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이동재 기자 | 유럽 완성차 업체들이 전기차에 들어가는 배터리를 자체적으로 조달하는 방안을 두고 골몰하고 있다. 배터리 제조기업들은 완성차 업체들과의 합작을 통해 돌파구를 찾고 있다. 로이터통신은 지난 20일 보도를 통해 “유럽 자동차 메이커들이 외부 배터리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면서 “완성차 업체들이 배터리 생산 비용을 줄여 전기차를 더 저렴하게 만들 것”이라고 전망했다. 유럽 자동차 회사들이 배터리 생산을 외주에 기대지 않고 자체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면, 외부에 의한 변동 요인을 줄이고 제조 과정에 드는 비용을 효율화할 수 있다. 당연히 부품 조달을 주력으로 하고 있는 배터리 회사들에겐 타격이 있을 수 밖에 없다. 특히 글로벌 배터리 시장을 장악하고 있다시피 한 동아시아계 배터리 회사들이 가장 위험하다. 우선 LG에너지솔루션의 올해 1분기 매출은 4조2132억원(43.7%)으로 전체 사업에서 배터리 사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40%를 넘어섰다. 삼성SDI도 올해 1분기 배터리 사업의 매출이 2조3871억원(81%)을 기록하면서 배터리 사업의 매출 비중이 80%를 넘어섰다. SK이노베이션의 경우, 배터리 사업에 뛰어든지 얼마 되지 않아 아
[헬로티] 올해 4월까지 판매된 글로벌 전기차(EV, PHEV, HEV) 탑재 배터리 사용량 순위에서 CATL이 선두를 달린 가운데, LG에너지솔루션은 2위를 기록했다. 삼성SDI와 SK이노베이션은 각각 5위와 6위에 올랐다. SNE리서치가 글로벌 전기차용 배터리 사용량 순위를 발표했다. SNE리서치의 자료에 다르면 배터리 시장은 전반적으로 중국계 업체들이 성장을 견인하는 모양새다. 국내 3사도 꾸준한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지만, 전체적인 시장의 급격한 팽창으로 시장 점유율은 다소 하락했다. 올해 4월까지 세계 각국에 차량 등록된 전기차의 배터리 에너지 총량은 65.9GWh로 전년 동기 대비 2.4배 이상 증가했다. 지난해 3분기부터 이어져온 전기차 판매 회복세가 더욱 가속화되고 있는데, 이러한 추이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1위 CATL과 4위 BYD를 비롯한 다수 중국계 업체들이 전체 시장 성장을 주도했다. 중국 시장 팽창이 이어지면서 대부분 중국계 업체들이 글로벌 시장 평균을 웃도는 성장률을 시현했다. 이에 비해 3위 파나소닉을 비롯한 일본계 업체들은 시장 평균에 크게 못 미치는 두 자릿수 이하 성장률에 그쳐 점유율이 내려갔다. 국내 3사 역시 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