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이동재 기자 | ‘국제물류산업대전 2021’이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국내 물류 산업을 대표하는 업체들이 한자리에 모여 다양한 기계와 솔루션을 선보였다. 특히 이번 전시회에서는 처음으로 중국 기업 두 곳이 참여해 주목을 받았다. 미국과 함께 물류 자동화 분야의 선두를 달리고 있는 중국이기에 더욱 관람객들의 관심이 집중됐다. 빠르게 물류 무인화·자동화 진입한 중국 중국 정부는 일찍이 물류의 스마트화를 강조해오면서 디지털 물류 인프라 건설 강화와 운송수단, 물류 센터 등 물류 요소의 디지털화에 많은 돈을 투자했다. 중국 물류 및 구매 연합회에 따르면 2018년 중국의 스마트 물류 시장 규모는 4000억 위안(한화로 약 69조 원)을 초과했고 2025년에는 약 1조 위안(한화 약 174조 원)을 돌파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국가 차원의 전략적 투자와 넓은 공장 부지 등 자동화에 유리한 제조 환경이 맞아떨어지면서 중국의 공장 및 물류 센터들은 빠르게 자동화 단계에 들어섰다. 드론 및 로봇 배송, AGV(Automated Guided Vehicle), 스마트 택배 보관함, 스마트 콜드체인, 웨어러블 설비, 3D프린터, 빅데이터 분석 등 주요 기술들은 중국에서
[헬로티=이동재 기자] ▲ALTIALL. (출처 : 첨단) ALTIALL(알티올)이 일산 킨텍스에서 개최된 ‘KOREA MAT 2021(국제물류산업대전)’서 화물 운송용 자율주행로봇과 모듈형 휠소터를 선보였다. 알티올의 자율주행로봇(Autonomous Mobile Robot, 이하 AMR)은 바닥이나 천장 등에 마그네틱, 혹은 와이어 같은 내비게이션 가이드를 설치해야 하는 AGV와는 다르게 물리적 가이드나 마커 없이 주행하는 로봇으로, 흔히 접하는 로봇 청소기와 같은 원리로 환경을 학습하고 위치를 기억한다. 전시회 현장에서 자율주행을 선보인 알티올의 AMR-DZ80(이하 DZ80)은 카메라, 내장 센서 및 레이져 스캐너의 데이터, 그리고 소프트웨어를 기반으로 움직인다. 함께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이용해 목적지와 지형지물을 인지시켜주면, 운영자가 직접 감독하거나 미리 경로를 정하지 않아도 가장 효율적인 경로를 탐색해 이동한다. 현장에 나온 관계자는 PC를 이용해 간단하게 MAP을 세팅하는 과정을 보여줬다. 소프트웨어 UI가 직관적이어서 필요한 경우, 경로 수정이나 주행 속도 등을 손쉽게 변경할 수 있었다. 관계자는 “현재 AMR은 자동차 같은 제조업
[헬로티=이동재 기자] ▲국제물류산업대전 전시회장 VisionNav 부스. (출처 :첨단) VisionNav(비전나브)가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KOREA MAT 2021(국제물류산업대전’에서 자사 무인 지게차와 자동화 솔루션을 선보였다. 비전나브는 중국 선전에 본사를 두고 있는 무인 지게차 전문 기업으로, 2016년 홍콩 중문 대학과 일본 동경 대학의 박사팀이 모여 설립됐다. 중국은 일찍이 물류 자동화 분야에 막대한 자금을 투자해 해당 분야에 상당한 진전을 이뤄냈다. 비전나브는 AI, 환경 감지, 딥러닝, 서보제어 등 기술을 적용한 지게차뿐 아니라 RCS(Robot Control System)소프트웨어와 CCTV 환경 측정 시스템 등 자동화 솔루션을 통해 재고관리를 포함한 전체적인 물류 솔루션을 제공한다. 전시회장 비전나브 부스에선 포크리프트를 단 무인 지게차가 사람의 조작 없이 2T 가량의 화물을 지상 1M 위의 팔레트에 올려놓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별도의 QR코드나 마커 없이 차량 전면과 앞단 포크에 탑재된 3D 비전 카메라와 센서만을 사용해 이동하고 작업을 수행하는 완전자율주행 방식이다. ▲VisionNav의 무인지게차가 사람의 조작 없이 2톤
[헬로티] 대신정보통신(주)는 ‘국제물류산업대전 2021’에서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는 스마트 PDA를 선보였다. ▲국제물류산업대전에 참가한 대신정보통신(주) 전경 (출처 : 첨단) 대신정보통신(주)는 도·소매장, 물류 센터, 운송, 헬스케어 및 국방 분야에서 영업 및 자재관리, 출입 관리 및 위치추적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스마트 PDA 제조 기업이다. 국내뿐만 아니라 26개국의 글로벌 파트너들과 함께 생산 관리, 물류 관리, 재물 조사, 창고 관리, 모바일 마케팅 자동화, 환대 산업의 서비스 가능한 기업용 모빌리티를 공급하고 있다. ▲DS6 (출처 : 첨단) 대신정보통신의 DS6는 우정사업본부의 우편업무용 PDA로 공급되고 있다. 현재 전국 18000여 대가 도입됐다. 대신정보통신 관계자는 우정사업본부에서 요구하는 까다로운 조건에 자사의 DS6 PDA가 충족했다고 밝혔다. 선정된 이유로는 업무 시간 단축을 꼽았다. 집배원은 일일이 택배의 바코드를 스캔하며 정보가 일치한 지 확인해야 했다. 기존의 일직선의 PDA들은 스캔하고 다시금 단말기를 들어 올려 택배의 정보가 일치한 지 화면을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그러나 대신정보통신의 DS6는 일직선이 아닌
[헬로티] 로지스팟은 ‘국제물류산업대전 2021’에 참가해 플랫폼 기반의 운송 서비스와 고객 맞춤형 관리솔루션을 선보였다. ▲국제물류산업대전에 참가한 로지스팟 전경 (출처 : 첨단) 로지스팟은 화물운송(미들마일)과 기업용 퀵배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지털 통합물류 스타트업이다. 기존에 수기, 전화, 엑셀 등으로 이뤄지던 운송 업무를 티지털화해 하나의 플랫폼에서 처리하게 도와준다. 통합운송서비스에서는 컨설팅부터 배차와 정산까지 도와주는 화물 운송 서비스와, 플랫폼을 통한 전담 드라이버 매칭의 바로운송(퀵) 서비스를 제공한다. 통합관리솔루션에서는 지입차관리, 입출고관리, 운송사관리를 도와준다. ▲출처 : 로지스팟 로지스팟은 데이터 기반 컨설팅으로 프로세스와 비용을 최적화하고, 전국 거점 네트워크로 유연하고 효율적인 운송 설계를 통해 불필요한 비용을 제거한다고 밝혔다. 또한 Open API로 물류시스템을 통합했다. 불필요한 소통과 서류업무를 간소화하고, 이용자별·부서별·지점별 관리 일원화했다. 이를 통해 플랫폼 기반의 물류통합관리를 구축했다. 또한 위치 추적, 물품 상태 확인 등 실시간 정보 공유가 가능하다. 로지스팟은 전문 운영팀의 배차, 기사 관리를 통해 높은
[헬로티] 에스피시스템스(SP SYSTEMS)는 ‘국제물류산업대전 2021’에서 자사의 갠트리 로봇과 엠아이큐브솔루션과 협약한 스마트팩토리 토탈 솔루션을 선보였다. ▲국제물류산업대전에 참가한 에스피시스템스 전경 (출처 : 첨단) 에스피시스템스는 1988년 설립된 산업용 갠트리 로봇 생산 및 공장자동화를 위한 공급 업체다. 최근 스마트팩토리 솔루션 기업인 엠아이큐브솔루션과 전략적 지분 투자 계약해 산업용 로봇, 스마트팩토리와 인공지능 솔루션 기반의 제조 디지털 전환을 위한 사업을 강화한다고 밝혔다. 이번 국제물류산업대전에서 에스피시스템스의 산업용 갠트리 로봇 생산·물류 자동화 시스템과 엠아이큐브의 스마트팩토리 솔루션을 소개했다. ▲에스피시스템스 (출처 : 첨단) 독자적인 스마트팩토리 플랫폼, 갠트리 로보틱 시스템 어플리케이션 에스피시스템스는 갠트리 로보틱 시스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원격유지보수가 가능한 독자적인 스마트팩토리 플랫폼을 구축해 다양한 설비 및 센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저장, 분석, 공유하는 독자적인 IoT Server를 통해 원격 감시를 한다. 이를 통해 ▲비용 절감 ▲생산성·품질향상 ▲효율적 DATA관리 ▲고객만족도 향상 ▲불량률 감소의 효과를
[헬로티=이동재 기자] ▲KOREA MAT 2021 트위니 전시부스. (출처 : 첨단) 트위니가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KOREA MAT 2021(이하 국제물류산업대전)에서 자사의 자율주행로봇 플랫폼 ‘TARP’를 적용한 자율주행로봇과 서비스를 선보였다. TARP는 로봇 자율주행 기술, 다중 로봇 관제, 자동 업무 배정 기술을 모듈화한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플랫폼이다. 트위니는 TARP를 기반으로 한 모바일 앱 서비스 TARAS를 서비스하고 있다. 별도의 인프라 구축이나, 표식이 필요하지 않고, 모바일 앱을 통해 원격으로 운송 작업을 관제·관리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트위니의 ‘나르고’ 로봇 시리즈는 이름처럼 크고 작은 물건을 효율적으로 운반하는 자율주행로봇으로, 넓고 복잡한 환경에서 가장 큰 강점을 발휘한다. 현재 호텔, 병원, 자동화 공장라인 등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되고 있다. 적재 중량에 따라 나르고60, 나르고100, 나르고500이 판매되고 있다. 현장에 나온 트위니 관계자는 “사용자마다 적재해야 할 물품의 모양과 크기가 다르기 때문에 사용자 사양에 맞춰서 적재부를 커스터마이징해 서비스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나르고 시리즈는 3D 라이다 센서와 2D
[헬로티=이동재 기자] ▲KOREA MAT 2021 태성시스템 부스. (출처 : 첨단) 태성시스템이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KOREA MAT 2021(국제물류산업대전)’에서 자사의 소팅(자동분류)시스템을 선보였다. 코로나19가 앞당긴 기술의 발전으로 국제 물류 환경이 빠르게 변하면서 물류 센터나 물류 창고 등은 빠르게 무인화·자동화 단계로 들어서고 있다. 태성시스템은 화물 고속 분류기 및 분류 시스템을 설계하고 제작하는 중소기업으로 2016년에 설립됐다. 쿠팡, CJ대한통운, SSG 등이 주요 고객이다. 전시회장의 태성시스템 부스에선 Wheel sorter(휠소터) 시스템 ‘Pivotle’가 택배상자와 봉투를 이동시켜 분류 작업을 수행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Pivotle는 일반 컨베이어와 휠소터를 조합한 구성으로, 비전 시스템이 바코드를 스캔해 화물을 인식하면, 컨베이어 위에 작은 휠들이 자동으로 각도를 변환하면서 올라오는 화물을 좌·우로 스위칭해 분류 작업을 수행한다. 작고 조밀한 휠 구성으로 소형 상품이나 비닐 포장 상품도 훼손하지 않고 처리할 수 있다. ▲태성시스템의 휠소터 시스템 'Pivotle'. (출처 : 첨단) Pivotle는 모듈형 하드웨
[헬로티] 투테크(TOOTECH)는 국제물류산업대전 2021에서 친환경 레이저 라벨 프린터를 선보였다. ▲국제물류산업대전에 참가한 투테크의 전경 (출처 : 첨단) 투테크는 바코드 라벨 및 레이저 라벨 프린터 전문 기업이다. 레이버 바코드 프린터는 레이저를 이용해 라벨에 바코드 및 문자, 이미지를 인쇄하는 프린터를 말한다. 라벨 표면에 인쇄하기 때문에 부착 후 라벨 표면에 마찰 및 화학물질이 접촉하게 되면 지워지는 열 전사 바코드 프린터의 단점을 극복한 프린터다. 이런 단점을 극복한 투테크의 레이저 바코드 프린터는 ▲소모품(리본, 헤드, 폐기물 처리 비용) 비용 제로 ▲지워지지 않는 데이터 ▲PET 폐기물 및 헤드 폐기물 제로의 장점을 갖췄다. 투테크의 레이저 바코드 프린터는 리본과 헤드를 사용하지 않아 소모품 비용이 들지 않으며 PET 폐기물과 헤드 폐기물이 나오지 않기 때문에 친환경 프린터라 할 수 있다. 투테크는 라벨 표면에 인쇄하는 열 전사 프린트 인쇄 방식과 달리 레이저 바코드 라벨은 라벨 중간층에 바코드가 인쇄되기 때문에 외부 환경에 의해 데이터가 지워지지 않는다고 밝혔다. ▲TTE-73CX (출처 : 첨단) 또한 리본과 헤드가 없기 때문에 리본 이
[헬로티] 코그넥스는 ‘국제물류산업대전 2021’에서 머신비전 및 바코드 판독을 포함한 물류 솔루션을 선보였다. ▲국제물류산업대전에 참가한 코그넥스 전경 (출처: 첨단) 코그넥스는 전 세계 공장에 300만 개 이상의 시스템을 설치한 머신비전 및 산업용 바코드 판독 솔루션 제공업체다. 이를 통해 스마트한 자동화를 구현하면서 생산 오류를 줄이고 제조비용을 절감하게 도와준다. 컨베이어에 이동하는 물품을 3D-A1000을 활용해 6면 스캐너로 전면을 스캔한다. 작업자마다 바코드 붙이는 위치가 다르기 때문에 6면 스캐너를 활용하면 짧은 시간 안에 바코드를 스캔할 수 있어 시간단축과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소형 산업용 3D와 2D 모션 기능 스마트카메라를 탑재해 3D 치수 및 무게 측정 시스템을 활용할 수 있다. 코그넥스 관계자는 특히 약 15분 만에 설치 할 수 있을 정도로 간단한 설치가 장점이라고 말하며, 우체국 등에서 많이 사용한다고 밝혔다. Insight D900은 딥러닝 소프트웨어가 내장된 스마트 카메라로, PC 없이 사용할 수 있어 비전문가들도 딥러닝 기술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복잡한 결함을 감지하고 분석하며, 난이도 높은 OCR 애플리케이션을
[헬로티] 현대L&S와 KT는 ‘국제물류산업대전 2021’에서 물류센터에 다양한 물류 자동화설비의 초고속, 초저지연, 초연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협업한 솔루션을 선보였다. ▲KT AI 예지보전 솔루션 (출처 : 함수미 기자) KT의 AI 예지보전 솔루션은 소리와 진동, 전류를 수집해서 정확하게 이상을 감지하는 시스템이다. 이 설비 모니터링은 현대L&S와 곤지암 로봇 물류시스템 데모센터에서 실사용되고 있다. KT 관계자에 따르면 자사의 예지보전 솔루션은 ISO 국제기준에 준하는 기준뿐 아니라 자체 축적된 분석데이터까지 합해 더욱 작은 결함까지도 발견할 수 있다고 전했다. ▲국제물류산업대전에 참가한 KT 관계자가 관람객에게 설명해주고 있다. (출처 : 함수미 기자) 트윈 관제 물류센터는 물류센터의 전체적인 프로세스를 가시적인 3D 모델링을 통해 보여준다. 온도와 습도, 냉동창고의 실시간 온도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주요설비의 이상 징후도 확인할 수 있다. 현장 작업자들에겐 스마트워치 등의 웨어러블 기기를 통해 심장 박동수 등을 체크해 산업재해를 예방한다. 패킹부분에서도 대시보드를 통해 관제 가능하다. 또한 KT 관계자는 출고 현황까지 확인할
[헬로티] 바올테크는 25일부터 28일까지 개최되는 ‘국제물류산업대전 2021’에 참가해 물류에 최적화된 솔루션을 선보였다. ▲국제물류산업대전에 참가한 바올테크 전경 (출처 : 함수미 기자) 바올테크는 2000년에 설립된 자동인식 전문업체다. 바올테크는 물류와 유통에 이르는 바코드 스캐너와 프린터, 머신비전, RFID 등을 이용한 다양한 솔루션을 제공한다. 바올테크의 TRUE VD 솔루션은 머신 비전 분야에 활용 가능한 딥러닝 기반 기술이다. 제조, 물류산업 현장에서 이미지 분석 및 검사에 적합하다. 적용 가능한 딥러닝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감독 모드 및 자율 모드의 반복 학습을 진행한다. TRUE MES/POP(생산화정보화시스템)는 생산 현장에서 발생하는 정보를 수집·분석하고, 생산 공정을 제어·감시하며 상위 시스템(ERP) 또는 상호 시스템과 연동해 제조·물류 라인의 생산성 향상 및 품질향상을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TRUE_BIVS (출처 : 함수미 기자) 바올테크가 이번 국제물류산업대전 2021에서 선보인 TRUE_BIVS 1.0은 물류의 체적 산출과 이미지 정보 취득을 동시에 구현하는 체적 및 이미지 관리 시스템이다. 컨베이어에서 이송 중인 제품의 바
[헬로티] 자율주행로봇 전문기업 트위니(대표 천홍석·천영석)는 오는 25일부터 28일까지 나흘간 일산 킨텍스에서 열리는 ‘제11회 국제물류산업대전’(KOREA MAT 2021)에 참가, 자율주행로봇과 자율주행플랫폼 등을 출품한다고 밝혔다. 국제물류산업대전은 국토교통부가 후원하고 한국통합물류협회, 경연전람, 케이와이엑스포가 공동개최하는 물류전시회다. 자동화 및 로봇, 물류 배송, 풀필먼트, 저온 유통체계 등 물류분야 국내외 기업 120여 개사가 참가한다. 트위니는 이번 행사에서 제1전시장 2홀에 부스를 마련하고 자율주행플랫폼(TARP)과 자율주행 무인운송서비스(TARAS)를 소개한다. ‘타프’는 자율주행로봇과 관련된 모든 기능을 갖춘 종합 운용체계(OS)다. 이 플랫폼을 활용하면 자율주행로봇에게 임무를 부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자율적으로 최적의 이동경로를 생성해 이동하게 할 수 있다. 수백 대 이상의 로봇을 통합 관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소프트웨어개발자가 사업 분야 서비스에 접목할 수 있도록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밍인터페이스(API) 형태로 제공한다. ‘타라스’는 물품을 보내야할 고객이 자신의 위치를 자율주행로봇을 호출하면 근방에 있던 물류운송 로봇 ‘나르고 6
[헬로티]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기존 물류경험을 혁신하는 풀필먼트 서비스 소개 코로나 19 (COVID-19) 확산 이후 비대면 물류·유통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국내외 물류산업 전반에 걸친 발전이 급물살을 타고 있다. 이런 시기에 맞춰 KINTEX에서 5월 25일부터 29일까지 열리는 국제물류산업대전(Korea MAT 2021)에 관련 업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주)콜로세움코퍼레이션이 최근 주목받고 있는 물류서비스인 풀필먼트 서비스 '콜로세움'을 소개하기 위해 국제물류산업대전(Korea MAT 2021)에 참가한다. 풀필먼트(fulfillment)란, 물류 전문 업체가 판매자 대신 주문에 맞춰 제품을 선택하고 포장한 뒤 배송까지 지원하는 토탈 솔루션이다. 초간단 물류경쟁력 ‘콜로세움’은 창고 네트워크의 활용과 빅데이터와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한 솔루션을 통해 창고와 이커머스 판매자 양측 모두 최적화된 방식으로 물류업무를 경험하도록 서비스를 제공해왔으며, 최근 드랍쉬핑, 의류 특화 풀필먼트를 잇달아 선보인 바 있다. 작년에 이어 ‘KOREA MAT’에 두 번째로 참여하는 콜
[헬로티] 코로나19의 확산으로 인한 팬데믹 상황은 국내외 물류산업에 스마트물류 도입을 더욱 가속화시키고 있다. 특히, 온라인 쇼핑몰 급성장으로 인공지능(AI), AGV, ICT 등의 신기술을 활용해 물류 현장 자동화설비를 구축하고 비용 절감 등의 물류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스마트물류 도입 움직임이 본격화되고 있다. 풀필먼트서비스, 인공지능(AI), 로봇, 스마트모빌리티, 디지털트윈, 콜드체인 등이 물류산업에서 주목을 받으면서 기존 물류산업이 고도화되고 있는 것이다. 대형 물류업체는 물론, 물류스타트업들이 앞다퉈 눈높이가 높아진 고객 니즈에 부합하기 위한 스마트물류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무한경쟁에 돌입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오는 5월 25일부터 29일까지 일산 킨텍스에서 개최되는 국제물류산업대전(Korea MAT 2021)에 관련 업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온오프라인으로 개최되는 이번 전시회에서 풀필먼트, 라스트마일 배송, 이커머스와 SCM솔루션, 자동화 및 로봇, 콜드체인 등 현재 국내외 물류산업에서 주목받는 이슈들을 한꺼번에 확인할 수 있는 장이 마련됐기 때문이다. 본지는 국제물류산업대전(Korea MAT 2021)에 참여하는 물류로봇, 콜드체인, 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