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함수미 기자 | 프리뉴는 인공지능 기반 공간 정보 기술 기업 다비오와 ‘AI 서비스 플랫폼 고도화’를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두 회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다비오의 인공지능 이미지 분석 기술을 적용한 AI 기반 지리 공간 분석 플랫폼 어스아이와 프리뉴의 무인 항공기를 활용한 AI 기반 드론 서비스 플랫폼의 고도화를 위해 기술 개발 협력을 추진한다. 현재 무인 항공기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람을 대신해 일상적 업무에 투입되고 있으며 미래에는 단순 업무에서 벗어나 고도의 자율 비행, 데이터 수집 및 처리 등 더 효율적·실용적인 활용과 인공지능이 융합한 차세대 무인 항공기 서비스가 주를 이룰 것으로 전망된다. 사용자 친화적인 무인 항공기 서비스 상용화를 목표로 다비오의 인공지능을 통한 공간 정보 추출 기술과 프리뉴의 AI 분석 기술을 연계해 무인 항공기를 통한 업그레이드된 수준의 분석 프로세스를 적용해 정확한 리포팅 자료 제공이 가능한 AI 서비스 플랫폼을 개발할 예정이다. 프리뉴 담당자는 “이번 협약으로 프리뉴의 제조·개발 기술을 활용해 다양한 무인 항공기 솔루션에 다비오의 공간 정보 특화 인공지능 기술을 융합, 편리한 서비스 플랫폼 개발을
키스위·시드로닉스·39도씨·뉴빌리티·다비오 등 韓美 유망기업 5곳 선발 [헬로티 = 김동원 기자] SK텔레콤(대표이사 사장 박정호)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맞춘 유망 기술과 사업을 가진 스타트업 5곳 선발을 마치고 내년까지 이 기업들과 공동 사업 기회를 모색하기로 했다고 11일 밝혔다. SKT는 지난 6월 글로벌 파트너 발굴 및 협력 프로그램인 TEAC(TIP Ecosystem Acceleration Center)을 통해 비대면 서비스 함께 개발할 북미, 아시아 내 유망 기업을 공모했다. 공모에는 19개국 63개 기업이 참여했다. ▲ SKT는 키스위, 다비오, 시드로닉스, 39도씨, 뉴빌리티 등과 함께 공동 사업 기회를 모색하기로 했다. (사진 : SK텔레콤) ‘TEAC’은 2016년 SK텔레콤, 페이스북, 인텔, 노키아, 도이치텔레콤 등 글로벌 ICT기업들이 차세대 통신 인프라 개발을 위해 설립한 연합체 TIP의 스타트업 협력 프로그램이다. 두 달 간의 선발 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선정된 기업은 5곳이다. ▲비대면 라이브 콘서트 스트리밍 기업 ’키스위(Kiswe, 美)&rsq