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 헬로티] 생산업체의 가동시간 및 인쇄 가독성 ‘UP’, 유지 보수 ‘DOWN’ 까다로운 음료 생산 환경에서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선명하고 깨끗한 제품 코드를 인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레이저 마킹은 음료 생산업체에 가동시간을 높이고 유지 보수를 줄이며 인쇄 가독성을 높이도록 도와준다. 해결 과제: 일부 시장의 경우 살균처리 포장 사용량이 연간 최고 9% 증가하고 있다. 유통기한이 길어 음료 제품의 신선도, 맛, 영양 품질 보호에 유리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화려하고 광택이 있으며 여러 개의 패널이 사용된 살균처리 용기에 인쇄하기는 쉽지 않으며 온도가 낮은 특정한 음료가 들어 있는 경우에는 더 까다로워진다. Videojet의 장점: Videojet 3340 CO2 레이저 마킹 시스템은 살균처리 포장을 비롯한 다양한 음료 포장에 선명하고 영구적인 코드를 인쇄할 수 있다. 30와트의 전력으로 분당 최대 900미터의 라인 속도로 제품에 코드를 인쇄할 수 있다. 또한 Videojet 3340 시스템의 레이저 튜브는 가스 용량을 늘리고(다른 Videojet CO2 레이저 대비) 공기 냉각에 최적화되어 수명이 45,000시간
[첨단 헬로티] 중대형 물류기업용 저가형 관제기술 확보 등 다양한 효과 기대 국내의 물류기술을 살펴보면 지게차, 컨테이너, 파렛트 등 일반 물류기기장비의 경우는 기술개발 수준과 국산화율은 높으나 자동인식, 자동피킹, 자동소팅 등 자동화기술과 AGV, 무인지게차 등 무인고도장비기술 등은 2년 정도 뒤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내 기술개발 필요성에 따라 본지는 ‘중대형 물류센터 적용이 가능한 물류운송로봇 스케줄링 기술 개발’ 사례를 2회에 걸쳐 싣는다. 라. 물류운송로봇 스케쥴링 알고리즘 물류운송로봇의 스케쥴링 문제는 사용자가 주문한 물품 목록을 최소의 비용으로 수집할 수 있도록 로봇의 작업순서를 결정하는 문제다. 이것은 물품 목록 정보와 물류 창고의 물품 보관 상태로부터 최적의 작업순서를 제시하는 것이며, 이는 처리시간이 최소가 되도록 작업순서를 결정하는 문제와 같다고 볼 수 있다. Order picking 시스템에서 AGV 관제의 가장 중요한 부문 중 하나는 물품 목록을 대기 중인 AGV인 한정된 자원에 할당하는 것이 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고려해야할 것은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먼저 창고 내의 물품 보관소에서 피킹 룸으
[첨단 헬로티] 인더스트리 4.0 및 전산업 자동화로 인해 3D 기술 증가 3차원은 이미지 프로세싱 애플리케이션에서 점점 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보고서에서는 시장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3D 기술에 대해 설명하고 각각의 강점과 약점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3 차원이 어떠한 응용 프로그램에 가치가 있는지 여부에 대한 질문에 답할 수 있는 기준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1. 2D 카메라 기술 에어리어 스캔 및 라인 스캔 카메라는 2D 카메라 기술로 제공된다. 에어리어 스캔 카메라는 단일 이미지로 분석할 장면을 캡처하는 반면, 라인 스캔 카메라는 이미지가 라인 단위로 기록되는 스캔 프로세스를 사용한다. 선택된 카메라 모델에 따라 장면은 RGB 값에서 i.e, 단색 또는 컬러 이미지로 표현된다. 1.1 응용 분야 2D 이미지 처리는 응용 프로그램이 높은 대비를 제공하거나 객체의 구조와 색상이 최종 결과에 결정적인 경우에 적합하다. 현재 2D는 이미지 처리 작업에서 가장 중요한 기술이다. 2D 카메라용 응용 프로그램은 일반적으로 위치 확인, 감지, 측정 및 읽기와 같은 이미지 처리의 모든 영역에서 찾을 수 있다. 2D 카메라의 일반적인 응용 분야는 다음과 같다.
[첨단 헬로티] 1. ‘공증’이란 무언가요? ‘공증(公’證)‘이란 ‘공적으로 증명한다’는 말입니다. 원래는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증명서를 발급하는 것을 말하지만, 공증제도와 관련하여서는 법으로 정한 일정한 자격을 갖춘 ‘공증인’이 법률행위나 그 밖의 사권(私權)에 관한 사실에 대해 증명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보통 거래관계에서 ‘공증하자’고 말하는 것은 ‘공증인 자격이 있는 변호사가 근무하는 공증인가 법률사무소(법무법인)에 가서 공증을 촉탁하자’는 의미라고 할 수 있습니다. 2. 공증은 왜 하나요? 공증을 통해 당사자는 사실관계에 대한 증거를 확보하거나, 나아가서 법률관계를 기초로 한 집행력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공증의 효과로 인해 사실상 분쟁의 사전예방이라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어 거래관계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습니다. 3. 어떤 것을 공증할 수 있나요? 보통 공증을 하는 것은 계약서나 법률문서입니다. 법률적 용어로는 ‘공정증서의 작성’이나 ‘사서증서의 인증’이 많이 이루
[첨단 헬로티] 시장 선점 위해 다각도의 공격적인 전략과 아울러 관련 법적·제도적 지원 필요 Ⅰ. 개요 보건·의료 서비스는 원격 모니터링, 의료데이터 관리 및 공유, 치료방법 간 상호호환성 개선 등을 통해 생활편의 서비스로 발전하고 있다. 센서가 내장된 웨어러블 기기를 통해 사용자의 일상생활 패턴이나 생체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다양한 헬스 케어(health care) 제품과, 리빙 케어(living care) 제품들이 출시되면서 의료서비스 산업은 빠르게 선진화하고 있다. 다양한 센서를 이용하여 바이오(생체)정보를 측정·분석하여 건강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헬스·리빙 케어 기술은 u-헬스케어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는 최적의 기술로 인식되고 있다. 특히 바이오센서의 다중화 집적시스템에 요구되는 선택적 반응을 위한 기술이 확보되면서 감지기술은 나노선 표면의 바이오 활성화 분야에서 바이오센서 칩 기술의 핵심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기술을 상용화하기 위해 감지기술, 전처리기술, 신호전환기술, 실리콘 반도체기술, 광학기술, 다중 센서 어레이 집적기술, 바이오 신호처리기술 등 다양한 바이오-ICT 융합기술이
[첨단 헬로티] SNS와 공유경제의 조합은 ‘환상적’, 신뢰 기반의 공유경제 원칙과 블록체인 기술은 ‘완벽한 조합’ 블록체인 기반으로 기존 공유경제를 파괴(적 혁신)할 가능성 1. 들어가면서 필자는 2017년 후반부 몇 개월 간 디지털 신원(Digital Identity)에 대해 연재하였으며, 인증과 관련하여 블록체인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한편, 2018년 들어 핫 이슈가 블록체인임을 확인하게 된다. 이는 최근 달아 오른 비트코인 과열 현황에서도 감지하게 된다. 그래서, 필자는 올해 시작을 블록체인으로 시작했으며, 1탄으로 지난 호에서 블록체인이 기존 공유경제에 가져올 파괴적 혁신 가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아직까지도 파괴적 혁신의 대명사로 여겨지고 있는 에어비엔비를 다시 파괴적 혁신할 블록체인 기술 기반 비즈니스모델 가능성에 대해 관찰하였다. 이번 호는 블록체인 2탄이다. 블록체인이 주는 다양한 혜택 중 하나가 인증임을 지난 호들에서 언급했는데, 필자도 폐지 주장에 동참했던 공인인증서 제도 폐지안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후 과기정통부)에 의해 나왔고, 이를 다룰 필요성을 다시금 가지게 된다. 과기정통부는 그동안 획
[첨단 헬로티] 전 세계적으로 폭넓은 비전 전문가 그룹을 보유하고 있는 코그넥스는 독보적인 비전 소프트웨어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기존 비전 시스템뿐만 아니라 3D 및 딥러닝 기반의 비전 시스템을 개발해오고 있다. 최근에는 제조업이 점점 정밀화, 소형화됨에 따라 코그넥스의 머신비전 제품을 찾는 수요가 늘고 있다고 한다. 코그넥스코리아 조재휘 지사장은 새로운 3D 비전시스템 및 딥러닝 기반의 비전 솔루션에 집중하는 한편, 전통적인 주력 산업 외에 제약, 소비재, 물류 등 새로운 시장 발굴에도 힘쓸 계획이라고 말한다. ▲ 조재휘 코그넥스코리아 지사장 Q. 2017년 비즈니스 성과는 어떠했나. 그리고 어떤 산업 분야를 중심으로 매출이 확보됐나. A. 지난해 코그넥스는 전년 대비 44% 성장이라는 높은 성과를 일구어냈다. 특히 코그넥스코리아는 2017년 한 해 동안 전년 대비 약 2배 성장하면서 전 세계 지사 중 가장 빠른 성장을 보였다. 매출은 전통적인 주력 산업군인 전자, 자동차, 반도체 산업이 견인했고 신시장인 물류 산업 또한 괄목할 성장을 이루었다. Q. 2018년 역점 사업과 영업 전략은. A. 코그넥스가 올해 초 출시한 3D 비전시스템 ‘ES-A5
[첨단 헬로티] 가전제품 고장, 이젠 누구나 손쉽게 진단할 수 있다! 갑자기 사용하던 전자제품이 고장 난 경우 대부분 사람은 그 원인을 찾기 마련이다. 하지만 그동안 전문가가 아닌 이상 고장의 원인을 찾기 어려웠다. 와이테크(김용만 대표)는 이 점에 착안하여 일반인도 손쉽게 전 자제품의 고장 원인을 찾아낼 수 있는 자동 전기 진단 측정기 ‘Vion’을 개 발했다. 김용만 대표는 이 기술력을 토대로 세계 멀티미터 시장에 ‘Made In Korea’ 깃발을 꽂겠다는 계획이다. Q. 와이테크에 대해 소개해주세요. 와이테크는 2년 정도 된 스타트업입니다. 저희는 한국전력(이하 한전)으로부터 지원을 받아 스마트 멀티미터 ‘Vion’을 개발, World Smart Energy Week 2018에 선보였습니다. 현재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있는 전자부품연구원 창업보육센터에서 멀티미터 분야의 표준 기 업을 꿈꾸며 연구 개발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Q. World Smart Energy Week 2018 (스마트에너지위크) 참가 목적은 무엇인가요? 스마트 멀티미터 ‘Vion’으로 해외시장의
대성산업펌프는 지난 40년 가까이 산업용 펌프와 위생용 펌프를 개발해 왔다. 최근에는 원료 가공 기계류를 제작하는 분야로 사업 영역을 확대해 곡물세척기, 곡물건조기, 곡물분쇄기를 개발·공급하고 있다. 대성산업펌프 박종덕 대표는 “시장 흐름에 맞게 끊임없이 변화하고, 고객의 요구사항에 딱 맞는 제품을 만들어내는 것이 우리 회사의 힘이다”라고 말한다. ▲ 대성산업펌프 박종덕 대표 Q. 대성산업펌프의 주요 사업 분야를 간략히 설명해준다면요. 1979년 설립된 대성산업펌프는 산업용 펌프와 위생용 펌프를 주력으로 공급하는 기업으로, 최근에는 식품기계까지 공급하고 있습니다. 펌프 종류는 로브플렉스 펌프, 모노플렉스 펌프, 기어플렉스 펌프, 소형정량 펌프 등이 있습니다. Q. 원래 산업용 펌프 사업을 했는데 위생용으로 확장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기업의 지속성을 유지하기 위해서입니다. 저희가 사업을 시작했던 1980년대 초반만 해도 산업 분야에 펌프 설비가 집중적으로 들어갔던 시기였습니다. 당연히 수요도 많았었죠. 그런데 점차 설비 인프라가 갖춰졌고 자연히 펌프 수요도 줄어들게 된 것입니다. 펌프는 특성상 소모성 설비가 아니기 때문에 한번
[첨단 헬로티] 프로옵틱스, 2년에 걸쳐 개발 완성한 ‘Wide Angle 5x Objective Lens Module’ 주목 솔루션 주목 초정밀 조립 기술을 보유하고 하고 있는 프로옵틱스가 2년에 걸쳐 개발 완성한 ‘Wide Angle 5x Objective Lens Module’가 시장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이 고분해능 머신비전용 렌즈는 최근 지속 성장하고 있는 시장인 OLED 디스플레이 패널과 모바일폰용 이미지 센서의 검사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프로옵틱스 정진호 대표를 만나 프로옵틱스의 강점과 올해 주력 제품에 대해 들어봤다. ▲ (주)프로옵틱스 정진호 대표 Q. 프로옵틱스에 대한 소개 부탁드립니다. A. 프로옵틱스는 2000년 3월 1일 경기도 이천에서 회사를 창립하였습니다. 창립 이 후 현재까지 연간 10~20여건 정도의 신규 개발 프로젝트를 진행해 왔습니다. 주요 사업분야로는 산업용 머신비전 광학계, 노광 광학계, 휴대폰 카메라 Align용 Collimation Lens, 머신비전용 현미경 시스템, 3D 카메라, 3D 프로젝터, 의료용 X-ray DR 렌즈, 3D 복강 내시경렌즈, 지문인식
[첨단 헬로티] 앤비젼, 차세대 제품과 솔루션으로 고객들의 개발 과제의 성공 지원해 나갈 것 올해 앤비젼은 머신비전 시장에서 오랜 기간 주력해오고, 현장에서 안정성을 검증 받아온 High-end TDI Line scan카메라 및 산업용 렌즈 분야에서 새로운 혁신적 도약을 할 수 있는 차세대 제품 및 솔루션을 선보일 계획이다. 앤비젼 김덕표 대표를 만나 국내 머신비전 시장에 대한 견해와 주요 사업전략에 대해 들어봤다. ▲ (주)앤비젼 김덕표 대표 Q. 앤비젼에 대한 소개 부탁드립니다. A. ㈜앤비젼은 사람의 눈을 대신하여 인지하고 판단하는 비전 솔루션을 핵심으로 머신비전 분야의 핵심 제품과 엔지니어링 컨설팅, 기술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비전 솔루션 전문기업입니다. 머신비전 기술은 제조 과정에서의 물리적 형상 및 결함 추적, 표면 마무리 검사, 색상 검사 등의 품질 검사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반도체에서부터 PCB, 소형 전자부품, 모바일, 디스플레이, 자동차, 철강, 식음료 산업 등에 이르기까지 산업 전반으로 적용 분야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앤비젼은 이러한 다양한 산업의 필요에 맞는 머신비전 솔루션을 제공하여 각 제품의 품질과 생
[첨단 헬로티] 화인스텍, 직원이 함께 성장하며 기업 가치가 전년 대비 100% 성장하는 것이 목표다 단순히 글로벌 메이커 제품들을 유통하는 것은 기업의 연속성에 한계를 갖게 마련이다. 이들 제품들을 통합하고 부가가치를 보탬으로써 새로운 솔루션내지는 서비스로 급성장하고 있는 머신비전 기업이 있어 화제다. 바로 화인스텍이다. 기업의 가치를 오로지 ‘직원’에 두고 있는 화인스텍 김묵현 대표를 만나 국내 머신비전 산업의 현주소와 함께 화인스텍의 가파른 성장의 비결에 대해 들어봤다. ▲ 주)화인스텍 김묵현 대표 Q. 화인스텍에 대한 소개 부탁드립니다. A. 화인스텍은 카메라를 비롯해 렌즈, 프레임 그래버 등 머신비전을 다루는 전문 기업입니다. 반도체, LCD, OLED, 모바일 기기 등과 같은 전기전자 분야와 자동차 생산라인 등에 사용되는 머신비전 시스템의 카메라와 렌즈, 프레임그래버, 조명, 오토포커스 시스템, 3D 측정 시스템 등에 대해 끊임없이 연구, 개발을 하고 있습니다. 2009년도 설립된 화인스텍은 일본의 카메라 전문기업 SENTECH과 덴마크의 JAI, 미국의 FLIR를 비롯해 일본의 머신비전 렌즈 전문기업 VS Technology
[첨단 헬로티] 여의시스템은 지난 30여 년간 자동제어 산업 현장에서 쌓아온 다양한 분야의 실적과 경험을 바탕으로 내구성과 품질완성도를 높인 고객 맞춤형 전용컨트롤러를 개발하여 공급하고 있다. 이 회사의 경쟁력은 현장 중심의 커스트마이즈된 제품개발과 책임형 사후지원. 주력 제품인 고객 맞춤형 전용컨트롤러는 공장자동화, 스마트폰 제조공정, 반도체 제조장비 등 대부분의 산업 현장에서 운용되고 있으며, 또한 설계 기술을 기반으로 네트워크 보안장비 하드웨어 플랫폼, 산업용 네트워크 솔루션 등 고객 니즈를 반영한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 INTERVIEW_여의시스템 배철수 차장 Q. 2017년 비즈니스 성과는. A. 지난해는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와 관련한 특수 수요로 인해, 시장에 양극화 현상이 일어난 것으로 보인다. 우리 역시 OLED 산업의 설비투자로 인하여, 직전년도 대비 기대 이상의 매출 증가를 이루었고, FA 분야는 휴대폰라인과 관련된 수요, 특히 베트남, 인도, 브라질 등 해외공장에서 긍정적 성과가 있었다. 그리고 그동안 제약 및 의료장비 시장 진입을 위해 많은 시도를 한 결과들이 조금씩 보이면서 지난해 제약업계의 레퍼런스를 확보한 것도 영업적 성과라면
[첨단 헬로티] 오토닉스는 기술력을 빼고는 논할 수 없다. 이 회사는 창업 이래부터 R&D에 많은 투자를 해왔고 이를 토대로 성장한 기업이다. 특히 국내 최초 디지털 카운터 K 시리즈를 개발하면서 센서, 제어기기 국산화의 물꼬를 텄으며, 그 이후, 광화이버 센서, 5상 스테핑 모터 등 다양한 제품을 국산화해오며 대한민국 자동화 산업의 역사와 맥을 함께 했다. 현재 오토닉스는 센서, 제어기기, 모션 디바이스 등 6,000여 종의 제품을 생산, 판매하고 있다. 또한, 100여 개국, 150여 개의 현지 대리점에 제품을 수출하며 글로벌 마케팅을 펼치고 있다. ▲ INTERVIEW_오토닉스 홍보팀 김명선 팀장 Q. 2017년 비즈니스 성과는. A. 2017년은 전년 대비 약 8.3%의 성장을 했다. 특히 모든 제품의 매출 실적이 조금씩 상승했는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것은 반도체와 자동차 산업 분야에서 이루어졌다. 아무래도 작년에 한국의 반도체 산업이 호황기를 맞았기 때문에 그에 대한 낙수효과가 우리에게 이어진 것 같고, 더욱이 해당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제품들을 선보였기 때문에 좋은 결과가 있었다고 본다. ▲ 자동차 부품 생산라인 내 지그 용접
[첨단 헬로티] 페펄앤드푹스는 독일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세계적으로 자동화 센서 관련 기술을 리딩하고 있는 회사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근접센서에서부터 최근 물류자동화, 공장자동화에 핵심을 이루는 솔루션베이스의 장치까지 폭넓은 제품 포트폴리오를 갖추고 있어 고객사에 알맞은 솔루션을 직접 제공하고 있다. 올해는 머신비전도 국내에 소개할 예정이라고 한다. 이 회사는 글로벌 명성에 비해 아직은 국내 인지도가 낮은 상태여서 Web shop 등을 통해 회사와 제품을 알리는 데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 INTERVIEW_페펄앤드푹스 임채혁 부장 Q. 2017년 비즈니스 성과는. A. 2017년은 자동화의 움직임이 강하게 표출된 한해였으며, 때문에 전반적으로 전년도 대비 매출이 성장했다. 전통적으로 강한 시장인 자동차, 기계 및 조선시장이 주춤했으나 반도체, 디스플레이 분야가 선전했으며, 우리의 강점인 물류자동화와 관련된 분야에 좀 더 적극적인 시장공략을 계획하고 있다. ▲ Smart Runner Q. 2018년 역점 사업과 영업 전략은. A. 자동화라는 분야는 다양한 산업군과 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하므로 특정하여 역점사업을 꼽기보다는 각각의 분야에 순차적인 계획을 가지고