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이동재 기자 | 엔코더 센서 전문기업 바투잼은 광센서를 전문으로 개발하는 벤처기업이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에서 원천기술을 개발한 연구자가 2018년 회사를 설립했다. 이 회사의 주력 제품인 다축 광엔코더 센서 MAPS는 쉽고 정밀하게 장비를 제어할 수 있고 장비의 유지가 편리해지는 스마트 기능을 제공한다. 바투잼의 김재완 대표는 “현실에 안주하지 않고 도전의 즐거움을 느끼는 조직으로 성장하는 것이 바람”이라고 말했다. Q. 바투잼의 주력 아이템을 소개해달라. 바투잼의 다축 절대좌표/자세 센서(MAPS)는 3차원 공간에서 물체의 6자유도 정보를 나노미터의 분해능으로 측정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광엔코더 제품이다. 정밀한 정렬장비에 적용하면 더 쉽고 정밀하게 장비를 제어할 수 있고, 장비의 유지가 편리해지는 스마트 기능을 제공한다. Q. MAPS가 스마트 팩토리 영역에서는 어떤 역할을 수행하나. 스마트 팩토리에선 장비, 모듈, 부품이 중앙제어를 따르기보다, 각자가 자율적으로 주어진 명령을 수행하고 결과에 문제가 없는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장비의 주요 모듈인 스테이지의 경우, 정밀도가 높아지면 내재하는 오차 요인 때문에 기존의 엔코더 센서로는 스테이지의
헬로티 함수미 기자 | 국내 연구진이 지문 인식 센서의 성능을 높일 수 있는 지문 센서를 개발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포스텍, 클랩과 기존보다 두께도 얇고 인식 범위도 전면으로 넓힐 수 있는 지문 센서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소재도 구하기 쉽고 기존 제조 공정을 활용할 수 있어 빠른 상용화를 이루는 데도 유리할 전망이다. 비밀번호나 공인인증서와 달리 생체 인식 기술은 고유한 신체 특징을 활용하기에 보안성이 높다. 그중 지문 인식 기술은 사용 거부감이 적고 인식 속도도 빨라 ATM, 스마트폰 등 적용 분야가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지문인식은 주로 손에 빛을 쏘면 지문 굴곡으로 인해 달라지는 음영을 센서로 수집해 이미지를 추출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이런 방식의 장치는 크게 광센서와 산화물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로 구성된다. 광센서는 빛의 음영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고 산화물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는 전기에너지를 활용해 지문 이미지로 추출하는 역할을 한다. 기존에는 광센서를 만드는 데 주로 실리콘을 사용했다. 하지만 연구진은 비스플루로페닐 아자이드라는 물질을 도핑한 유기물을 사용해 혁신을 이뤘다. 유기물은 실리콘보다 광 흡수능력이 크기 때문에 실리콘보다 작
헬로티 김진희 기자 | 한국광기술원이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이 주최한 ‘제51회 계량측정의 날’ 기념식에서 대통령 단체 표창을 수상했다고 26일 밝혔다. 국내 유일의 ‘광융합기술전문연구소’인 한국광기술원은 광기술을 기반으로 계량측정 기술과 제품을 개발하고, 사업화 지원을 통해 수입대체 효과 창출과 동시에 광관련 분야 KOLAS 시험·교정·검사 기관으로써 기업의 시장진출과 매출향상에 기여하는 등 국내 계량측정산업 발전에 크게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대통령 단체 표창을 받았다. 특히 한국광기술원은 ▲광센서(안전진단용 광섬유센서기술, 고속레이저 센서기술, 광음향센서 기반 점도 측정장치), ▲조명(국내최초 차량탑재형 빛공해 고속휘도측정시스템, 플렉서블 OLED 성능요구사항 제안), ▲광의료 · 바이오(세계최초 마이크로LED를 이용한 약물 스크리닝 시스템, 3차원 고속 망막 광간섭단층영상기기 개발), ▲광부품(라이다용 VCSEL 광원 기술, 풀컬러마이크로LED 기술) 개발에 역량을 집중하여 안전하고 편리한 국민의 삶의 질 향상에도 기여해 왔다. 한편, 올해 개원 20주년을 맞은 한국광기술원은 2005년 KOLAS 시험기관, 2006년 KOLAS 교정기관, 최근에
헬로티 이동재 기자 | 한국광기술원과 에니트가 광센서 기술과 인공지능 기술을 접목한 경계감시용 광센서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지난 17일 밝혔다. 해당 시스템은 발전소, 철도시설, 송유관 등 국가 주요 인프라와 보안시설 등에 활용할 수 있을 전망이다.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보안용 CCTV나 적외선 영상시스템은 사각지대나 낮은 해상도로 인해 감시범위가 좁고, 상시 모니터링 요원이 지켜봐야 하는 단점이 있으며, 전자기파센서 및 압전센서 등은 침입체에 대한 정보 분석이 어렵고, 바람이나 낙엽 등에 의한 오경보율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광기술원 광정밀계측연구센터와 에니트가 공동으로 개발에 성공한 해당 기술은 수 km 이상 길이의 광섬유를 경계망에 설치해, 주변의 진동 때문에 달라지는 이상신호를 1m 정도의 정밀도로 수집한 실시간 정보로 3D 분포도를 만든 후, 딥러닝 방식의 학습 알고리즘을 적용해 침입여부와 침입위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한국광기술원 측은 기술을 활용하면 침입체 규명과 침입체의 진행방향, 속력, 규모 등도 판별해 낼 수 있으며, 수십 km 이상 넓은 범위에서 경계감시가 가능하다고 밝혔다. 또한, 광케이블이 센서와 신호선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기
유연성 갖춘 소자 상용화의 발판 마련 국내 연구진이 용액공정을 통해 가시광선부터 근적외선까지 감지할 수 있는 고감도 유연 광센서를 개발했다. 이번 개발에 성공한 연세대학교 박철민 교수팀에 따르면 차세대 반도체 물질인 전이금속 디칼코게나이드계 화합물(transition metal dichalcogenide, 이하 TMD)을 다양한 유기용매 내에 분산시킬 수 있어 넓은 파장 센싱이 가능해졌다. 또한 용매에 분산된 TMD-고분자 화합물은 안정적인 상태의 고농도 물질로 용액공정을 통한 박막 제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대(大)면적 수광센서 소자가 구현됐다. 박철민 교수는 “이번 연구에서 제조된 광검출 소자는 기계적 유연성을 갖췄고 파장제어도 가능해, 현재 연구되고 있는 의료용 수광 바이오 센서 등으로 활용될 가능성이 높다”고 기대했다. 연구 결과물은 재료 분야의 권위 있는 학술지인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Nature Communications)지 온라인판 9월 2일(한국 시간) 자에 게재됐다. 그림. 말단 관능화된 고분자를 이용한 TMD의 액상 분리 추경미 기자 (ckm@hellot.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