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함수미 기자 | 만희기전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에서 Safety 분야의 신제품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만희기전이 이번에 선보인 BALLUFF 사의 Safety over IO-Link는 IO-Link 마스터와 Safety Hub 연결로 자동화와 안전 기술의 통합산물이다. Light Curtain, EMO, Interlock 등 대부분의 안전장치가 연결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최대 PLe/SIL3 안전등급을 구현하며, 손쉬운 진단 및 디바이스 교체로 저비용 유지보수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Safety Hub 사용으로 IP 어드레스가 필요하지 않다. 만희기전의 장근영 과장은 “코로나19로 오랜만에 열린 전시회였기에 기대감과 동시에 걱정도 많이 했다. 방문자 수도 현저히 줄어들었을까 걱정했지만, 생각보다 많은 방문객이 찾아주셔서 성공적인 전시회였다고 생각한다”라고 밝혔다. 또한 장근영 과장은 만희기전이 새롭게 주력할 Safety 관련 신
헬로티 함수미 기자 | 만희기전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Factory+AutomationWorld 2021)’에서 안전시스템, Ewon 원격 접속 게이트웨이 등의 솔루션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만희기전이 이번에 선보인 BALLUFF 사의 Safety over IO-Link는 IO-Link 마스터와 Safety Hub 연결로 자동화와 안전 기술의 통합산물이다. Light Curtain, EMO, Interlock 등 대부분의 안전장치가 연결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최대 PLe/SIL3 안전등급을 구현하며, 손쉬운 진단 및 디바이스 교체로 저비용 유지보수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Safety Hub 사용으로 IP 어드레스가 필요하지 않다. Ewon 원격 접속 게이트웨이는 방수·방진이 되는 산업용 무선 제품으로 언제 어디서나 현장에 접근할 수 있다. 기계의 성능 모니터링, 수정, 고장 예방 감지가 가능한 제품이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헬로티 서재창 기자 | 만희기전은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만희기전은 SF+AW 2021에서 INXPECT 3D 안전용 레이더 시스템, Ewon 원격 접속 게이트웨이, B&Plus 600W 무선 충전 시스템 등의 솔루션을 선보인다. INXPECT 3D 안전용 레이더 시스템은 최초의 인증된 인체 측정형 레이더 안전 시스템으로서 위험 지역(로봇, 프레스 등)에서의 작업자 보호, 재동작 방지를 위해 제작됐다. Ewon 원격 접속 게이트웨이는 원격지에서 PCL에 접속해 기계의 성능 모니터링, 수정, 고장 예방 감지가 가능하며, 작업자가 현장에 있지 않아도 원격으로 통제할 수 있는 솔루션이다. B&Plus 600W 무선 충전 시스템은 다양한 전압에 맞는 배터리 충전 시스템으로, 표준 및 장거리 헤드 선택이 가능하다. 충전 중 다양한 오류를 LED에 표시하고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이외에도 재충전 기능, 과전류 및 과전압 보호 기능 등을 보유하고 있다. 만희기전은 1984
[첨단 헬로티] 공장 자동화 및 첨단화의 현재와 미래를 보여줄 ‘스마트팩토리+오토메이션월드 2019(이하 SF+AW 2019)’가 지난 27일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됐다. 만희기전은 SF+AW 2019에 참가해 30여 년간의 경험을 바탕으로 국내 시장에 최적화된 솔루션을 선보였다. 이번 전시회에서 만희기전은 자사의 계약을 맺은 브랜드의 제품들을 전시했다. 부스를 방문한 참관객은 BALLUFF의 초소형 광 센서, WAGO의 필드버스 시스템, DEHN의 서지보호기, PMA의 케이블 보호 시스템 등의 전시 품목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만희기전은 세계 유수의 전기 및 전자 기업과 국내 공급 계약을 맺어 제품을 판매하는 기업이다. 만희기전은 국내 산업 분야(F.A, O.A, H.a, 가전기기, 중전기기)에 각종 부품 공급, 해외 선진 기술 습득, 신제품 국내 보급과 더불어 국산화 개발에 전념하고 있다. 지난 1984년부터 만희기전은 유럽 모션컨트롤 및 공장 자동화 제품을 국내에 적극적으로 소개했다. 당시 한국 모션컨트롤 및 공장 자동화 기술력은 선진 국가에 비해 모자란 수준이었다. 그러나 만희기전을 필두로 국내 관련 업체가 세계 각국의 기술을 들여오
[첨단 헬로티] 중소제조업 스마트공장 구현의 주요이슈는 기술개발 및 투자여력 부족에 대한 해결 방안 모색과 스마트공장 기술에 대한 정확한 구현 및 성공적 성과창출 여부다. 제조혁신 3.0 패러다임의 실효적 추진을 위해서는 중소제조업의 가치사슬 수준에 기반을 둔 기술정책 추진의 전문성과 글로벌 기술동향 대비 핵심기술 개발의 우선순위에 의한 세부적 실천계획이 요구된다. 오는 10월 31일(화) 경남 창원컨벤션센터(CECO)에서 개최되는 '스마트팩토리를 활용한 중소제조업 생존전략 구축 세미나'가 국내 중소제조업의 생존전략에 대한 답을 제시한다. 경남권 중소제조업의 현상황을 진단하고 이에 대한 해결방안을 제시하는 동시에 중소제조기업들이 직접 활용할 수 있는 제조업 혁신 및 경쟁력 향상 솔루션들이 소개돼 구체적이면서 다양한 정보를 얻어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기조강연에서는 '스마트팩토리 구축을 위한 현 수준진단 및 중장기 전략수립 및 실행방안'과 '산업계의 현황 및 제조업의 미래 대응 - 스마트 제조에서의 Engineering의 역할', '중소기업 스마트 공장 문제점 및 성공 방안' 등을 통해 중소제조업의 현상황을 진단하고 해결방안을 제시한다. 이어지는 일반세
만희기전은 3월 29일부터 31까지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리는 Automation World 2017에 참가하여 자동화 센서, 커넥터, 케이블, RFID, 단자대 등을 선보였다. 만희기전은 1984년부터 유럽 모션컨트롤 및 공장자동화 제품을 국내에 적극적으로 소개해 왔다. 당시의 우리나라 모션컨트롤 및 공장자동화 기술력은 세계 수준에 비교하면 뒤처졌던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만희기전을 필두로 한 몇몇 업체가 세계 각국의 기술들을 들여오면서 국내 자동화 분야에 빛을 내리고 물을 뿌렸다. 이들 업체의 활약에 힘입어 국내 자동화 분야는 기술력 성장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었다. (주)첨단, 코엑스,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공동 주최로 3월 29일부터 3일간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오토메이션 월드 2017은 국제공장자동화전(aimex), 한국머신비전산업전(Korea Vision Show)으로 구성된다. 올해는 스마트공장 관련 융합기술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스마트공장엑스포 2017’도 동시 개최되며, 스마트공장 관련 전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다양한 컨퍼런스와 세미나도 준비되어 최신 기술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김정아 기자 (prmoed@hellot.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