 적용해 고성능을 구현한 제품이다. ※ KUNLUN : 512GBps 대역폭, 260TOPS(Tera Operations Per Second, 150W) 구현 삼성전자는 HPC(High Performance Computing)에 최적화된 파운드리 솔루션을 적용
[첨단 헬로티] CES 아시아 2019가 이달 13일 막을 내렸다. 올해로 5회째를 맞은 CES 아시아 2019에는 7개 국가의 115개의 스타트업을 포함해 전체 기술 생태계 분야에서 550개 이상의 기업들이 참여했다. 우리나라를 비롯해 일본, 미국에서는 이번 전시회에 전년 대비 두 배 이상의 기업들이 참여했다. 또한, 24개 이상의 기업들이 스위스를 대표해 행사에 참여했다. 각국의 참여가 높아지면서 CES 아시아 2019는 지난해 대비 약 14% 증가한 역대 최대 전시 규모로 진행 됐으며, 아시아 지역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기술 행사이자 아시아 시장에서의 급격한 혁신의 속도를 경험할 수 있는 공간으로 입지를 공고히 했다. 게리 샤피로(Gary Shapiro) CTA 회장 겸 CEO 는 “우리는 CES 아시아 2019에서 산업간 융합을 확인했다”며, “전세계 기술 선도업체부터 패션, 여행 및 관광의 선두주자까지, 아시아에서의 기술 혁신이 빠른 속도로 가속화 되고 있고 전세계 새로운 파트너십과 성장에 박차를 가하고 있음이 분명해졌다”고 말했다. 브렌트 피터슨 (Brent Petersen) 뉴스킨 엔터프라이즈 (Nu S
[첨단 헬로티] 이달 11일 중국 상해에서 개막한 CES 아시아(CES Asia) 2019에 550개 이상의 기업이 참여해 5G, AI, 자동차 기술, 115개 이상의 스타트업 등 차세대 혁신 기술을 아시아 시장에 선보였다. 개막일에는 아우디, 화웨이, 현대의 임원들이 기조연설을 발표하고 전세계 기술 브랜드들이 주요 신제품들을 발표했다. 올해로 5회를 맞은 CES 아시아는 오는 13일까지 중국 상해 신국제엑스포센터(Shanghai New International Expo Centre; 이하 SNIEC)에서 개최된다. 게리 샤피로 CTA 회장 겸 CEO는 개막연설을 통해 “CES 아시아는 전체 소비자 기술 생태계를 아울러 보다 나은 미래를 그리는 지역 유일의 이벤트다. 전세계가 가파른 변화를 겪고 있는 가운데 CES 아시아는 미래에 대한 비전을 공유하고 단합하는 소중한 기회 중 하나”라고 강조했다. ▲ CES 아시아 2019에서 기조연설을 진행하고 있는 아우디의 토마스 오시안스키(Thomas Owsianski) (사진출처 : CES 아시아) 기조연설에서 주요 이슈 발표 올해 첫 기조연설 연사는 샤오 양(Shao Yang) 화웨이 컨수머 비
[첨단 헬로티] 엔비디아는 인공지능(AI) 딥 러닝, 머신 러닝 및 고성능 컴퓨팅(HPC)을 위한 업계 최고수준의 가속 서버 플랫폼인 엔비디아 HGX-2의 도입이 확대되고 있다고 밝혔다. 단일 노드에서 2 페타플롭(Petaflop)의 컴퓨팅 성능을 제공하는 엔비디아 HGX-2는 CPU 전용 서버 대비 AI 머신 러닝 워크로드를 550배, AI 딥 러닝 워크로드를 300배, 그리고 HPC 워크로드를 160배 빨리 실행할 수 있다. 글로벌 서버 기업들이 엔비디아 HGX-2의 획기적인 성능을 활용하고 있는 가운데, GTC(GPU Technology Conference) 차이나에서 새롭게 발표된 주요 기업은 다음과 같다. - 바이두(Baidu)와 텐센트(Tencent)는 조직 내부는 물론 클라우드 고객을 위한 광범위한 AI 서비스에 HGX-2를 사용하고 있다. - 인스퍼(Inspur)는 중국 최초로 HGX-2 서버를 구축했다. 인스퍼의 AI 슈퍼 서버 AGX-5는 AI, 딥 러닝 및 HPC의 성능 확장 문제를 해결하도록 설계됐다. - 화웨이(Huawei), 레노버(Lenovo), 수곤(Sugon)은 엔비디아 HGX-2 클라우드 서버 플랫폼의 파트너가 됐다고 발표했다
[첨단 헬로티] 온세미컨덕터가 바이두의 자율주행 플랫폼 아폴로(Apollo)에 합류한다. 양사는 이번 협력으로 온세미컨덕터의 고급 CMOS 이미지 센서를 기반으로 한 자융주행용 플러그 앤 플레이(plug-and-play) 호환 이미징 솔루션을 개발하게 된다. 아폴로는 안정적인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시스템을 제공해 자동차 시스템 설계자들이 보다 효율적인 자율주행 시스템을 개발하도록 지원하는 플랫폼이다. 온세미컨덕터의 이미지 센싱은 아폴로 플랫폼이 더욱 향상된 자율주행 기능을 제공하는 데 핵심 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온세미컨덕터의 3µm(마이크로미터) 기반 고급 CMOS 이미지 센서 제품은 고객이 자율주행용 비전 시스템 개발에 즉시 착수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할 뿐 아니라, 뛰어난 유연성으로 대규모 구축 시 쉽게 확장 가능하다. 또한, HDR(High-Dynamic Range)을 지원해 차량 환경과 매우 유사한 저조도 및 혼합 조명 환경에서도 선명하고 깨끗한 단일 이미지 및 영상을 제공한다. 온세미컨덕터와 바이두의 이번 협력으로 자동차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의 설계, 테스트 및 구현이 한층 간소화 및 가속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엔비디아가 ZF, 바이두와 함께 인공지능 자율주행 차량용 컴퓨터를 출시했다. [첨단 헬로티] 엔비디아가 글로벌 자동차 부품 기업 ZF 및 중국 최대 검색 엔진 기업인 바이두와 함께 세계 최대의 자동차 시장인 중국에 대량생산 가능한 인공지능 자율주행차 플랫폼을 개발 중이라고 발표했다. 엔비디아 CES 2018 기자간담회에서 엔비디아의 창립자 겸 CEO인 젠슨 황(Jensen Huang)은 이번 협업은 새로운 엔비디아 드라이브 자비에(NVIDIA DRIVE Xavier™), ZF의 새로운 ProAI 차량용 컴퓨터 및 대량 생산을 겨냥한 바이두의 자율주행 제품인 아폴로 파일럿(Apollo Pilot)을 기반으로 한다고 밝혔다. 젠슨 황 CEO는 “엔비디아와 바이두는 최근 몇 년 간 딥 러닝 및 인공지능 분야의 상당한 발전을 이뤄왔다”며 “이제 ZF와 함께 중국을 겨냥한 첫 인공지능 자율주행차 컴퓨팅 플랫폼을 개발했다”고 말했다. 세 기업은 전 세계 승용차 시장의 30%를 차지하는 거대 시장이자 엄청난 잠재력을 지닌 중국 시장에 독창적인 기술을 도입하기 위해 노력해왔다. 이번 분기에 공개되는 엔비디아 드라이브
[첨단 헬로티] 바이두가 AMD 기반의 AI, 빅데이터,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발표했다. 바이두는 AMD 에픽™(EPYC™) 프로세서 기반의 싱글 소켓 시스템을 통해 최적화된 대형 스토리지와 컴퓨트 서비스를 더욱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됐다. 오는 2018년 1분기를 시작으로 전 세계 바이두 데이터센터에 AMD 에픽 프로세서가 적용될 예정이다. 바이두 시스템 기술 부문 리우 챠우(Liu Chao) 수석 디렉터는 “AMD 에픽은 단일 프로세서 시스템 기반에서 탁월한 성능을 제공함으로써 자사의 데이터센터에 유연성과 고성능을 제공하는 플랫폼이다”라며, “바이두의 미션은 기술을 통해 복잡한 세계를 단순하게 만드는 데 있으며, 최첨단 기술, 혁신 및 솔루션을 각 사업 분야에 적용하고자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번 AMD 에픽 프로세서 적용을 통해 독보적인 에너지 효율성과 강력한 컴퓨팅 성능을 확보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AMD 엔터프라이즈 솔루션 사업부 총괄 스콧 에일러(Scott Aylor) 부사장은 “바이두는 데이터센터 혁신을 선도해온 대표적인 기업이다. A
[첨단 헬로티] IT 자문기관 가트너가 아태지역 10대 디지털 혁신 기업 발표다. 한국 ‘네이버’ 9위를 차지한 가운데, 텐센트, 알리바바, 바이두 등 중국 기업 8개사가 포진했으며, 일본은 재팬 야후가 8위에 올랐다. 가트너에 따르면, 아시아ㆍ태평양 지역 내 상위 디지털 혁신 기업은 글로벌 기업에 위협인 동시에 기회임에도 불구하고, 기업 최고정보책임자(CIO)는 이들 아태지역 디지털 혁신 기업에 큰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애널리스트들은 디지털 비즈니스를 구축ㆍ확장하고자 하는 CIO들이 이러한 아태지역의 상위 혁신 기업들을 최대한 조기에 발견ㆍ파악하고, 전략팀과의 논의를 통해 이들 디지털 공룡들과 협력할 것인지, 경쟁해야 할지 결단을 내려야 한다고 조언했다. 가트너는 오늘날 기업 80%가 2021년까지 혁신을 위한 경쟁에서 도태되거나, 자체적 혁신에 실패함으로써 시장 점유율의 약 10%를 잃을 것이라 예상했다. 가트너 애널리스트CK 루(CK Lu)는 “명확한 기회의 분류 내에서 이뤄지는 아태지역 디지털 혁신 기업들에 대한 철저한 조사 없이는 글로벌 IT 투자의 우선순위가 완전하지 못할 것”이라며 &ld
[첨단 헬로티] 중국 인터넷 기업 바이두가 자율주행차 기술 개발 업체들을 지원하기 위해 15억달러 규모의 펀드를 들고 나왔다. 앞으로 3년간 100여개 회사들을 지원한다는 목표다. 바이두는 그동안 인터넷 검색과 인공지능을 넘어 최근 몇년간 다양한 방법으로 자율주행차에 대한 투자를 늘려왔다. 바이두는 자율주행차 플랫폼 아폴로도 개발해, 올초 자동차 업체들이 무료로 쓸 수 있도록 개방했다. 바이두에 따르면 아폴로 관련 파트너들이 현재 70여개에 이른다. 현대자동차, 보쉬, 콘티넨탈, 엔비디아, 마이크로소프트 클라우드, 벨로다인, 톰톰, UCAR, 그랩 등을 포함하고 있다. 바이두는 중국과 미국에서 자율주행차 테스트도 진행중하고 있다. 바이두는 이번주 아폴로 업데이트도 공개했다. 업데이트를 통해 장애물 인지, 플래닝, 클라우드 시뮬레이션, 고화질 지도, 엔드투엔드 딥러닝과 같은 핵심 기능 5가지가 추가됐다.
[첨단 헬로티] 씨게이트 테크놀로지가 중국 최대 검색엔진인 바이두(Baidu)와 빅데이터 분석 및 스토리지 시스템 개발을 위해 손을 잡았다. 양사 협력은 2014년 9월에 체결된 기존 협정을 업데이트한 것이다. 양사 간 첫 협력 이후 바이두는 스토리지 제품이나 솔루션 선택시 씨게이트를 우선 고려했고, 씨게이트는 바이두에 제품 및 서비스 등을 빠르게 제공하고 전담 엔지니어 팀을 구성해왔다. 이번에 새로운 협력을 맺음에 따라 양사는 기술적 협력 및 관계가 확대돼 비즈니스 협력이 보다 공고히 지속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그 일환으로, 바이두는 씨게이트 스토리지 신제품을 중국에서 가장 먼저 도입할 예정이다. 또 자사 비즈니스에 필요한 맞춤형 시스템을 씨게이트와 공동 개발할 계획이다. 비즈니스에 소요되는 제품 구매 모델 역시 양사 모두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방향으로 발전될 예정이라고 씨게이트는 설명했다. 시장 조사 업체 IDC에 따르면, 2025년에는 글로벌 전체 데이터양이 2016년에 생성된 16.1ZB의 10배에 달하는 163ZB로 늘어날 전망이다. 전체 데이터 중 20%는 일상생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데이터로 구성될 것으로 예상된다.
[첨단 헬로티] 마이크로소프트와 바이두는 자율주행 관련 기술을 개발하고 전세계에 이를 적용하기 위해 협력할 계획이라고 19일 발표했다. 바이두가 자사 자율주행차 플랫폼인 아폴로 생태계 확산을 위해 출범시킨 아폴로 얼라이언스에 참여하고 있는 마이크로소프트는 중국 이외 지역에서 아폴로 멤버 기업들에게 자사 애저 클라우드를 공급할 예정이다. 케빈 댈러스 마이크로소프트 부사장은 "바이두와의 협력을 통해 자동차 제조사와 부품 공급사들이 자율주행의 미래를 개척할 수 있도록 큰 발걸음을 내 딛게 되어 기쁘게 생각한다"면서 "오늘날 차량은 데이터를 포착하는 능력에 관해서는 이미 상당한 수준에 올라 있다. 그 데이터에 마이크로소프트 글로벌 클라우드 AI, 머신 러닝과 딥 뉴럴 네트워크 관련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자율주행 차량을 보다 더 안전하게 만들기 위한 이미 진행중인 작업에 속도를 낼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매킨지에 의하면, 2030년에 판매될 신차의 최대 15%가 완전한 자율주행 기능을 갖추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다양한 업체들간 협력 생태계도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바이두는 지난 4월 자율주행 차량가 필요로 하는 다양한 속성과 기능을 지원하는 개방형 플랫폼을 슬로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