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서재창 기자 | 엔비디아가 자사의 파트너사인 델, 후지쯔, 기가바이트, 인스퍼, 레노버, 네트릭스, 슈퍼마이크로가 A100 텐서 코어 GPU를 통해 MLPerf 벤치마크 테스트에서 업계 최고의 결과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번 벤치마크 테스트에서 8개의 워크로드를 모두 실행한 기업은 엔비디아 및 엔비디아의 파트너사뿐이었으며, 제출한 작업물은 전체 제출물의 4분의 3이상을 차지했다. 또한, 작년에 보여준 테스트 점수와 대비해 최대 3.5배 이상 더 뛰어난 성능을 보였다. 엔비디아는 가장 많은 성능이 필요한 대규모 작업을 위해 테스트 제출물 중에서 가장 많은 4096개의 GPU을 사용해 리소스를 모았다. 2018년 5월에 설립된 MLPerf 훈련 테스트에 엔비디아는 네 번째로 참여했으며, 가장 강력한 성능을 기록했다. MLPerf는 사용자가 테스트 결과를 토대로 구매를 결정하도록 도와준다. 벤치마크는 컴퓨터 비전, 자연어 처리, 추천 시스템, 강화 학습과 같이, 현재 가장 인기있는 AI 워크로드와 시나리오를 측정한다. 또한, 알리바바, 암, 바이두, 구글, 인텔, 엔비디아 등의 수십 개의 선도업계가 지원해 투명하고 객관적인 테스트를 제공한다. 이는 사용자들
[헬로티] 한국 델 테크놀로지스(Dell Technologies)는 오늘 성능과 보안을 대폭 강화한 15세대 ‘델 EMC 파워엣지(Dell EMC PowerEdge)’ 서버 포트폴리오를 발표했다. 신제품은 17종이다. 3세대 AMD 에픽(EPYC) 프로세서를 탑재한 ‘파워엣지 R6515’는 빅데이터 하둡(Hadoop)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 처리 기능을 최대 60%까지 향상시킨다. 향후 3세대 인텔 제온 스케일러블 프로세서를 탑재할 ‘파워엣지 R750’은 대규모의 선형 병렬 처리 시 최대 43% 더 빠른 성능을 제공하며, 컴퓨팅 집약적인 워크로드를 효과적으로 지원한다. 파워엣지 서버는 이전 세대 대비 2배 이상의 처리량을 지원하는 PCIe Gen 4.0과 더불어 서버 당 최대 6개의 가속기를 탑재해 고난이도의 데이터 집약적인 워크로드를 지원한다. AI에 최적화된 파워엣지 포트폴리오와 자율 운영 인텔리전스가 결합해, 비즈니스 요구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다. ‘파워엣지 XE8545’ 서버는 ‘AI 및 데이터 분석을 위한 HPC 레디 솔루션’의 핵심 하드웨어
[헬로티] 한국 델 테크놀로지스(이하 델)가 급증하고 있는 비정형 데이터를 위치나 규모, 종류에 상관없이 손쉽게 관리하고, 데이터의 잠재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델 EMC 파워스케일(Dell EMC PowerScale)’ 스토리지를 출시했다. ‘델 EMC 파워스케일’ 스토리지는 코어(중앙 데이터센터)와 퍼블릭 클라우드 뿐 아니라 수많은 위치에 분산된 엣지(Edge) 환경의 파일 및 오브젝트 데이터들을 통합해 관리할 수 있다. ▲델 EMC 파워스케일 스토리지 운영체제인 ‘델 EMC 원FS’에는 업계를 선도하는 데이터 절감 기술과 함께 S3 오브젝트에 대한 접근 및 앤서블(Ansible)과 쿠버네티스(Kubernetes)를 지원하는 등 새로운 기능들이 대거 탑재됐다. 함께 제공되는 ‘델 EMC 데이터 IQ’와 ‘델 EMC 클라우드IQ’ 소프트웨어는 타 스토리지 시스템이나 프라이빗 또는 퍼블릭 클라우드에 위치한 데이터에 대해 싱글 뷰를 제공하고 시스템을 실시간 모니터링해 데이터 사일로(silo)를 없애고 분석환경을 최적화할 수 있다. ‘델 EMC
[헬로티] 디지털 트윈 채택 가속화 위해 디지털 트윈 표준 정립 및 유스케이스 성공 사례 개발 앤시스가 마이크로소프트, 델, 렌드리스와 함께 디지털 트윈 컨소시엄(Digital Twin Consortium) 운영위원회에 합류했다. 디지털 트윈 컨소시엄은 효과적인 디지털 트윈 개발 및 사용을 위한 국제적인 협의회로, 앤시스는 다양한 산업에서 물리 기반 디지털 트윈 기술의 채택 및 구현을 가속화하고자 참여하게 됐다. 물리 기반의 디지털 트윈은 시뮬레이션을 통해 데이터 분석과 시스템 모니터링을 가능하게 하는 프로세스이자 가상 모델이다. 디지털 트윈은 유지보수, 지속 가능성, 효율성 및 성능을 모니터링해 예측 가능하고 실행 가능한 통찰력을 제공한다. 그러나 디지털 트윈은 규정돼 있는 표준이나 용어가 부족해 많은 기업들이 디지털 트윈을 채택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앤시스는 새로운 디지털 트윈 표준화 및 디지털 트윈 채택을 단순화하기 위한 통일된 용어를 만드는데 주력할 예정이다. 이는 곧 항공 우주 및 방위 산업은 물론 제조, 천연 자원 등 다양한 분야의 기업들이 디지털 트윈 기술을 빠르게 구현하는데 도움이 될 전망이다. 리차드 솔리(Richar
[헬로티] 델 테크놀로지스는 비즈니스용 노트북 ‘델 래티튜드(Dell Latitude)’, 워크스테이션 ‘델 프리시전(Dell Precision)’, 그리고 비즈니스용 데스크톱 ‘델 옵티플렉스(Dell OptiPlex)’ 등의 신제품을 발표했다. 새롭게 공개된 모든 제품에는 AI 기반의 내장형 소프트웨어인 ‘델 옵티마이저(Dell Optimizer)’가 탑재된다. 이는 디바이스 스스로 사용자가 주로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학습해 소프트웨어를 구동하는 데 최적화된 상태로 자동 세팅한다. 비즈니스용 노트북 ‘델 래티튜드’는 디스플레이 4면에 적용된 인티니티엣지(InfinityEdge) 기술로 매우 얇아진 베젤과 더 길어진 배터리 수명, 포트 어레이, 기계 가공 및 브러시 처리된 고급 알루미늄 소재 적용 등이 특징이다. 인텔 10세대 v프로 프로세서를 장착하며, 인텔 와이파이6 탑재로 기존 대비 세 배 더 빠른 와이파이 연결을 지원하는 등 비즈니스를 위한 최상의 성능과 강력한 연결성을 모두 제공한다. 15인치형 비즈니스 노트북과 투인원 모델로 출시되는
[첨단 헬로티] 한국 델 테크놀로지스(Dell Technologies)가 글로벌 SDN 전문 기업 ‘빅스위치네트웍스(Big Switch Networks, 이하 빅스위치)’와 OEM 파트너십을 맺고 한국 시장에 빅스위치 솔루션을 독점 공급하기로 했다. 델 테크놀로지스는 파트너십을 통해 오픈 네트워킹 전략을 강화하고, 엔터프라이즈 및 공공 부문 네트워크 인프라 시장 공략에 적극 나서고 있다. 델 테크놀로지스는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Software Defined Networks 또는 SDN) 구현을 위한 다양한 네트워킹 솔루션을 공급하며 기업들에게 엣지(Edge)에서 코어(중앙 데이터센터), 클라우드에 이르는 폭넓은 오픈 네트워킹 전략을 제안한다. 이 같은 전략하에 ‘델 EMC OS 9’과 ‘’OS 10’ 등 자사 OS는 물론, ‘빅스위치’의 소프트웨어와 ‘큐물러스’, ‘피카8’ 등 글로벌 업체들의 다양한 네트워킹 OS를 공급하고 있다. 최소 1기가비트에서 400기가비트에 이르는 용량의 델 테크놀로지스의 데이터센터 스위치는
[첨단 헬로티] 델 테크놀로지스(Dell Technologies)가 고성능 워크스테이션 브랜드인 델 프리시전(Dell Precision)의 7000, 5000 및 3000 시리즈의 신제품과 3000 시리즈 일부 제품에 대한 주요 업그레이드 사항을 18일 발표했다. 새로운 델 프리시전 5000과 7000 시리즈 워크스테이션은 인텔 프로세서와 차세대 그래픽을 탑재하며 다양한 디스플레이 옵션과 긴 배터리 수명 등의 장점을 갖추며 블록버스터 영화 편집, 차세대 의료 서비스 등 크리에이터와 이노베이터들이 집중하는 데이터 처리 작업과 그래픽 작업에 역량을 발휘할 것으로 보인다. 두 시리즈의 제품들은 인텔 제온 E 프로세서(Intel® Xeon® E Processor) 혹은 9세대 인텔 코어 프로세서(9th Gen Intel® Core™ processors) 탑재하며 엔비디아 쿼드로(NVIDIA Quadro), AMD 라데온 프로(AMD Radeon™ Pro) 등 최신의 전문가용 그래픽을 지원한다. 프리시전 3000 시리즈 워크스테이션 신제품 2종과 기존 제품 2종에 대한 업그레이드도 발표됐다. 협소한 공간에 적합한 작은 크기의
[첨단 헬로티] 델 테크놀로지스(Dell Technologies)가 국내 고객 및 파트너사와의 원활한 협업과 효율적인 임직원 업무환경 제공을 위해 강남 테헤란로 미림타워에 델 테크놀로지스의 제 2 사무실을 마련하고 개소식을 가졌다고 3일 밝혔다. 델 테크놀로지스는 2016년 EMC와의 합병 이후 엣지 투 코어(Edge-to-core)를 아우르는 포트폴리오를 통해 다양한 고객의 요구를 충족시키며 성장세를 이어왔고, 이에 따라 임직원들의 효율적인 업무를 위해 현재의 강남 파이낸스 센터 사무실에 이은 제 2 사무실을 열게 됐다. 이번에 새롭게 마련된 델 테크놀로지스 제 2 사무실은 임직원들의 다양한 업무 유형 및 특성을 반영한 스마트 오피스로 임직원의 편의성을 최대한 고려했다. 앉은 자세로 장시간 근무 시 발생할 수 있는 건강문제를 고려하여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스탠딩 데스크를 배치했다. 또한 멀티 터치를 인식해 여러 명의 팀원이 동시에 다양한 작업을 할 수 있는 인터랙티브 모니터 등 델의 스마트한 업무환경 구축을 위한 솔루션들이 적용되어 임직원들이 업무 유형이나 특성에 따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했다. 사무실 내부에 전용 트레이닝 센터도 설치해 내부 임직
[첨단 헬로티] 델 테크놀로지스(Dell Technologies)가 다가올 디지털 미래의 새로운 비즈니스를 위한 IT 솔루션과 신기술 동향을 소개하는 ‘델 테크놀로지스 포럼 2019’ 행사를 이달 27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 컨벤션 센터 신관에서 개최한다. ‘Real Transformation’을 주제로 열리는 이번 포럼에서는 디지털 미래로의 변화를 주도하는 대표적인 기술들인 멀티 클라우드,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데이터보호, 스마트시티, 사이버 보안 등의 비즈니스 활용 방안과 이들 기술의 최신 동향에 대한 발표가 진행될 예정이다. 국내 IT 업계 리더 및 관계자들이 대거 참여하는 델 테크놀로지스 포럼 2019는 김경진 총괄사장의 환영사와 존 로즈(John Roese) 델 EMC 최고기술책임자(CTO)의 기조연설로 막을 연다. 존 로즈 CTO는 기조연설을 통해 데이터 경제 시대를 이끌 신기술들과 이에 발맞춘 델 테크놀로지스의 비전과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전략을 공유할 예정이다. 기조연설 후에는 KT 클라우드 사업을 이끄는 김주성 상무와 KB국민은행 IT그룹 이우열 대표의 혁신 사례 발표가 이어진다. 오후에는 &lsq
[첨단 헬로티] 델 테크놀로지스(Dell Technologies)가 떠오르는 신기술의 발전에 따른 미래 경제의 모습을 전망한 보고서 ‘퓨처 오브 이코노미’를 발표했다. 이번 리포트에서는 신기술의 부상과 발전이 향후 10년간 우리 경제의 모습을 어떻게 바꾸어 놓을지에 대한 전망과 함께, 기업과 조직이 어떻게 변화에 대응해야 하는지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한다. 이번 리포트는 미래의 경제를 변화시킬 주요 신기술로 ▲5G와 6G 통신,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블록체인, ▲가상화폐 등 총 5가지 영역을 언급했다. 또 이들 신기술이 향후 10년간 빠르게 성숙되고 확산될 것으로 내다보고 이러한 기술의 혁신이 2030년 미래 경제의 풍경을 급격히 변화시킬 것이라고 전망하며 그 주요한 변화로 다음의 세가지를 꼽았다. 1) 자율적인 상거래(Autonomous commerce) – 소비자 역할을 수행하는 기계 보고서는 첫번째로 기계가 인간의 명령만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을 대신해 다른 기계들과 ‘자율적인 상거래’를 수행할 것으로 내다봤다. 예를 들면 인공지능이 탑재된 디바이스가 가정에 부족한 재화의
[첨단 헬로티] 델(Dell)이 최신 인텔 8세대 프로세서와 윈도우 10 기반의 게이밍, 프리미엄 노트북, 올인원(all-in-one) PC 신제품을 대거 출시한다. 델이 새롭게 소개하는 이번 신제품은 ▲게이밍 PC의 명가 ‘에일리언웨어(Alienware)’ 브랜드의 신제품으로 혁신적 성능과 냉각 시스템, 편의성이 강화된 노트북 2종 ▲합리적인 가격대의 새로운 ‘G시리즈 게이밍 노트북’ 3종 ▲작고 가벼우면서도 높은 성능과 보안 기능, 시네마틱 몰입도를 제공하는 프리미엄 노트북 ‘XPS 15’ ▲합리적인 가격대와 높은 편의성의 ‘인스피론 올인원(Inspiron all-in-one) PC’ 2종 등이다. 하드코어 게이머를 위한 노트북 ‘에일리언웨어 15’, ‘에일리언웨어 17’ ‘에일리언웨어 15’와 ‘에일리언웨어 17’ 게이밍 노트북은 최대 6개 코어(헥사 코어)의 인텔 8세대 i5, i7, i9 프로세서를 장착할 수 있으며, 에일리언웨어 노트북 제품 군 중 최초로 최대 5.0GHZ 오버클
[첨단 헬로티] 인텔이 델, HP, 레노버 및 마이크로소프트와 공동으로 상용 5G모뎀인 인텔® XMM™ 8000 시리즈를 통해 윈도우 PC에 5G 커넥티비티를 지원한다고 발표했다. 인텔은 2019년 하반기에 업계 최초의 고성능의 5G 커넥티드 PC가 시장에 선보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오는 26일에 개최되는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2018(Mobile World Congress, 이하 MWC)에서 초기 5G 모뎀으로 연결되고 8세대 인텔® 코어™ i5 프로세서로 구동되는 5G 커넥티드 컨셉 PC (디태쳐블 2 in 1)를 최초로 관람할 수 있다. 이는 5G 지원 PC에서 가능한 것들을 업계가 발전시킬 수 있도록 지원하는 수많은 디딤돌 중 하나이다. 5G는 단순한 차세대 무선 연결이 아니다. 5G는 클라우드에서 네트워크,클라이언트에 이르기까지 컴퓨팅 및 커넥티비티 환경 전반에 걸친 기술 혁신을 위한 새로운 기회를 약속한다. PC는 엄청난 양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중앙 허브다. 5G가 다가오고 있다. 5G는 수많은 처리해야할 데이터를 생성할 뿐 아니라, PC 이용자가 지금까지 보지 못했던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게 될 것이다. 전
[첨단 헬로티] 전세계 PC 출하량 13분기 연속 하락세 … 미국 시장 PC 출하량 대폭 감소 IT 자문기관 가트너(Gartner)는 2017년 4분기 전세계 PC 출하량의 예비 조사 결과가 2016년 동기 대비 2%가 감소한 총 7,160만 대를 기록할 것이며, 2017년 전체 PC 출하량은 2.8% 감소해 총 2억 6,250만 대 이상을 기록할 것이라고 잠정 발표했다. 이로써 전세계 PC 출하량은 13분기 연속 하락세를 보였다. 반면 가트너의 연구원들은 PC 시장에 대해 낙관적인 전망을 내놓았다. 가트너 수석연구원 미카코 키타가와(Mikako Kitagawa)는 “2017년 4분기 아시아·태평양 지역, 일본, 라틴 아메리카 지역의 PC 출하량은 증가했으나, 유럽 및 중동·아프리카(EMEA) 지역에서 약간의 감소폭을 보였다”며, “미국 시장의 PC 출하량이 큰 폭으로 하락하면서, 이는 타 지역들의 긍정적인 결과를 상쇄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4분기 결과는 PC가 더 이상 선호하는 연말 선물이 아니라는 사실을 반영하지만, PC가 향후 가정에서 사라진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첨단 헬로티] 델(Dell)이 '국제전자제품박람회(이하 CES 2018)'에서 PC 제품은 물론, 소프트웨어, VR, e스포츠 등 전방위에 걸친 대대적인 혁신을 공개했다. 델의 이번 CES 발표에는 더 얇고 가벼우면서도 강력한 프리미엄 노트북 ‘XPS 13’, 진일보한 PC 사용 환경을 선사하는 ‘델 모바일 커넥트’ 소프트웨어와 ‘델 시네마’, 게이밍 환경 및 문화를 혁신하는 소프트웨어 ‘에일리언웨어 커맨드 센터’ 등을 포함한다. ▲ DELL XPS 13 최신 기술과 뛰어난 디자인의 결합, CES 2018 혁신상의 ‘XPS 13’ 델의 이번 CES 발표에서 가장 눈에 띄는 XPS 13은 뛰어난 디자인과 다양한 최신 기술이 결합해 탄생한 제품이다. CES 2018 혁신상을 수상했다. 델 고유의 초박형 베젤 기술인 ‘인피티니엣지(InfinityEdge)’을 채용, 차세대 ‘인피니티엣지 4K UHD(울트라HD)’ 디스플레이를 탑재했다. 최대 80%더 많은 열처리 공간(헤드룸)을 제공한다. XPS 13에 도입한 &l
[첨단 헬로티] 엔비디아가 볼타(Volta) 아키텍처 기반의 엔비디아 테슬라(NVIDIA® Tesla®) V100 GPU가 모든 주요 클라우드 업체와 컴퓨터 제조사를 통해 인공지능 및 고성능 컴퓨팅을 실현할 수 있게 됐다고 발표했다. 델 EMC(Dell EMC), HP 엔터프라이즈(Hewlett Packard Enterprise), 화웨이(Huawei), IBM 및 레노보(Lenovo)가 일제히 엔비디아 볼타 기반의 제품을 출시한다는 발표를 내놓았다. ▲델, HP 엔터프라이즈, 화웨이 등 주요 기업들이 채택한 엔비디아 GPU 클라우드 서비스 또한, 알리바바 클라우드(Alibaba Cloud), 아마존 웹 서비스(Amazon Web Service), 바이두 클라우드(Baidu Cloud), 마이크로소프트 애저(Microsoft Azure), 오라클 클라우드(Oracle Cloud) 및 텐센트 클라우드(Tencent Cloud) 등 대표적인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들도 볼타 기반 클라우드 서비스의 출시를 발표했다. 이처럼 다양한 제품의 출시를 토대로 과학자들이 연산 집약적인 연구 활동을 위해 엔비디아의 가속 컴퓨팅 플랫폼을 편리하게 배포할 수 있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