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조경제를 위한 기계산업의 본격행보가 시작된다. 제20회 한국기계전이 일산 킨텍스에서 10월 28일부터 31일까지 4일간 개최된다. 소비재산업에만 집중된 전시산업에서 탈피해 한국기계전은 순수 자본재산업 전시회로 자리매김하며 해당 업계의 적극적인 참여가 이뤄지고 있다. 한국기계전(KOMAF 2015)이 10월 28일부터 10월 31일까지 4일간 킨텍스에서 개최된다. 이번 전시회는 국내 대표의 첨단 기계류 종합전시회로 올해 25개국에서 550개사가 참가해 총 2500개 부스 규모로 열릴 예정이며, 10만명의 참관객, 30억달러의 계약 상담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올해는 특히 ▲국제모션콘트롤·FA시스템전 ▲국제금속공작가공기계전 ▲국제플라스틱·고무기술전 ▲국제유공압기술전 ▲국제제어계측·시험검사기기전 ▲국제부품·소재, 뿌리산업전 ▲국제발전플랜트·기자재, 원자력특별전 ▲국제신재생에너지, 환경기술전 ▲국제냉동공조기술전 ▲국제운반·하역·물류시스템전 ▲국제중전기기 및 전기설비전 ▲한국기계벤처산업전 ▲우수자본재혁신제품전 등 분야별 13개 전문전시회와 이번에 ▲국제스마트공장 특별전 ▲IT
3D프린팅에는 고분자, 세라믹, 섬유, 고무, 금속 등 다양한 소재를 적용할 수 있지만, 이들 소재 중 현재 상업적으로 직접 부품 제조에 활용되고 있는 것은 고분자와 금속 소재로 볼 수 있다. 특히 금속은 실제 부품 제작, 의료용 임플란트, 금형 등에 직접적으로 활용될 수 있어 최근 금속 소재 3D프린팅 기술에 대한 관심이 급속히 높아지고 있다. 금속제품의 제조 방식 전통적으로 금속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은 금속 소재를 높은 온도로 가열하여 용융시켜 액체 상태의 금속을 몰드에 주입하여 응고시키는 주조 방식이 주로 사용된다. 사형, 금형, 세라믹 주형 등을 이용하여 자중에 의해 주입되는 중력주조, 정밀주조법이나 고압으로 몰드에 주입시키는 다이캐스팅법이 대표적이다. 그리고 잉곳이나 블록 형태의 소재를 단순히 기계가공하는 방법도 사용되며, 그 외에 압연, 압출, 프레스 등의 소성가공법으로 제조되고 있다. 3D프린팅 제조 방식 중 금속제품의 제조를 위해 적용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 형태로 나눌 수 있다. Binder jetting 방식으로 모래를 이용하여 사형몰드를 제조하여 사형주조하거나, PMMA 수지를 이용하여 제품 패턴을 제작하여 정밀주조 공정에 적용된다. 이는
올해 에너지플러스 2015의 슬로건은 ‘아시아 최대 에너지 통합 전시회’. 기존 별도로 개최해 오던 인터배터리전, 코리아스마트그리드엑스포, 한국전기산업대전을 동시 개최한다. 전기차 시장의 지속적인 성장세 속에 배터리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이번 전시회에서는 전기차 관련 신기술과 신제품이 대거 쏟아져 나온다. 그 현장을 미리 가 본다. 에너지산업의 흐름을 한 곳에서 확인할 수 있는 에너지플러스 2015(Energy Plus 2015)가 오는 10월 20일부터 22일까지 개최된다. 역대 최대 규모의 에너지산업전인 에너지 플러스 2015에는 삼성 SDI, LG화학, 지멘스, KT, LS산전, LG전자 등 에너지산업을 이끄는 글로벌 대기업이 대거 참가할 예정이다. 또한 이차전지용 NCA 양극재 생산 세계 2위인 에코프로, ESS용 배터리 생산에 강세를 보이고 있는 코캄,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는 비츠로셀 등도 참가할 예정이다. 한편, 올해는 서울시가 최초로 기획한 전기차 특별관인 EV Seoul 2015도 함께 개최된다. Ev Seoul 특별관에서는 BMW를 비롯해 다양한 EV 및 충전 인프라, 배터리 기업들이 참여한다.
한 우물만 판다는 것이 말처럼 쉽지 않은 요즘, 15년 동안 다른 데 눈 돌리지 않고 뚝심으로 성장해 온 업체가 있다. 비전검사장비 전문 업체인 미르기술은 이 뚝심에 ‘실력이 뒷받침 되는 정성’이라는 기업정신을 더해 시장 견인에 성공하고 있다. 미르기술의 이석우 부장은 회사가 성공한 요인으로, 높은 기술력을 바탕으로 한 고객 다양화와 신기술 개발을 꼽았다. Q. 미르기술의 주력 사업은. 경기도 군포에 위치한 미르기술은 2000년 2월에 창립한 후 15년 동안 비전검사장비만을 전문적으로 개발, 제조해 온 비전검사장비 전문 업체입니다. 미르기술의 대표적인 제품으로는 3D 및 2D 비전검사장비를 들 수 있습니다. 초창기 비전검사장비 시장에서 2D 검사장비로 SMT(Surface Mount Technology, 표면실장기술) 검사 시장에 진입하기 시작했고, 최근에는 3D 검사장비 제품으로 3D 장비 시장을 견인하고 있습니다. 초기 검사장비 출하 당시, 휴대전화를 비롯한 모바일 시장의 빠른 성장은 미르기술의 성장과 직결됐습니다. 이후 휴대전화를 비롯해 거의 모든 전자제품의 제조시설 공정 라인에 비전검사장비가 설치됐고, 미르기술은 업계 선두를 달리
스마트 팩토리의 목적은 제조 과정을 위한 준비 과정부터 실제 제조를 수행하고 제조된 결과 이후의 서비스까지 이 모든 부분을 최적화하는 것이다. 이 모든 것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 IoT이다. 그리고 IoT는 센서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그 결과를 가지고 부가적이 가치를 창출한다. K-smartfactory.org 세미나에서 크레스프리 권진만 대표가 발표한 스마트 팩토리에서 바라본 IoT의 개념과 역할에 대한 강연 내용을 정리했다. ▲ 크레스프리 권진만 대표 사물인터넷(IoT)은 현재 우리가 보고 만지고 움직이는 물리적인 세계와 우리가 정보를 주고받는 사이버 세상을 연결하는 개념이다. 사물인터넷은 사물이 만들어낸 정보를 인터넷을 통해 공유하는 환경으로, 기존 유선통신 기반 인터넷과 모바일 인터넷보다 진화된 단계의 인터넷을 의미한다. 스마트 팩토리는 공장 내부의 모든 요소들을 IoT를 통해 연결하고, 지능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한 공장이다. IoT 역할과 데이터 처리 IoT에는 다섯 가지 역할이 있다. 첫째로 생산 환경 통제이다. 생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각종 환경적 요소 및 개별적인 물리적 요소를 통제한다. 온도, 습도
오는 10월 20일부터 22일까지 한국전기산업대전이 개최된다. 올해로 20회를 맞이하는 한국전기산업대전은 스마트그리드전시회, 인터배터리전시회와 공동 개최되며, 전력기자재 융복합, 송배전 및 발전, 원자력, 철도전력, LED 산업 등 전력 분야의 최근 글로벌 이슈를 짚어보는 자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전기산업진흥회가 매년 개최하는 한국전기산업대전이 오는 10월 20일부터 22일까지 3일간 삼성동 코엑스 C홀에서 한국발전산업전과 동시에 열린다. 더불어 에너지 플러스라는 통합전시회명으로 스마트그리드전, 인터배터리전과도 합동 개최된다. 올해 한국전기산업대전에는 약 200개사가 참가해 500 부스 규모로 개최된다. 특히 발전공기업 6개 기업(한국수력원자력, 한국남동발전, 한국중부발전, 한국서부발전, 한국남부발전, 한국동서발전)이 소규모 홍보관으로 운영했던 발전 분야가 한국발전산업전(Power Generation Korea)이라는 타이틀 아래 전문 전시회로 확대되며 발전산업 분야 종사자들을 한자리에 모은다. 전시회를 비롯한 해외 바이어 초청 수출 상담, 발전회사 통합 구매 상담회와 발전산업 동반성장 컨퍼런스 등 다양한 부대행사를 통해 수요자와 공급자 간의 활발한
하드웨어 개발을 통해 제품을 개발하고 생산하는 일은 전문가 집단 및 전문 업체의 중요한 작업이며 경쟁력이었다. 하지만 오픈 소스 하드웨어 기술 및 블루투스 기술이 전반적인 제어 및 관련 산업의 흐름을 바꾸어 놓고 있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흐름 및 기술 동향을 살펴본다. 아두이노 아두이노 보드는 현재 전 세계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오픈소스 기반 플랫폼이다. 여기서 오픈소스라는 의미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오픈소스라는 것뿐 아니라 개발 툴과 하드웨어에 대한 개발 정보까지 오픈소스로 공개돼 있음을 말한다. 그래서 하드웨어적으로나 소프트웨어적인 전문적인 지식이 없어도 누구나 쉽게 배우고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됐다. 이미 전 세계적으로 수많은 아티스트, 디자이너, 초보 개발자, 학생들 및 다양한 사람들에게 널리 보급돼 사용되고 있다. 아두이노 보드는 간단한 입출력 보드와 쉬운 언어를 이용한 개발 환경에 기반을 두고 있다. 또한 컴퓨터나 다른 기기와 연결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작동하도록 구성됐다. 현재 맥 OS X, 윈도우, 리눅스 버전으로 오픈소스 기반 통합 개발 환경을 제공하는데, 아두이노 웹사이트(www.arduino.cc)에서 무료로 다운로드해 사용할 수 있다
2008년 리먼쇼크를 계기로 제조업에 대한 평가가 크게 달라졌다. 미국, 영국, 독일 등 선진국들은 제조 기반 활성화 도모를 위해 산·학·관 일체화의 전략 구상을 내놓고 분야별 워킹그룹 운영 체제를 구축하고 있다. 특히, 계속 진화하는 ICT 기술을 활용해 제조업을 새로운 관점에서 보고, 자국의 제조업을 부활시켜 지속적인 경제 성장을 촉진하려는 움직임이 고조되고 있다. 디지털 경제를 위한 세계의 반응을 보면 독일은 2011년에 산·학·관이 밀접하게 연계한 국가 전략 구상(인더스트리 4.0)을 내놓고 기계·전기·정보 등 국내 3개 단체가 공동 플랫폼을 만들어 분야별로 워킹그룹 운영 체제를 구축했다. 이 구상은 IoT의 본격적 도입에 의한 ‘스마트 팩토리’의 실현을 내다보고 이를 위한 제품 개발과 시장 개척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RFID, 임베디드 시스템, CPS(가상현실 통합 시스템)의 실장·제품화와 네트워크화, 수출을 지향하고 있다. 또한, 네트워크화를 위한 표준화를 독일과 미국이 선도하고 있다. 독일의 산·학·
정부가 제조·사물인터넷(IoT)과 에너지 신산업에 투자하기 위해 800억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산업 엔진 등 미래 먹거리 창출 차원에서 총 2개 1050억 원 규모의 신성장동력 펀드를 결성했으며, 신산업 육성 지원을 위해 투자한다. 또 올해 말까지 제조·IoT 펀드, 에너지 신산업 펀드 등 총 800억 원 규모의 섹터 펀드(Sector fund)를 추가로 출시할 예정이다. 이처럼 사물인터넷 투자가 확대되는 가운데 오는 10월 28일부터 30일까지 코엑스에서 2015 사물인터넷 국제전시회(IoT Korea Exhibition 2015)가 개최돼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한국사물인터넷협회의 주관으로 열리는 이번 전시회는 생활·건강부터 생산현장까지 확산되고 있는 IoT의 활용 잠재력과 가능성을 제시할 것으로 보인다. 사물인터넷이 우리나라뿐 아니라 세계 각국과 글로벌 기업의 새로운 성장 산업으로 자리매김하면서, 기업 간 협력과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시점에서, 다양한 사물인터넷 서비스·제품·기술·기업 현황을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자리가 될 것이다. 일반 개인의 헬스케
▲ 사서용 데스크탑 리더 ▲ 도난 방지 안테나 도서관 RFID 시스템과 모바일 솔루션을 기반으로 한 유비쿼터스 도서관 솔루션 전문 업체인 이씨오는 1995년 설립 이후 도서관의 정보화 및 선진화를 위해 최신의 정보 기술로 최상의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회사는 사서용 데스크탑 리더, 자가 대출 반납기, 도난 방지 안테나, 예약 대출기와 같은 RFID 도서관 장비를 국내 순수 기술을 통해 자체 개발하여, 2003년 은평구립도서관에 도서관 RFID 시스템을 성공적으로 구축했다. 이후 현재까지 국립중앙도서관, 국회도서관, 서경대학교, 건국대학교 등 약 300여 개의 국공립도서관 및 대학 도서관에 자사의 RFID 시스템을 구축하며, 도서관 업무의 효율성 증대 및 서비스 개선에 기여하고 있다. 또한, 국내 최초로 모바일 기기에서 이용할 수 있는 모바일 도서관 솔루션인 ‘리브로피아’를 개발했으며, 이용자들은 이를 통해 약 200여 개의 공공도서관의 서비스를 보다 편리하게 누릴 수 있게 됐다. 회사는 도서관의 정보화 및 자동화를 위해 필요한 모든 솔루션을 제공하며, 정보 문화의 허브로 변화하는 제3의 공간, 도서관을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
지란지교소프트는 소프트웨어 전문기업으로 기업, 학교, 가정에서 유통되는 데이터 자산을 안전하게 보호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있다. 현재 개인 정보보호 솔루션 공공기관 레퍼런스 1위 제품인 PCFILTER를 비롯해 업무용 메신저 브랜드 1위 제품 '쿨메신저', 60만 가입자를 보유한 자녀 PC, 스마트폰 사용 관리 솔루션 '엑스키퍼', 국내 클라우드형 DLP 시장 점유율 1위 '오피스키퍼' 등 뛰어난 제품을 통해 다양한 분야에서 우수성을 인정받고 있다. FlyingFile는 무선으로 PC와 모바일 단말기를 연결하거나 모바일 단말기끼리 WiFi-Direct로 직접 연결하여 쉽고 빠른 파일 전송이 가능하다. FlyingFile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PC와 모바일 단말기에 저장된 파일을 탐색기 방식 또는 카테고리(사진, 음악, 영상, 문서) 방식으로 편리하게 파일을 보내거나 가져올 수 있다. 특히 서버에 파일을 저장하지 않으며 대용량 멀티 파일도 효율적으로 전송하는 동시에 저장하려는 기기에 직접 저장된다. 또한, 안드로이드 기기끼리 연결 시 인터넷과 무관한 WiFi-Direct 방식으로 직접 연결하여 데이터(3G/LTE) 소모 없이
모바일 네트워크 보안 전문가 그룹 (유)아홉은 모바일 VPN 개발을 시작으로 다양한 모바일과 네트워크에 관련된 솔루션을 개발해 왔으며, 통신사와의 협업을 통해 기존 3G/LTE망의 과다 트래픽을 와이파이를 이용해 효율적으로 분산하는 스마트 와이파이(Smart Wi-Fi)를 개발해 기술력과 전문성을 인정받고 있다. 최근에는 모바일 보안 시장을 선도하기 위해서 모바일 난독화 기술 및 최신 보안 기술을 응용하여 모바일 APP 통합 보안 솔루션인 ‘APP Shields’를 출시했다. 이외에도 보안 사고로 인한 자산 손실과 고객 정보 유출 사고를 차단할 수 있도록 기술과 방법론이 축적된 보안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역량들은 지난 10여년 간의 SI 사업, 보안 모듈 개발, 통신사와의 네트워크 솔루션 개발에 R&D 인원을 집중한 결과물이다. 이 결과물을 토대로 아홉은 세계 시장을 개척하기 위해 글로벌 역량을 강화하고 있으며, 가까운 아시아에서 인지도를 높이고 세계 시장에서 기술력을 인정받는 회사로 발돋움할 그때를 위해 역동적으로 움직이고 있다. 서비스를 운영하거나 기획 중 가장 마지막에 고려해야 할 부분이 있다면, 그것은 바
이미지넥스트는 2007년에 설립된 전장 관련, ADAS 영상인식 관련 소프트웨어 및 카메라 원천 기술 보유(등록 10건, 출원 28건) 기업으로 국내 최초 및 유일 AVM(Around View Monitoring system)을 전 차종 대상으로 제공하고 있다. 르노삼성자동차에 순정 옵션으로, 쌍용자동차에는 전방 카메라를 공급하고 있으며 2013년 출시한 360° 옴니뷰를 시판하고 있으며 전국 500여 개 대리점을 통해 판매 중이다. 회사는 국내 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품질 인정을 받아 시장을 순조롭게 넓혀가고 있다. 옴니패드는 첨단 기술을 결합한 세계 최초의 태블릿 PC다. 커넥티드카를 위한 SVM, 자동차 DVR, 내비게이션, 와이파이, 블루투스 기능 및 기술을 하나로 만나보실 수 있는 신개념 스마트 패드이다. 360° 옴니뷰는 안전주행시스템으로 차량 디스플레이 또는 모니터로 실시간 어라운드뷰(360도)를 하나의 이미지로 볼 수 있는 드라이버를 제공한다. 어라운드뷰 시스템은 물체와 사람과의 충돌, 사고 등을 감소시키며 사각지대도 제거한다. 위 제품은 품질이 높고 신뢰할 수 있는 소형 사이즈에 자동차용 카메라로 후방 카메라, 전방 카메라(광각
2015 한국전자전이 ‘창조적 사물이 탄생하는 곳(Where the Creative Things are)’이라는 주제로 10월 14일부터 17일까지 4일간 일산 킨텍스 제1 전시장에서 2015 국제반도체대전 및 국제정보디스플레이전과 공동 개최된다. 이 글에서는 2015 한국전자전 참관 전 미리 알아두면 좋은 정보를 소개한다. 미래창조적 사고와 혁신적 IT기술이 만드는 놀라운 세상, 2015 한국전자전이 ‘창조적 사물이 탄생하는 곳(Where the Creative Things are)’이라는 주제로 14일부터 17일까지 4일간 일산 킨텍스 제1 전시장에서 2015 국제반도체대전 및 국제정보디스플레이전과 공동 개최된다. 올해로 46회째를 맞은 이번 전시는 600개사 1500부스 규모로 전자부품 소재/장비, ICT, IT Convergence, 브로드캐스팅, 컨슈머, SW & Mobile Apps, 3D Convergence & 3D Printing 제품 등을 선보일 예정이다. 한국전자전은 1969년 정부의 8개년 전자진흥 기본계획에 따라 1971년 1억 달러, 목표연도 4억 달러 수출을 달성하기 위한 신
초이스테크놀로지는 2002년 12월 RF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PC를 제어할 수 있는 무선 프레젠터 엑스포인터(X-Pointer)를 출시해 세계 시장에 선보였다. 2012년에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모바일 프레젠터 ‘엑스포인터 모바일’을 출시했으며, 2014년 스마트폰 앱세서리인 무선 카메라 셔터인 셀피(Xelfie)에 이어 올해 스마트폰 무선 멀티미디어 컨트롤러인 셀피 플레이(Xelfie Play)를 출시하며 스마트폰 무선 앱세서리 시장에 도전했다. 차세대 무선 인터페이스 기기뿐 아니라 유헬스케어를 구현하기 위한 휴대용 체온계, 심박수계 등을 개발하고 있다. 스마트폰 무선 멀티미디어 ‘리모콘 셀피 플레이(Xelfie Play)’는 스마트폰 무선 셔터 셀피(Xelfie)의 후속 모델로, 블루투스로 스마트폰과 연동하여 음악 및 동영상 플레이어를 제어하여 음악 및 동영상 재생/정지, 볼륨 조절, 다음/이전 곡 선택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고, 기본 카메라 앱과 다양한 카메라 앱들과 호환되어 셀프 촬영 및 단체 촬영을 무선으로 편리하게 촬영할 수 있다. 최대 20m의 거리를 사용 가능하며 배터리 효율이 좋고 교체가 쉽다. 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